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미국지사

home 동향과 정보 글로벌시장 보건산업 정보 미국지사

글자크기

청력 상실 유전자 변이, '크리스퍼 카스9' 기술로 제거

청력 상실 유전자 변이, '크리스퍼 카스9' 기술로 제거 : 작성자, 카테고리, 작성일, 조회수, 참조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의약품/바이오산업
작성일 2018-01-30 조회수 6,483
참조링크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청력 상실 유전자 변이를 '크리스퍼 카스9(CRISPR Cas9)' 유전자 가위 기술로 제거하는 데 성공


   - 귓속 달팽이관에는 소리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해 뇌에 전달하는 유모세포(Hair Cell)가 위치해 있는 데, 이 세포 속 TMC1 유전자에 변이가 발생하면 독성 단백질이 생산․ 축적되면서 세포가 괴사하고 청력 상실이 유발
   - 즉 TMC1 유전자 쌍 중에서 변이가 생긴 유전자 하나가 우성 유전자가 되어 유모세포를 파괴하면서 청력이 상실


   - 하버드대 연구팀은 TMC1 유전자 변이 부분을 잘라 제거하면 독성 단백질이 생산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 TMC1 유전자 변이가 있는 실험쥐에게 변이 부분만 잘라내도록 설계된 크리스퍼-카스9 유전자 가위를 주입
   - 문제는 유전자 가위를 살아 있는 쥐의 체내 세포에 어떻게 집어넣느냐 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세포막을 통과하는 지질 성분으로 이 문제를 해결
   - 즉 유전자 가위를 ‘가이드 RNA’에 카스9 분자의 단백질 복합체를 양이온 성질을 띠는 지질 성분으로 감싼 뒤 유전성 난청 질환을 앓고 있는 실험쥐의 한쪽 귀 부분에 주입
※ 가이드 RNA는 유전자 가위가 정확한 위치에서 작동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
   - 그 뒤 4주 및 8주 후에 유전자 가위를 주입하지 않은 반대 쪽 귀 및 다른 난청 질환 쥐와 비교해 유전자 가위의 효과를 분석
   - 4주가 경과한 후 유전자 가위가 주입된 쥐의 귀에는 반대 쪽 귀와 달리 유모세포 형태가 그대로 보존된 가운데 청력이 더 악화되지 않았음이 확인
   - 또한 8주 뒤에는 유전자 가위가 주입된 쥐는 소리에 반응하는 반면 다른 난청 질환 쥐는 반응하지 않음이 관찰


   - 하버드대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유모세포가 손상되기 전에 유전자 가위 치료를 하면 청력이 보존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
   - 연구팀은 인간에게 유전자 가위 방식을 적용하려면 보다 심도있는 연구와 실험이 필요할 것이라면서도, 이번 실험 성공이 난청 등 청력 관련 질환의 치료법이 개발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
   -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지에 게재 

[New Scientist, 201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