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 글자크기
비욘드메디슨, 턱관절장애 디지털 치료제 ‘클릭리스’임상 성과 입증
| 작성자 | 관리자 | ||
|---|---|---|---|
| 작성일 | 2025-11-05 | 조회수 | 97 |
| 첨부파일 | |||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유망기업, 혁신 DNA 미래를 설계하다]
비욘드메디슨, 턱관절장애 디지털 치료제 ‘클릭리스’임상 성과 입증
■ 통증 완화·기능 개선…국제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JMIR) 게재
□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지원기업 ㈜비욘드메디슨(대표 김대현)은 국내 치과 분야 최초 혁신 의료기기로 지정된 턱관절장애(TMD) 디지털 치료제 ‘클릭리스(Clickless)’의 실제 임상 효과를 다룬 논문이 세계적 디지털 헬스케어 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JMIR)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박상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비욘드 메디슨의 디지털 치료제 ‘클릭리스(Clickless)’ 임상효과를 다룬 논문 “턱관절장애 환자 대상 디지털 치료제의 임상 효능 평가: 다기관·무작위배정·가짜 대조 임상시험 (Evaluating the Efficacy of a Digital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ulticenter, Randomized, Sham-Controlled Trial)”을 게재했다.
○ 이번 논문은 ‘클릭리스’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한 턱관절장애 치료의 임상적 효과를 국제적으로 입증한 대조 연구로, ‘클릭리스’사용군이 통증 완화·기능 개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본 연구는 2024년 6월부터 2025년 6월까지 2개 병원(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한림대학교 동탄섬싱병원) 에서 턱관절 장애(TMD) 환자 102명을 대상으로 6주간 진행되었으며, 클릭리스 앱 사용군 (50명) 과 동일한 외형의 비치료용 가짜 앱 사용군 (52명)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연구팀은 양 집단 간의 증상 개선 효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 클릭리스 사용군은 매일 5~10분간 앱을 통해 턱관절 질환 관련 교육, 턱 근육 이완 운동, 명상, 행동 습관 추적, 데이터 기반 피드백 등을 수행했다. 가짜 앱 사용군에는 외형은 동일하나 치료적 기능이 제거된 앱이 제공됐다. 두 그룹 모두 기존 치료를 그대로 유지하며 임상이 진행됐다.
○ 6주 후 결과에서 클릭리스 사용군은 통증 강도 점수가 평균 33.6포인트 감소, 이는 가짜 앱 사용군(9.9포인트 감소)보다 약 3배 이상 빠르고 강한 통증 완화 효과를 보였다. 이 밖에도 최대 개구량 및 턱관절 제한 검사 등 설문지에서 3~5배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턱관절 장애의 주요 요인인 구강 악습관 검사와 관련해서 5배 이상의 지표 개선을 확인했다.
□ 연구진은 “객관적 지표와 환자 체감 개선이 일관되게 나타난 것은 디지털 치료제가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함께 도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히며, “디지털 치료제 클릭리스의 구조화된 인지행동치료 모듈과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이 환자의 자가관리와 참여도를 높였으며, 기존 치료보다 더 빠르고 지속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유도했다”고 분석했다.
○ 이로써 연구진은 “기존 치료만으로는 증상 완화까지 수 주가 걸리던 턱관절 장애 환자들이, ‘클릭리스’를 병행함으로써 단기간 내 통증 감소와 기능 회복을 동시에 경험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또한 “디지털 치료제는 병원 방문 간격 사이의 공백을 메우며, 환자가 스스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이고 확장 가능한 치료 도구”라며, “특히 만성 통증과 행동 요인이 중요한 턱관절장애 치료에 있어, 비대면 환경에서도 표준화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비욘드메디슨 김대현 대표는 “이번 연구를 통해 클릭리스의 의학적 효능이 객관적으로 입증되어 디지털 치료제가 치과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지점에서 국내 치과 산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며, “임상 근거 중심의 연구개발의 성과를 토대로 치과 임상 환경의 적합성에 집중하며,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치료 효과를 제공하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고 밝혔다.
□ 보건산업혁신창업센터 유망기업인 비욘드메디슨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지원하는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딥테크 분야(’25)에 선정되어, 멘토링, 기술 홍보 등 지속적인 전주기 사업화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기술평가-사업화 연계 지원사업과 보건산업 특허전략 및 인허가 컨실팅 지원사업을 동시에 수혜받고 있다.
<자료 문의>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구강외과 박상윤 교수(psypjy0112@naver.com)
- 이전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미국 워싱턴 D.C.에서 「Medical Korea in USA」 개최
- 다음글 보건산업 수출, 3분기 누적 첫 200억 달러 돌파, 역대 최고 실적… 의약품·화장품 15%대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