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진흥원, 2025년 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 발표

진흥원, 2025년 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 발표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6-27 조회수 155
첨부파일

진흥원, 2025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 발표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110.1만 명, 전년 동기4.3% 증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2025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을 발표하였다.

 

(종사자) 2025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는 110.1만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4.3%(+45천 명) 증가하였다.


 

 ○ (성별)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는 여성의 비중(74.9%)이 남성(25.1%)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보건제조업의 경우 남성의 비중(57.2%)이 여성(42.8%)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산업별로 여성의 비중이 높은 산업은 의료서비스업(여성 81.5%)과 화장품산업(여성 57.8%)이며, 제약산업(남성 63.3%)과 의료기기산업(남성 58.6%)은 남성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로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은 60세 이상이 9.0%로 가장 높았고, 29세 이하(청년층)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9세 이하(청년층) 종사자 수 감소율*40 종사자 수 증가율**은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9세 이하(청년층) 종사자 수 증감률 : 242/4분기 2.3% > 243/4분기 2.0% > 244/4분기 0.9% > 251/4분기 0.1%

    ** 40 종사자 수 증감률 : 242/4분기 +2.6% > 243/4분기 +2.2% > 244/4분기 +2.1% > 251/4분기 +1.9%

 

 ○ (근속기간별)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는 ‘5년 미만근속한 비중*69.9%(769천 명)로 가장 많았으며, 증가율은 ‘10이상 15년 미만8.6%로 가장 높았다. 보건제조업 역시 ‘5년 미만근속한 종사자의 비중이 59.7%(112천 명)가장 많았으나, 전체 바이오헬스산업 대비 비중은 10.2%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251/4분기 근속기간별 종사자 수 비중 : 5년 미만 69.9% > 5년 이상 10년 미만 17.2% > 10년 이상 15년 미만 6.7% > 20년 이상 3.1% > 15년 이상 20년 미만 3.1%

 

 ○ (지역별)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는 전체 지역에서 증가*하였지만, 보건제조업의 경우 대전(-7.3%)를 포함한 7개 지역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5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증감률 : 세종 +7.7% > 인천 +7.3% > 경기 +6.0% > 충북 +5.5% > 대구 +4.9% > 충남 +4.4% > 제주 +3.9% > 부산 +3.7% > 경남 +3.5% > 울산 +3.5% > 서울 +3.3% > 경북 +2.9% > 강원 +2.4% > 대전 +2.4% > 전북 +2.3% > 광주 +2.0% > 전남 +1.4%

    ** 251/4분기 보건제조업 종사자 수 증감률 : 인천 +10.0% > 세종 +9.9% > 충북 +8.9% > 경기 +7.4% > 경남 +5.7% > 제주 +3.3% > 부산 +2.8% > 강원 +2.2% > 대구 +1.6% > 충남 +0.8% > 광주 0.3% > 전북 2.0% > 서울 2.5% > 경북 3.0% > 전남 3.5% > 울산 6.8% > 대전 7.3%

 

 ○ (산업별)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는 화장품산업(+7.3%)중심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과의 차이*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 전체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 221/4분기 0.1%p > 231/4분기 +0.9%p > 241/4분기 +1.1%p > 251/4분기 +3.3%p

 

  - (제약) ’251/4분기 제약산업의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3.7% 증가(84천 명)하였으며, ’221/4분기 이래 처음으로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 기준으로는 한의약품 제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이 5.7%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완제 의약품 제조업(+4.1%)’,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2.8%)’,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1.4%)순으로 나타났다.

 

    *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 증감율 : 221/4분기 +1.5% > 231/4분기 1.0% > 241/4분기 3.7% > 251/4분기 +0.2%

 

  - (의료기기) ’251/4분기 의료기기산업 종사자 증가율은 1.0% 증가율 둔화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60세 이상 종사자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증가세*가 둔화되거나 감소폭이 확대되었고 40종사자 수는 감소세로 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 기준으로는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4.3%), ‘정형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 제조업(+3.0%) 의료용 가구 제조업(+1.9%) 순으로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251/4분기 연령별 종사자 수 증감율 : 60세 이상 +9.2% > 50+4.8% > 30+3.0% > 4019.2% > 청년층(29세 이하) 5.8%

 

  - (화장품) ’251/4분기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7.3%(4만 명) 증가하며, 5분기 연속 바이오헬스산업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특히,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 증가율*은 바이오헬스산업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41/4분기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 증가율 : 화장품산업 +6.2% > 제약산업 +0.2% > 의료서비스업 0.0% > 의료기기산업 5.8%

 

  - (의료서비스) 의료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4.3% 증가한 913천 명으로, ’244/4분기에 이어 30대 종사자 수 증가율(+8.1%)50대 종사자 수 증가율(+6.7%)보다 높게 나타났다. 세부 분야 기준으로는 한방병원의 종사자 수 증가율이 12.8%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일반의원(+7.4%), 방사선 진단 및 병리 검사 의원(+5.9%) 순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신규 일자리) 20251/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분야 신규 일자리*14,566개 창출(+2.9%)되었으며, 보건제조업의 경우 1,847개로 전년 동기 대비 8.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의료서비스업이 12,719(87.3% 비중)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제약산업 804, 의료기기산업 665, 화장품산업 378개 순으로 나타났다.

 

    * 한국고용직업분류(2018) 기준 바이오헬스산업에 해당하는 93개 직종 기준

 

 ○ 직종별로는 보건·의료 종사자* 신규 일자리 수가 4,708(32.3%)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간호사’ 3,836(26.3%), 의료기사·치료사·재활사’ 1,704(11.7%), ‘의사, 한의사 및 치과의사’ 1,429(9.8%), ‘제조 단순 종사자’ 487(3.3%) 순으로 분석되었다.

 

  * '보건·의료 종사자'는 응급구조사, 위생사, 안경사, 의무기록사, 간호조무사, 안마사, 기타 보건·의료 종사원을 말함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은 산업에 비해 견조한 고용 증가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제약산업과 화장품산업을 중심으로 전체 바이오헬스산업에서 청년층 종사자 고용 감소폭이 점차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특히, 제약산업과 화장품산업은 30대 이하 종사자 비중이 높고 청년층의 유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해당 산업의 수출 증가세와 맞물려 청년층 중심 고용 확대로 이어진 것 같다.”

 

  - 아울러 바이오헬스산업은 AI기술 등 융복합 신기술로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정부의 전문인력 양성 노력과 산업계의 고용 수요 증가에 따라 고용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문의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강창호 연구원 (043)713-8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