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진흥원,「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결과 발표

진흥원,「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결과 발표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29 조회수 54
첨부파일

진흥원,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결과 발표

- 2023년 기준 바이오헬스산업 기업 18,068

매출 133조원, 인력 35만명, R&D 7조원 규모

 

2023바이오헬스산업(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부문)

매출액 1333,685억 원(22, -0.7%)

* 산업별 매출액: 제약 53808억 원(+6.1%), 의료기기 379,586억 원(-15.7%), 화장품 423,290억 원(+7.9%)

 

종사자 수 352,784(22, +3.1%)

* 산업별 종사자 수: 제약 102,141(+0.2%), 의료기기 118,296(+7.5%), 화장품 132,347(+1.7%)

 

연구개발비 74,729억 원(22, +18.5%)

* 산업별 연구개발비: 제약 41,748억 원(+4.6%), 의료기기 19,970억 원(+25.9%), 화장품 13,012억 원(+78.0%)

본 자료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외한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산업을 대상으로 조사 결과를 분석함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본 조사에서는 바이오헬스산업 기업체의 매출(산업별, 유형별) 인력(산업별, 직무별, 전문인력) 연구개발(재원별, 사용별, 세부 산업별, 산업재산권) 해외진출(진출 유형, 글로벌 협력활동) 2023년 현황에 대해 20247월부터 11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 동 조사는 바이오헬스산업의 실태를 파악하여 시의성 및 연속성 있는 통계를 생산하고, 정책적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승인번호 제358004)이다.

 

2023년 기준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 중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부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매출 현황)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매출은 2022대비 0.7% 감소한 1333,685억 원으로 조사되었다.

 

  - 산업별 매출규모는 제약 부문 매출이 53808억 원(+6.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화장품 423,290억 원(+7.9%), 의료기기 379,586억 원(-15.7%) 순으로 조사되었다.

 

 ○ (인력 현황)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는 2022년 대비 3.1% 증가한 352,784명으로 조사되었다.

 

  - 산업별 종사자 수는 화장품 부문 종사자 수가 2022년 대비 1.7% 증가한 132,34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의료기기 종사자 수가 118,296(+7.5%), 제약 부문 10 2,141(+0.2%) 순으로 조사되었다.

 

 ○ (연구개발 현황) 2023년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연구개발비는 2022대비 18.5% 증가한 74,729억 원이며, 연구개발집중도(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5.6% 나타났다.

 

  - 산업별 연구개발비는 제약(41,748억 원, +4.6%), 의료기기(19,970억 원, +25.9%), 화장품(13,012억 원, +78.0%) 순이며, 연구개발집중도도 제약 부문이 7.9%로 가장 높았다.

 

 ○ (해외진출 현황) 2023년 말 기준 바이오헬스산업 기업체 중 28.6%해외진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출’ 27.1%, ‘현지기업과 전략적 제휴’ 2.8%, ‘현지 단독 사업장 설립’ 1.8% 순으로 나타났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은 기술융합과 인구구조 변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급변하는 환경 변화 속에서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 국가 승인통계로서의 실태조사는 산업 전반의 구조와 동향을 체계적으로 제공하여, 정부 정책 전략 마련에 실효성 높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이어, “진흥원은 향후에도 산업 전·후방 연계성과 통계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한 체계적인 분류체계 고도화와 조사 기반 강화를 통해, 바이오헬스산업 통계 인프라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의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김민주연구원 (043)713-8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