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진흥원, 2024년 4/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 동향 발표

진흥원, 2024년 4/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 동향 발표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4-11 조회수 875
첨부파일

진흥원, 20244/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 동향 발표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109.3만 명, 전년 동기3.9% 증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20244/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고용동향을 발표하였다.

 

(종사자) 20244/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는 109.3만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3.9%(+41천 명) 증가하였다.


 ○ (성별) 바이오헬스산업 분야 종사자는 여성의 비중(74.9%) 남성(25.1%)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바이오헬스제조업의 경우 남성의 비중(57.4%)이 여성(42.6%)보다 높게 나타났다. 산업별로 여성의 비중이 높은 산업은 화장품산업(여성 57.7%) 의료서비스업(여성 81.5%)이며, 제약산업(남성 63.4%)과 의료기기산업(남성 58.7%)은 남성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별)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의 60세 이상(+8.5%)50(+6.9%)의 증가율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바이오헬스제조업 부문에서 60세 이상(+10.5%)50(+7.7%) 종사자의 증가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0.7% 감소하였으나, 감소폭은 다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4년 청년층 종사자 수 증감률 : 241분기 2.0% > 242분기 2.3% > 243분기 1.8% > 244분기 0.9%

 

 ○ (근속기간별)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의 근속기간이 ‘5미만비중*70.2%(768천 명)로 가장 많았으며, 종사자 증가율은 ‘10년 이상 15년 미만9.9%로 가장 높았다. 바이오헬스제조업 역시 ‘5년 미만종사자의 비중이 59.8%(111천 명)로 가장 많았으나, 전체 바이오헬스산업 대비 비중은 10.5%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244/4분기 근속기간별 종사자 수 비중 : 5년 미만 70.2% > 5년 이상 10년 미만 17.0% > 10년 이상 15년 미만 6.6% > 20년 이상 3.1% > 15년 이상 20년 미만 3.1%

 

 ○ (산업별)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제약산업(+4.0%), 의료서비스업(+3.9%), 의료기기산업(+1.2%) 순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제약) ’244/4분기 제약산업의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4.0% 증가(84천 명)하였으며, 특히 전체 바이오헬스산업 중 50(+11.3%)*60세 이상(+14.1%)** 종사자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 기준으로는 완제 의약품 제조업의 종사자 수 증가율이 5.0%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한의약품 제조업(+3.9%)’, ‘의약용 화합물 및 항생물질 제조업(+1.6%)’,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0.8%)순으로 나타났다.

    * 244/4분기 50대 종사자 수 증가율 : 제약산업 +11.3% > 화장품산업 +7.0% > 의료서비스업 +6.8% > 의료기기산업 +5.3%

    ** 244/4분기 60세 이상 종사자 수 증가율 : 제약산업 +14.1% > 화장품산업 +12.9% > 의료서비스업 +8.4% > 의료기기산업 +7.4%

 

  - (의료기기) ’244/4분기 의료기기산업 종사자 증가율은 1.2%로 증가율 둔화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의 비중*과 증가율**이 다른 바이오헬스산업분야 대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세부 분야 기준으로는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4.6%), ‘정형외과용 및 신체보정용 기기 제조업(+3.4%) 방사선 장치 제조업(+2.4%) 순으로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244/4분기 청년층 종사자 수 비중 : 제약산업 25.2% > 의료서비스업 24.2% > 화장품산업 19.7% > 의료기기산업 19.2%

    ** 244/4분기 청년층 종사자 수 증가율 : 화장품산업 +5.8% > 제약산업 -0.0% > 의료서비스업 0.9% > 의료기기산업 5.4%

 

  - (화장품) ’244/4분기 화장품산업 사업장과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6.4% 증가한 39천 명으로, 전체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대비 2.6%p 높게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30인 이상 300인 미만 규모 종사자 수가 10.9% 증가하면서 화장품산업 고용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4년 분기별 화장품산업 청년층 종사자 수 증감률 : 1/4분기 +0.5% > 2/4분기 +1.7% > 3/4분기 +5.8% > 4/4분기 +5.8%

 

  - (의료서비스) ’244/4분기 전체 바이오헬스산업 종사자의 83.0%를 차지한 의료서비스업 종사자는 전년 동기대비 3.9% 증가하면서 907천 명으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 기준으로는 한방병원의 종사자 수 증가율이 12.6%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일반의원(+7.0%), ‘방사선 진단 및 병리 검사 의원(+4.3%) 순으로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신규 일자리) 20244/4분기 바이오헬스산업 분야 신규 일자리*7,276개 창출되며, 전년 동기 대비 22.9% 증가하였다. 특히, 보건의료 종사자가 포함된 의료서비스업 분야에서 5,985(82.3% 비중)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제약산업 510, 의료기기산업 449, 화장품산업 332개 순으로 나타났다.

 

 ○ 직종별로는 보건·의료 종사자** 신규 일자리 수가 2,709(37.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의사, 한의사 및 치과의사’ 1,117(15.4%), ‘간호사’ 1,034(14.2%), ‘제조 단순 종사자421(5.8%), 경영지원 사무원’ 303(4.2%) 순으로 분석되었다.

    * 한국고용직업분류(2018) 기준 바이오헬스산업에 해당하는 93개 직종 기준

    ** 보건·의료 종사자는 응급구조사, 위생사, 안경사, 의무기록사, 간호조무사, 안마사, 기타 보건·의료 종사원을 말함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44/4분기 전 산업의 고용 증가율 둔화와 청년층 종사자 고용 감소가 심화되는 반면, 바이오헬스산업은 고용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청년층 종사자 고용 감소 폭 또한 점차 완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특히, 화장품산업 종사자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청년층 종사자 고용은 2024년 내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화장품산업이 청년층의 유입이 활발한 분야임을 보여주며, 앞으로도 청년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20244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브리프는 보건산업통계포털(http://www.khiss.go.kr)에서 이용가능하다.

 

    ※ 문의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강창호 연구원 (043)713-8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