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 글자크기
2024년 보건산업 수출 253억 달러, 전년比 15.8% 증가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25-04-10 | 조회수 | 1,190 |
첨부파일 |
2024년 보건산업 수출 253억 달러,
전년比 15.8% 증가
진흥원,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4년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하였다.
□ [총괄] ’24년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8% 증가한 252.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분야별로는 화장품 101.8억 달러(+20.3%), 의약품 92.7억 달러(+22.7%), 의료기기 58.1억 달러(+0.4%)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 주요 특징으로,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헝가리, 스위스, 벨기에 등 유럽과 북미(미국, 캐나다)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기초화장용 제품류’ 수출이 미국, 일본, 홍콩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함에 따라, 의약품과 화장품은 역대 수출 최대실적을 달성하였다. 의료기기 수출은 ‘체외 진단기기’에서 감소하였으나 ‘임플란트’ 수출이 증가하여 전년도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 [의약품] ’24년 의약품 수출은 바이오의약품 수출 증가에힘입어 전년대비 22.7% 증가한 92.7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바이오의약품 수출액 : (’23) 39.0억 달러 → (’24) 55.1억 달러(+41.3%)
○ (국가별) 미국(14.9억 달러, +45.1%), 헝가리(12.7억 달러, +299.1%), 독일(6.2억 달러, +4.0%) 등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의약품 수출의 8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은 ‘바이오의약품’(11.6억 달러, +46.3%)과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0.8억 달러, +77.6%) 등의 수출이 증가하여 지난해에 이어 의약품 수출 1위국을 유지하였다.
- 헝가리*(12.7억 달러, +299.1%), 스위스**(5.0억 달러, +43.6%)는 바이오의약품의 수출 증가로 인해 전년도 보다 순위가 상승하였다.
* 헝가리 수출 순위: (’23년) 10위(3.2억 달러) → (’24년) 2위(12.7억 달러)
** 스위스 수출 순위: (’23년) 8위(3.5억 달러) → (’24년) 5위(5.0억 달러)
○ (품목별) ‘바이오의약품’(55.1억 달러, +41.3%), ‘기타의 조제용약’(7.1억 달러, +7.6%), ‘원료 기타’(5.4억 달러, +1.6%) 순으로 수출액이 높게 나타났다.
- 전체 의약품 수출의 59.5%를 차지하는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헝가리(12.6억 달러, +306.3%), 미국(11.6억 달러, +46.3%), 독일(5.2억 달러, +8.4%) 순으로 높았으며, 스위스(4.3억 달러, +60.3%), 벨기에(4.0억 달러, +27.2%), 네덜란드(2.0억 달러, +97.1%) 등 유럽국가에서 큰 증가세를 보였다.
- 의약품 중 두 번째로 수출이 높은 ‘기타의 조제용약’은 베트남(1.0억 달러, +28.1%), 일본(0.9억 달러, +4.2%), 미국(0.5억 달러, +4.7%)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다.
□ [의료기기] ’24년 의료기기 수출은 ‘임플란트’와 ‘의료용 레이저 기기’의 수출 증가로 인해 전년대비 0.4% 증가한 58.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국가별) 미국(9.3억 달러, △6.8%), 중국(6.4억 달러, △1.0%), 일본(4.4억 달러, +9.0%) 등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7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은 ‘체외진단기기’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년도에 이어 의료기기 수출 1위국을 유지하였으며, 일본은 ‘전기식 의료기기’ 수출 증가에 힘입어 의료기기 수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 (품목별) ‘임플란트’(8.8억 달러, +11.2%), ‘초음파 영상진단기’(7.9억 달러, +4.1%), ‘방사선 촬영기기’(7.3억 달러, △3.6%) 순으로 수출액이 높게 나타났다.
- ‘임플란트’는 전체 의료기기 수출 중 15.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3.4억 달러, +6.3%), 러시아(1.2억 달러, +11.2%), 미국(0.6억 달러, +64.6%),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다.
- 두 번째로 수출 비중이 높은 ‘초음파 영상진단기’는 미국(1.8억 달러, +19.0%), 오스트리아(0.5억 달러, +15.8%)를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였다.
- 전년도 의료기기 수출 1위 품목인 ‘체외 진단기기’(6.9억 달러, △14.1%)는 미국(0.7억 달러, △70.2%)의 수출 감소로 인해, 의료기기 수출 4위로 순위가 하락하였다.
□ [화장품] ’24년 화장품 수출은 ‘기초화장용 · 색조화장용 · 인체세정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전년대비 20.3% 증가한 101.8억 달러를 달성하였다.
○ (국가별) 중국(24.9억 달러, △10.3%), 미국(19.0억 달러, 56.4%), 일본(10.4억 달러, +29.1%) 등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화장품 수출의 8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수출 1위국을 유지하였으나, ‘기초화장용’(19.2억 달러, △11.3%)과 ‘인체세정용’(1.3억 달러, △18.7%) 제품류의 수출 감소로, 對중국 화장품 수출 비중도 20%대로 낮아졌다.
* 중국 화장품 수출 비중: (’21) 53.2% → (’22) 45.4% → (’23) 32.8% → (’24) 24.5%
- 반면,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화장품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해당 국가의 화장품 수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미국 화장품 수출 비중: (’21) 9.2% → (’22) 10.6% → (’23) 14.3% → (’24) 18.7%
** 일본 화장품 수출 비중: (’21) 8.5% → (’22) 9.4% → (’23) 9.5% → (’24) 10.2%
○ (품목별) ‘기초화장용 제품류’(76.5억 달러, +19.7%), ‘색조화장용 제품류’(13.4억 달러, +28.9%), ‘인체세정용 제품류’(4.6억 달러, +30.8%)의 순으로 수출액이 높게 나타났다.
- 화장품 수출 1위 품목인 ‘기초화장용 제품류’는 중국(19.2억 달러, △11.3%)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미국(14.0억 달러, +66.5%), 일본(6.2억 달러, +30.7%), 홍콩(5.1억 달러, +16.9%)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였다.
-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중국(3.2억 달러, +5.5%), 일본(3.0억 달러, +31.1%), 미국(2.6억 달러, +25.9%), ‘인체세정용 제품류’는 미국(0.8억 달러, +116.2%), 일본(0.3억 달러, +91.8%), 폴란드(0.1억 달러, +803.2%)에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4년 보건산업 수출은 엔데믹 전환 후 수출회복세를 유지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다. 산업별로는 의약품과 화장품에서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으며, 특히 화장품은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성장세는 올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대외적인 무역 환경에 대한 면밀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밝혔다.
※ 문의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정주석 연구원 ☎ (043)713-8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