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 글자크기
인간 유래 줄기세포로 소뇌실조증 치료 돌파구 열려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24-12-20 | 조회수 | 830 |
첨부파일 |
인간 유래 줄기세포로 소뇌실조증 치료 돌파구 열려 |
경북대학교 김상룡 교수 공동 연구팀, 줄기세포로 소뇌실조증 극복의 새 희망을 밝히다 |
□ 국내 연구진이 유전성 소뇌실조증 동물모델*에서 인체 유래 줄기세포** 투여에 의한 치료적 효능 검증에 성공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 유전성 소뇌실조증 동물모델(Spinocerebellar Ataxia Type 2, SCA2):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재현한 모델로, 소뇌와 뇌간의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해 운동실조와 균형 장애를 일으킴
** 인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uma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MSCs): 인간 골수에서 추출된 중간엽 줄기세포로, 항염증 작용과 손상된 조직 회복을 돕는 특성을 가짐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경북대학교 생명공학부 김상룡 교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석경호 교수,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신경과 이호원 교수와 ㈜코아스템켐온(김경숙 상임고문) 공동 연구팀의 유기적 협력 연구를 통해, 유전성 소뇌실조증 동물모델에서 인체 유래 줄기세포 투여에 의한 운동기능 및 신경세포 보호 효능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 “소뇌실조증”은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뇌질환이다.전세계 소뇌실조증 환자는 263만명으로, 정확한 발병원인과 발생과정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희귀질환 중 하나이다. 게다가 진단이 어렵고 증상마저 다양하여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 본 연구팀은 소뇌실조증 극복을 위한 치료 전략으로, 뇌염증 반응을 억제하거나 완화 시키는 항염증 능력과 신경보호인자 분비를 유도할 수 있는 인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전성 소뇌실조증 동물모델의 소뇌와 연수사이에 있는 지주막하 공간(이하 척수강) 안으로 투여하여 치료 효과를 연구하였다.
□ 연구 결과, 인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전성 소뇌실조증 동물모델의 척수강 내로 투여한 것이 투여하지 않은 모델에 비해 소뇌 내 신경영양인자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줄기세포를 투여하지 않은 모델에서는 신경영양인자의 수준이 정상 동물모델에 비해 약 절반 정도 감소했지만, 줄기세포를 투여한 경우 신경영양인자 수준이 정상 동물모델과 유사한 수준으로 보존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가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소뇌 기능 회복과 보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 이와 함께, 동물모델의 소뇌에서 FSTL1*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켜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고, 신경세포 보존율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 FSTL1(Follistatin-like 1): 세포 성장, 염증 반응, 조직 재생 등을 조절하는 단백질
○ 궁극적으로 인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투여받은 생쥐의 운동 능력을 평가한 결과, 손상된 신경 기능이 정상 수준의 운동 능력으로 돌아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를 주도한 김상룡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실효적 치료제(법)이 없는 소뇌실조증에 대하여 인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활용이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소뇌실조증 치료제(법) 개발과 연관된 임상 연구 확대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과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세포 및 조직 공학 분야 우수 국제학술지인 Stem Cell Research & Therapy에 11월 9일 게재되었다.
※ 게재 논문 정보
- 저널명: Stem Cell Research & Therapy(IF 7.1; JCR 상위 10% 이내) - 논문명: Post-symptomatic administration of hMSCs exerts therapeutic effects in SCA2 mice - 저자정보: (제1저자) 김세환 박사 (경북대학교), |
<자료 문의>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부 김상룡 교수 (053-950-7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