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22억 달러, 전년比 12.3% 증가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22억 달러, 전년比 12.3% 증가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8-01 조회수 16,328
첨부파일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122억 달러,

전년12.3% 증가

보산진,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

 

(총괄) ’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의 수출 증가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12.3% 증가한 121.9억 달러 기록

* 의약품 44.6억 달러(+16.2%), 의료기기 29.2억 달러(0.8%), 화장품 48.1억 달러(+18.1%)

 

(주요특징) (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수출 호조 지속으로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의료기기) 임플란트 및 전기식 의료기기 등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 증가, (화장품) 전반적인 한국 화장품 글로벌 수요 증대로 화장품 수출 역대 반기 최대 실적 달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보산진)2024년 상반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하였다.

 

[총괄] ’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3% 증가한 121.9 달러를 기록하였다.

 

 ○ 분야별로는 화장품 48.1억 달러(+18.1%), 의약품 44.6억 달러(+16.2%), 의료기기 29.2억 달러(0.8%)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보건산업 수출(’23.) 108.6억 달러 (’24.) 121.9억 달러(전년 대비 +12.3%)

 

(의 약 품) (’23.) 38.4억 달러 (’24.) 44.6억 달러(전년 대비 +16.2%)

(의료기기) (’23.) 29.5억 달러 (’24.) 29.2억 달러(전년 대비 0.8%)

(화 장 품) (’23.) 40.7억 달러 (’24.) 48.1억 달러(전년 대비 +18.1%)

[참고] 전산업 : (’23.) 3,070억 달러 (’24.) 3,348억 달러 (전년 대비 +9.1%)

주요 품목별 수출 증가율 : 반도체 +52.2%, 자동차 +3.8%, 석유제품 +7.7%, 일반기계 1.7%

 

 ○ 주요 특징을 보면, 바이오의약품과 기초화장용 제품류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수출이 확대되어 의약품과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10% 이상 증가하였으나,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분기별 수출액 추이

 

산업별 수출액 추이(억 달러)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의약품] 바이오의약품독소류 및 톡소이드류수출 증가에 힘입어 ’24년 상반기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44.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바이오의약품(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60.0% 차지)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2% 증가한 26.8억 달러로 역대 반기 최고실적을 기록하였다. 특히, 미국(6.9억 달러, +91.0%), 헝가리(4.1억 달러, +81.9%), 스위스(2.6억 달러, +88.3%)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미국 바이오의약품 수출액 : (’23.) 362백만 달러 (’24.) 691백만 달러(+91.0%)

    ** 헝가리 바이오의약품 수출액 : (’23.) 225백만 달러 (’24.) 409백만 달러(+81.9%)

    *** 스위스 바이오의약품 수출액 : (’23.) 138백만 달러 (’24.) 260백만 달러(+88.3%)

 

 ○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1.7억 달러, +17.2%) 수출은 미국(0.4억 달러, +55.6%)과 중국(0.3억 달러, +50.8%)을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의료기기] 임플란트전기식 의료기기등 일반 의료기기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24상반기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한 29.2 달러를 기록하였다.

 

    * 일반 의료기기 수출액: (’23.) 2,468백만 달러 (’24.) 2,579백만 달러(+4.5%)

    * 체외 진단기기 수출액: (’23.) 478백만 달러 (’24.) 344백만 달러(28.1%)

 

 ○ 임플란트(전체 의료기기 수출의 약 16.6% 차지)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8% 증가한 4.8억 달러로 역대 반기 최고실적을 기록하였다. 중국(1.9억 달러, +24.5%) 수출의 증가세 지속과 함께 미국(0.4억 달러, +115.0%)과 네덜란드(0.4억 달러, +138.1%)에서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해 체외 진단기기(3.4억 달러, 28.1%)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미국(0.4억 달러, 80.4%)에서의 감소가 컸다.

 

    * 체외 진단기기 수출액: (’22.) 2,610백만 달러 (’23.) 478백만 달러 (’24.) 344백만 달러(28.1%)

 

[화장품] 기초화장용 · 색조화장용 · 인체세정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24년 상반기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1% 증가한 48.1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기초화장용 제품류(35.9억 달러, +16.1%)(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7% 차지) 수출은 중국(9.1억 달러, 18.8%)과 러시아(1.5억 달러, 12.5%)에서 감소하였으나, 미국(6.3억 달러, +78.7%)과 일본(2.8억 달러, +28.5%), 베트남(2.1억 달러, +16.0%)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 색조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13.4%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0% 증가한 6.4억 달러로 역대 반기 최고 실적을 기록하였다. 중국(1.7억 달러, +14.1%), 미국(1.2억 달러, +14.1%), 베트남(0.3억 달러, +60.6%)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 인체세정용 제품류(2.2억 달러, +54.4%) 수출은 미국(0.4억 달러, +157.7%), 폴란드(0.1억 달러, +1,720.4%), 일본(0.1억 달러, +89.5%)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진흥원 이병관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장은 “2024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과 의약품에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보건산업 수출 증가를 주도하였다. 하반기에도 바이오의약품, 임플란트, 기초화장품 제품류 등 보건산업 주력 품목의 수요지속으로 수출의 증가 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밝혔다.

    ※ 문의 :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정주석 연구원 (043)713-8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