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 글자크기
진흥원,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치 발표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23-12-11 | 조회수 | 18,743 |
첨부파일 |
진흥원,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치 발표
'24년 보건산업 수출 230억 달러로 전년대비 5.8% 성장 전망
…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전 산업 분야 수출 증가 예상
◆ (동향) ’23년e 보건산업 수출 217억 달러로 ’22년에 이어 감소세 지속 예상 * 본격적인 코로나 엔데믹으로 백신 및 체외 진단기기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함 * ’21년 254억 달러(+18.4%), ’22년 242억 달러(△4.7%), ’23년(e) 217억 달러(△10.4%)
◆ (전망) ’24년f 보건산업 수출 230억 달러로, ’23년 대비 5.8% 증가 전망 *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경쟁력, 의료기기 수출 주력품목 수요와 K-뷰티 선호도 증가 등이 긍정 요인으로 작용, 안정적 수출 성장세 기대 * ’24년 산업별 전망(f): 의약품 81억 달러(+7.6%), 의료기기 59억 달러(+3.0%), 화장품 90억 달러(+6.0%) |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3년 보건산업 주요 수출 성과 및 2024년 수출 전망을 발표하였다.
2023년 보건산업 수출 동향 및 평가
□ ’23년 보건산업 수출은 217억 달러(△10.4%)로 본격적인 코로나 엔데믹 상황으로 방역물품 수출이 크게 감소하며 전체적인 보건산업 수출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23년 10월 누적 수출액은 178.4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0% 감소
○ 세부 산업별로는 화장품이 85억 달러로 전년대비 7.0%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어서 의약품 75억 달러(△7.3%), 의료기기 57억 달러(△30.3%) 순으로 예상된다.
- (의약품)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수출은 증가세를 이어가겠으나, 코로나 백신 및 관련 치료제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전체 의약품 수출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 바이오의약품 수출 변화(10월 누적 기준): ’22년 30.7억 달러 → ’23년 32.0억 달러(+4.5%)
** 백신 수출 변화(10월 누적 기준): ’22년 9.1억 달러 → ’23년 2.4억 달러(△73.3%)
- (의료기기) 임플란트와 초음파 영상진단기기가 포함된 일반 의료기기 수출은 증가하겠으나, 체외 진단기기의 수요가 급감하며 전체 의료기기 수출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 체외 진단기기 수출 변화(10월 누적 기준): ’22년 31.7억 달러 → ’23년 6.8억 달러(△78.7%)
- (화장품) 코로나 팬데믹과 대외여건 악화 등 수출이 감소했던 ’22년(80억 달러, △13.4%) 기저효과 및 중국 이외 지역의 화장품 수요 증가 등으로 전체 화장품 수출은 플러스 전환될 것으로 예측된다.
* 국가별 수출 순위(’23년 10월 누적 기준): 중국(△23.9%), 미국(+37.5%), 일본(+3.9%), 홍콩(+29.0%), 베트남(+26.9%) 순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
□ ’24년 보건산업 수출은 230억 달러로 ’23년에 비해 5.8% 증가세를 보이며,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었다.
○ (산업별) 세부 산업별 수출은 화장품이 전년대비 6.0% 증가하여 90억 달러, 의약품이 81억 달러(+7.6%), 의료기기 59억 달러(+3.0%) 순으로 전망되었다.
- 코로나 팬데믹 방역물품인 백신 및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 요인이 해소되고,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세계 각국의 공공의료 부분의 지출 증가가 국내 의료기기 수출 성장에 긍정 요인으로 작용하며 의약품·의료기기 수출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 최대 화장품 수출국인 중국으로의 화장품 수출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온라인 플랫폼(이커머스) 중심으로 중국 이외 수출국 다변화가 이루어지며 화장품 수출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
품 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예상) |
2024년(전망)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보건산업 |
25,449 |
18.4 |
24,242 |
-4.7 |
21,723 |
-10.4 |
22,974 |
5.8 |
|
|
의약품 |
7,042 |
2.2 |
8,083 |
14.8 |
7,490 |
-7.3 |
8,057 |
7.6 |
|
의료기기 |
9,223 |
31.2 |
8,206 |
-11.0 |
5,721 |
-30.3 |
5,893 |
3.0 |
|
화장품 |
9,184 |
21.3 |
7,953 |
-13.4 |
8,512 |
7.0 |
9,025 |
6.0 |
< 2024년 보건산업 수출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
|
□ 진흥원 한동우 보건산업혁신기획단장은 “2023년 보건산업 수출은 본격적인 코로나 엔데믹의 영향으로 코로나 방역물품(체외 진단기기, 백신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전체적인 보건산업 수출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 “2024년 보건산업의 수출 상황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한 대외 경제 여건 속에서 우리 보건산업의 해외진출을 견인하기 위한 정부-기업 간 유기적인 협력 체계 구축과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문의 : 보건산업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윤주영 책임연구원 ☎ (043)713-8432
본 자료는 보건산업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세청 수출입 통관자료 등 행정통계를 활용한 가공통계로, 국가승인통계가 아님을 밝혀둠
「보건산업 수출 동향」은 통계 집계 방식의 차이로 인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국가승인통계(연간 수출입액, 보고통계)와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보건산업의 정의는 대외 무역거래 상품분류(HSK) 10단위 기준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에 해당하는 품목분류 코드를 기준으로 분류
2022년 HS 개정에 따라 일부 품목의 수출액이 과거 자료와 상이할 수 있음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단위 미만에서 반올림되었으므로 각 항목 값의 합의 통계(또는 전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