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home 알림마당 보도자료

글자크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2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101만 명, 전년 동기比 2.9% 증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2년 3/4분기 보건산업 고용 101만 명, 전년 동기比 2.9% 증가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보도시작시간,보도시작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11-29 조회수 2,882
첨부파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23/4분기 보건산업 고용 101만 명전년 동기2.9% 증가

-20223/4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 발표… 의료기기 종사자 수 5.9% 증가, 화장품은 3분기 연속 증가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직무대행 김영옥, 이하 진흥원)20223/4분기 보건산업 고용동향을 발표하였다.

 

(총괄) 20223/4분기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101만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2.9%(+29천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이나, 전년도 높은 기저효과 영향으’21년도 2/4분기 이후 증가폭 감소하였다.


external_image

< 20223/4분기 보건산업 종사자 수 >


  ○ 전체 제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2.1% 증가하였으며, 보건제조산업은 그보다 0.6%p 높은 2.7% 증가세를 보였다.

 

    * 보건제조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제조업 전체**

2.4

2.5

2.3

2.3

2.1

 

보건제조산업

3.1

3.1

3.3

3.0

2.7

 

    ** 제조업 전체 종사자 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10차 기준으로 25개 중분류에 해당하는 제조업 전체를 대상으로 고용보험 적용 사업장의 고용보험 순수 피보험자 수를 기준으로 작성

 

  ○ 전체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3.1% 증가하였으나, 의료서비스업은 그보다 낮은 3.0% 증가세를 보였다.

 

    * 연도별 의료서비스 종사자 수: (’19.3/4) 751,739(’20.3/4) 777,297(’21.3/4) 811,789(’22.3/4) 836,103

 

    ** 의료서비스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서비스업 전체

3.3

2.6

4.6

2.0

3.1

 

의료서비스업

4.4

4.1

4.0

3.7

3.0



(산업별) 의료기기 종사자 수 증가율(전년 동기대비)5.9%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의료서비스(+3.0%), ·화장품(각각 +1.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제약) 제약산업 종사자 수는 78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2% 증가, ’21년도 3/4분기 이후 증가폭이 둔화되었다.

 

     * 제약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4.2

4.0

3.8

2.0

1.2

 

   - 20222분기에 이어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9.5%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 그 뒤로 한의약품 제조업(+5.6%), ‘완제 의약품 제조업(+3.8%) 순으로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 (의료기기) 의료기기산업 종사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9% 증가하며, 전체 보건산업 종사자 수 증가를 견인하였다.

 

   - 전기식 진단 및 요법 기기 제조업의 종사자 수 증가율이 1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이어서 진단키트 제조업체가 대다수 포함된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관련제품 제조업종사자 수 증가율이 9.6%로 높게 나타났다.

 

    * 의료기기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5.7

5.4

4.9

5.7

5.9


  ○ (화장품)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는 36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2% 증가하였으며, ’20년도 3/4분기 이후 가장 큰 증가세를 기록하였다.

 

    * 연도별 화장품 종사자 수: (’19.3/4) 36,966(’20.3/4) 37,024(’21.3/4) 35,974(’22.3/4) 36,388

   - 2/4분기에 이어 ‘30인 미만‘300인 이상사업장의 종사자 수가 전년 동기대비 5% 이상 증가하였다.

 

   - 반면, ‘30인 이상 300인 미만사업장의 종사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0% 감소하였다.

  

    *  화장품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화장품산업

2.8

2.2

0.05

0.8

1.2

 

30인 미만

1.3

0.1

1.6

5.6

6.2

30인 이상 300인 미만

0.1

0.9

3.8

4.6

4.0

300인 이상

8.2

7.2

4.1

5.0

5.0

 

  ○ (의료서비스) 20223/4분기 의료서비스산업(·의원 등 포함) 종사자 수는 836천 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3.0% 증가하였다.

 

   - 한방병원 종사자 수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10.7%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검진 관련 업종인 방사선진단 및 병리검사 의원8.3%로 뒤를 이었다.

 

     * 의료서비스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4.4

4.1

4.0

3.7

3.0

 

(·연령별) 보건산업 종사자는 여성이 752천 명으로 남성에 비해 3배가량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2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성별) 남성 종사자 수 비중이 높은 의료기기·제약 분야의 여성 종사자 수 증가율(각각 7.4%, 3.9%)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제약 및 의료기기산업 남성 종사자 수 증가율(전년 동기대비) : 의료기기(4.8%), 제약(0.2%)


  ○ (연령별) 60대 이상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10% 이상 증가하였으며, 청년층(29세 이하)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2% 감소하였다.

 

    * 전년 동기대비 보건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

해당 분기

’21.3/4

’21.4/4

’22.1/4

’22.2/4

’22.3/4

청년층

2.2

0.6

0.3

0.4

2.0

60대 이상

12.4

11.8

12.1

11.6

10.5

 

 

(신규 일자리) 20223/4분기 보건산업 분야 신규 일자리 7,403개 창출되었다.

 

  ○ 의료서비스 분야에서 5,983(80.8% 비중)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제약 608, 의료기기 484, 화장품 328개 순으로 나타났다.

 

  ○ 직종*별로는 보건·의료 종사자** 신규 일자리 수가 2,864(38.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어서 간호사’ 1,258(17.0%), ‘의료기사·치료사·재활사’ 494(6.7%), 제조 단순 종사자’ 400(5.4%), 경영지원 사무원’ 339(4.6%) 순으로 분석되었다.

 

    * 한국고용직업분류(2018) 기준 보건산업에 해당하는 93개 직종 기준

    ** ‘보건·의료 종사자는 응급구조사, 위생사, 안경사, 의무기록사, 간호조무사, 안마사, 기타 보건·의료 종사원을 말함

 

  ○ 의료기기 및 화장품 분야는 제조 단순 종사자신규 일자리 수가 각각 32.4%, 36.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제약 분야는 생명과학연구원 및 시험원직종의 비중이 28.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문의 : 보건산업혁신기획단 산업통계팀 조홍미 연구원 (043)713-8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