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자료
home 동향과 정보 정보자료
- 글자크기
비대면 진료서비스 이용자 경험조사
작성자 | 관리자 | 카테고리 | 보건산업총괄 |
---|---|---|---|
작성일 | 2022-11-18 | 조회수 | 4,434 |
첨부파일 |
비대면 진료서비스 이용자 경험조사
- 조사대상 : 한시적 비대면 전화상담 및 처방 서비스를 경험한 만19세 이상 국민(환자) 1,707명
- 조사방법 : 온라인조사 CAWI
- 조사기간 : 2022년 9월 15일 ~ 9월22일
- 표집방법 : 전국 성별,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 추출
- 표본오차 : 무작위추출 전제, 95% 신뢰수준 ±2.37%
- 조사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한국리서치
성·연령
- 여자 50.8
- 만 50~59세 20.4
- 만 60세 이상 29.9
- 남자 49.2
- 만 19~29세 15.8
- 만 30~39세 15.6
- 만 40~49세 18.3
만성질환
- 예 44.9 - 1개 79.9 / 2개 16.2 / 3개 3.1
- 고혈압 33.8
- 당뇨 16.8
- 고지혈증 7.3
- 정신질환(우울증 등) 5.3
- 암 2.8
- 기타 34.0
- 아니요 55.1
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인지
알고 있었다 79.1 / 모르고 있었다 20.9
비대면 진료 관련 교육 홍보 경험
있다 17.2 / 없다 82.8
비대면 진료 이용 매체
음성·화상전화 71.7 / 모바일앱 28.3
비대면 진료·상담 시간
3분 이내 53.6 / 3~5분 34.4 / 5분 이상 12.0
비대면 진료 목적
- 코로나19진료 66.1%
- 만성질환 관리(당뇨, 고혈압 등) 20.6%
- 경증질환 치료(감기, 설사 등) 18.8%
- 수술, 퇴원 후 사후 관리 8.3%
- 소아과 질환 진료 4.7%
비대면 진료 선택 이유
- 시간·거리·이동 등 편리성·경제성 34.0%
- 코로나 격리중 34.0%
- 감염 우려 29.5%
- 신변 노출 우려 2.2%
비대면 진료 만족 및 이용시 어려움 경험자
구분 | 비대면 진료 만족 | 비대면 진료 이용 시 어려움 경험자 | |
---|---|---|---|
전체 | 62.3% | 13.4% | |
성별 | 남 | 62.3% | 13.4% |
여 | 65.3% | 12.1% | |
연령 | 만19~29세 | 66.9% | 14.5% |
만30~39세 | 60.9% | 18.0% | |
만40~49세 | 59.7% | 14.4% | |
만50~59세 | 62.4% | 10.6% | |
만60세 이상 | 62.0% | 11.7% | |
지역 | 대도시 | 60.6% | 12.8% |
중소도시 | 63.1% | 15.0% | |
읍면지역 | 65.1% | 11.5% | |
학력 | 고졸 이하 | 61.1% | 13.5% |
대졸 이상 | 63.2% | 13.4% | |
진료질환 | 코로나19 | 64.2% | 9.7% |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 60.0% | 20.0% | |
감기, 설사 등 경증질환 | 58.7% | 14.1% | |
기타 | 62.1% | 21.2% |
향후 비대면 진료 활용 의향
- 전체 87.9%
- 의원급 의료기관 거리 - 도보로 30분 이내 87.8% / 도보로 30분 이상 89.2%
- 의료기관 방문 빈도 - 월1회 미만 87.7% / 월1회 이상 88.3%
- 만설질환 보유 여부 - 예 87.1% / 아니오 88.6%
- 지역 - 대도시 87.9% / 중소도시 86.3% / 읍면지역 91.7%
- 진료·상담시간 - 3분이내 85.9%/ 3~5분 90.2% / 5분이상 91%
- 이용매체 - 음성화상전화 87.7% / 모바일앱 88.4%
- 전반적인 만족수준 - 만족 96.9% / 보통 80.0% / 불만족 45.3%
- 상담시간과 정보의 충족여부 - 예 93.4% / 54.2%
비대면 진료를 위한 필요한 서비스
- 가정용·휴대용 건강모니터링 도구 개발보금 33.7%
- 환자·의사 간 실시간 의료정보 제공활용 24.8%
- 온라인 예약·수납 13.9%
- 영상·화상 진료 12.4%
- 의료정보 연계 10.5%
- 온라인 복약지도 및 약 배송 4.8%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비대면 진료 경험자의 디지털헬스 역량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