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Q&A

home 소통·참여 Q&A

글자크기

RE: 보건관광,의료관광에 대해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처리상태, 정보 제공
작성자 ***
작성일 2012-03-21 조회수 1,902
처리상태
1. '의료관광'의 정의는 정의내리는 학자 또는 실무자들의 견해에 따라 다양하게 내려질 수 있으며, 용어 자체도 의료관광이 아닌 다른 용어(보건관광, 해외환자유치사업 등)로 사용 되어 질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어식 표현도 'medical tourism', 'medical travel', 'health tourism', 'medical outsorucing', 'global healthcare', 'cross border healthcare' 등 매우 다양하며, 이를 무엇으로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복지부와 그 산하기관들은 주로 '해외환자유치사업' 또는 '글로벌헬스케어' 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그외 부처에서는 '의료관광'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복지부는 '관광'보다는 '의료서비스'에 더 주목하고 있고, 문화체육관광부 등에서는 '의료'보다는 '관광서비스'에 더 주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각 부처의 주된 업무가 무엇이냐에 따른 구분일 뿐 '의료'와 '관광'산업의 융합적인 시너지효과를 기대하는 것에는 입장을 같이합니다. 3. '의료법'에는 '의료관광'의 정의가 없으나, '관광진흥법'에는 정의되어져 있는데 제12조의2 제1항에 의하면 "의료관광이란 국내 의료기관의 진료, 치료, 수술 등 의료서비스를 받는 환자와 그 동반자가 의료서비스와 병행하여 관광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되어져 있습니다. 4. '의료관광'의 정의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싶으시면, 시중에 발간되어 있는 '의료관광'관련 서적이나 정부기관과 각 연구소에서 발간된 연구보고서, 학위 논문 등을 참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5. 문의하신 '보건관광'에 관한 정의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2011년에 발간한 '의료관광통계 생산방안 연구(유지윤박사)' 보고서를 통해 알아보면, '보건관광'의 영어식 표현인 'Health Tourism'이라는 용어는 Internation Union of Tourist Organizations(IUOTO, 1973)에 의하여 처음 사용되어졌다고 합니다. 또한 IUOTO에서는 Health Tourism을 한 국가 내의 자연환경(특히 기후와 물)을 이용하여 건강시설을 제공하는 관광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의료관광통계 생산방안 연구-유지윤박사)'는 또한 Health Tourism을 '보건관광', '보양관광' 등으로 표현하였으며, 보건(Health)은 일반적으로 건강증진(보건의 습관, 영양, 운동, 휴양 등), 질병의 발견과 치료(건강진단, 치료, 간호 등), 질병의 예방(전염병 예방, 환경위생관리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6. 보고서에서는 '의료관광'의 개념을 해외학자들에 의한 분류에 따라 크게 다음의 4가지 즉, Eman M.Helmy의 분류 방식, Smith&Puczko의 분류방식, Joan C.Henderson의 분류방식, Mueller&Kaufmann의 분류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있습니다. 7. 아무쪼록 원하시는 답변이 되었기를 기대하며, 제가 안내한 보고서 뿐만 아니라 관련 참고도서 등을 참조하시면 보다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시는데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