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산업통상자원부

home 자료실 유관기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러시아, 국외 반출 금지 200여개 품목 발표(광학 정밀 의료기기 포함)

러시아, 국외 반출 금지 200여개 품목 발표(광학 정밀 의료기기 포함)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록일 2022-03-15 조회수 1,332
출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원문링크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70&CONTENTS_NO=1&bbsGbn=00&bbsSn=244%2C322%2C245%2C484%2C246%2C444%2C242&pNttSn=193567&p

2022년 3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

기계, 전자기기, 철도차량, 자동차, 항공기, 선박, 광학 정밀 의료기기 등 포함


러시아 정부는 202239일 연방정부 결의안을 확정, 10일 발표하며 20221231일까지 200여개 품목의 일시적 국외 반출 금지를 시행한다. 동 결의안에는 38일 발표한 대통령령 No.100 국외경제활동에서의 러시아 연방 안전 보장을 위한 특별경제조치 도입에서 언급한 반출 금지 품목의 HS Code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으며 적용 예외 범위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다. 결의안은 발표된 310일부터 바로 효력이 발생한다.

 

1. 연방정부 결의안 No.311(2022.3.9.) 202238일 대통령령 No.100 실현을 위한 조치

 

200여개 품목의 국외 반출을 20221231일까지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며 기계, 전자기기, 철도차량, 자동차, 항공기, 선박, 광학 정밀 의료기기 등 HS Code 84~90류 품목이 주로 포함되어 있다.

 

<결의안 No.311에 따른 일시적 반출 제한 품목>

HS Code()

반출 제한 품목 HS Code(EAEU 기준)

30(의료용품)

3006 10, 3006 40 000 0, 3006 70 000 0

38(각종 화학공업 생산품)

3815 19 900 0

44(목재 및 목탄)

4416 00 000 0

68(석‧시멘트 제품)

6804 22

70(유리와 유리제품)

7017

73(철강제품)

7304 23 000, 7309 00, 7310 10 000 0, 7311 00

82(비금속제의 공구)

8205, 8207, 8208, 8209 00

84(기계류)

8401~8443, 8444 00, 8445~8448, 8449 00 000 0, 8450~8487

85(전기기기)

8501, 8502, 8503 00, 8504~8533, 8534 00, 8535~8547, 8548 00, 8549

86(철도차량)

8601~8603, 8604 00 000 0, 8605 00 000 0, 8606, 8607, 8608 00 000, 8609 00

87(자동차)

8701~8705, 8706 00, 8707~8709, 8711, 8712 00, 8713, 8714. 8715 00, 8716

88(항공기)

8801 00, 8802, 8804 00 000 0, 8805~8807

89(선박)

8901, 8902 00, 8903, 8904 00, 8905, 8906, 8907, 8908 00 000 0

90(광학‧정밀 의료기기)

9001~9008, 9010~9015, 9016 00, 9017~9019, 9020 00 000 0, 9021, 9022, 9023 00, 9024~9032, 9033 00 000 0

[자료: 러시아 정부 결의안 No.311]

 

다만 아래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반출 금지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 러시아 영토에서 생산되고 ST-1 원산지 증명서를 갖춘 제품

 -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회원국, 압하지야공화국, 남오세티아공화국으로 반출되는 제품

 - 러시아 영토 밖에서 운송이 시작되고 끝나며, 국제 경유 운송의 일환으로 러시아 영토로부터 반출되는 제품

 - 러시아 영토 간 운송을 위해 외국의 영토를 통과한 제품

 - 외국 영토에 위치한 러시아 군대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러시아 영토에서 반출된 제품

 - 기술수출통제청의 라이센스, 군사기술협력청의 라이센스 및 목록, 국방부가 승인한 목록에 따라 반출된 제품

 - 원산지 불문 도네츠크 공화국, 루간스크 공화국으로 반출되는 제품

 - 세관구역에서의 통관 절차 처리 및 완료를 목적으로 반출된 제품이며 해당 제품이 타 세관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세관 창고 절차 및 세관 경유 절차는 제외)

 - EAEU 회원국에서 생산, 가공(원산지), EAEU 세관 영토 외로의 반출을 위한 세관 절차로 인해 해당국가에 위치한 제품

 스발바르 군도에서의 러시아 연방 조직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러시아 영토에서 반출되는 제품

 국제 운송 수단

 -  개인이 사적 사용을 목적으로 반출하는 제품

 

2. 연방정부 결의안 No.313(2022.3.9.) 202238일 대통령령 No.100 실현을 위한 조치

 

아울러 러시아는 결의안 No.313에 따라 한국 등 비우호국가로 지정된 국가에 대해서 20221231일까지 일부 목제 제품에 대한 반출 또한 금지하였다. 다만 아래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반출 금지 대상에서 제외된다.

 

 - 러시아 영토 밖에서 운송이 시작되고 끝나며, 국제 경유 운송의 일환으로 러시아 영토로부터 반출되는 제품, 또한 러시아 영토에서 생산가공되고, 러시아 영토 간 운송을 위해 외국의 영토를 통과한 제품

 - 외국 영토에 위치한 러시아 군대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러시아 영토에서 반출된 제품

 -  스발바르 군도에서의 러시아 연방 조직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러시아 영토에서 반출되는 제품 

 - 개인이 사적 사용을 목적으로 반출하는 제품

 

<결의안 No.313에 따른 반출 금지 대상 국가>

국가명

대한민국, 호주, 알바니아, 안도라, 영국, EU 회원국, 아이슬란드, 캐나다, 리히텐슈타인, 미크로네시아, 모나코, 뉴질랜드, 노르웨이, 산마리노, 북마케도니아, 싱가포르, 미국, 대만, 우크라이나, 몬테네그로, 스웨덴, 일본

[자료: 러시아 정부 결의안 No.313]

 

<결의안 No.313에 따른 반출 금지 품목>

HS Code(EAEU 기준)

품목 설명*

4401 21

4401 22

칩 또는 부스러기 형태의 목재

4403

원목[껍질ㆍ변재(邊材)를 벗긴 것인지 또는 거칠게 각을 뜬 것인지에 상관없다]

4408

베니어용 단판[적층 목재를 평삭(平削)한 것을 포함한다], 합판용 단판이나 이와 유사한 적층 목재용 단판, 그 밖의 목재[길이의 방향으로 톱질한 것, 평삭(平削)한 것, 회전식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두께가 6밀리미터 이하인 것으로 한정하며, 대패질ㆍ연마ㆍ엔드-조인트한(end-jointed) 것인지에 상관없다]

* : 품목 설명은 참고용으로 제공하는 정보로 규제 해당 품목 구분은 HS Code에 따라 판단 필요

[자료: 러시아 정부 결의안 No.313]

 

우리나라의 제재 대상 목재 품목의 2021년 대러 수입액은 약 3백만 달러로, 우리나라가 러시아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하는 목재인 제재목(HS Code 4407, 2021년 수입액 16,700만 달러), 합판 등 적층 목재(HS Code 4412, 2021년 수입액 4,650만 달러)는 제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제재 대상 목재 품목 대러 수입액>

(단위: US$ )

HS Code

수입액(2021)

합 계

2,940

4401 21

71

4401 22

43

4403

4

4408

2,822

[자료: 한국무역협회 K-stat]

 

이번 반출 금지 조치는 러시아 내 제품 생산을 보장확대하고 가격 인상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임과 동시에 목재 등 일부 품목의 경우 비우호국가들에 대응하는 경제 조치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러시아로부터 제품을 수입하거나 현지에서 제품을 역외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에겐 취급 제품이 일시적 반출 금지 대상이 아닌지 면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

 

자료: 러시아 정부 포탈(http://government.ru/news/44762/), Interfax, K-Stat, 블라디보스톡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