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R&D(연구개발) 정보

home > 제약글로벌정보센터> 의약품 R&D 정보> R&D(연구개발) 정보

글자크기

노벨상 수상 이후,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의 임상적 응용

노벨상 수상 이후,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의 임상적 응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08-05 조회수 1,703
국가정보 아시아>대한민국
출처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원문 https://www.ibric.org/bric/trend/bio-report.do?mode=view&articleNo=9914647&srCategoryId=100&article.offset=0&articleLimit=10#!/list
요약문
신약개발의 패러다임(paradigm)은 화학물질의 합성 개념에서 출발하였지만 현재는 단백질 공학을 이용한 항체 치료와 같은 바이오 신약의 개념으로 그 의미가 넓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치료를 위해 살아있는 세포를 환자에게 직접 주입하는 세포 치료의 개념으로 더욱 확장되고 있다. 이것은 small molecule(합성 신약)에서 출발해서 large molecule(바이오 신약)을 거쳐 mega molecule(세포치료)로의 진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기존의 관념적인 치료법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혹은 특정 병원균을 타깃으로 활성의 억제 혹은 제거를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었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법은 때로는 질병의 근원적인 치료법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는 기능성이 떨어진 세포나 기관을 새롭게 바꾸어 주는,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했던 여러 가지 질병의 근본적인 치료법을 우리에게 제시해 준다. 그러므로 줄기세포와 역분화의 발견은 재생 의학뿐만 아니라 근대 의학의 흐름을 바꾸어 준 커다란 사건이다. 2012년 Dr. Yamanaka의 노벨상 수상은 이러한 변화에 기폭제가 되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여러 질병에 대한 치료가 연구 개발되어 왔다. Dr. Yamanaka가 노벨상을 수상한 지도 벌써 12년의 세월이 지난 현재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제들의 임상적 응용과 앞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목 차

1. 서론(들어가며)
2.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란 무엇인가?
  2.1.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2.1.1. 줄기세포 배양액
    2.1.2. 줄기세포 계대배양(passage)을 위한 reagent
    2.1.3. 줄기세포 배양을 위한 matrix
    2.1.4. 줄기세포 cryopreservation media
  2.2.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3. 임상 시험을 위한 줄기세포의 품질관리(Quality Control)와 CMC(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 4. 대표적인 iPSC 관련 기업들
5. 진행 중인 임상시험들
6. 결론(글을 마치며)
7.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