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home > 국내외뉴스> 국내뉴스
- 글자크기
""""올루미언트"""" 이어 """"린버크"""", 아토피 보험급여 노린다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21-10-12 | 조회수 | 441 |
출처 | 메디컬타임즈 | ||
원문 |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81031 |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한국릴리의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에 이어 한국애브비의 ''''린버크(유파다시티닙)'''' 역시 최근 아토피피부염 등 국내 적응증 확대와 함께 급여 신청을 제출했다.
린버크는 지난 5일 식약처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강직성 척추염 및 건선성 관절염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 승인받았다.
또 두 약물에 이어 한국화이자도 ''''시빈코(아브로시티닙)''''의 국내 허가 절차를 진행중인 만큼, 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의 ''''듀피젠트(두필루맙)'''' 이후 아토피피부염 영역에서 새로운 치료옵션이 탄생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듀피젠트의 경우 현재 소아·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에 대한 급여 확대 적용을 위해 보험당국과 논의를 진행중이다.
린버크는 치료 옵션이 적은 아토피피부염 치료에서 올루미언트에 이은 두 번째 JAK억제제로 등극했다. 성인에서만 쓰일 수 있는 올루미언트와 달리 린버크는 12세 이상 청소년에서도 쓰일 수 있다.
이 약은 듀피젠트와 직접 비교 연구인 3b상 Heads Up 연구를 통해 유효성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 린버크군은 16주차 EASI 75에 달성한 환자 비율이 71.0%로 듀피젠트군 61%보다 높았다. 최근에는 환자의 환부를 4곳(머리와 목, 몸통, 팔, 다리)으로 나눠 16주차 EASI 75를 달성한 비율을 살펴본 결과, 린버크군이 1주차에 환부 4곳에서 EASI 75에 달성한 비율이 더 높았으며, 이는 16주차까지 지속됐다. 즉 환부와 상관없이 린버크가 듀피젠트보다 더 빠르게 증상을 해소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JAK억제제들은 현재 안전성 이슈가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최근 미국 FDA가 젤잔즈를 비롯해 올루미언트, 애브비의 ''''린버크(유파다시티닙)'''' 등 JAK억제제에 대한 심장마비 위험성을 경고하는 안전성 서한을 배포하면서 향후 이들 약물이 이슈를 해소하고 아토피 치료옵션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지켜 볼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