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home 자료실 유관기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이란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동향
작성자 | 관리자 | 카테고리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
등록일 | 2019-06-25 | 조회수 | 7,381 |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
원문링크 | http://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781/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5776&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 |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동향
- 한국, 지난 3년간 이란의 치과용 부속품 전체 수입액 1위 차지 -
[안내 말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예외인정기간이 5월 2일 13시(미국시각 5월 1일 24시)부로 종료됐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 및 기업은행의 원화결제시스템 운영이 중단돼 한국과 이란 간 원화 결제계좌를 이용한 수출입 교역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 (5월 3일 자 정부 공고문 게재 내용) 따라서, 해당 보고서는 비록 현시점 이란 진출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평소 이란 시장에 관심이 있으신 기업들의 현지 시장 동향 업데이트 수요를 위해 작성됐음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상품명, HS Code(6단위)
ㅇ 상품명: 치과용임플란트
ㅇ HS Code(6단위): 902129
□ 시장규모, 시장동향
ㅇ 이란은 MENA 국가 중 의료기기 보상지수 1위, 시장 규모 2위를 차지하였으며 비 GCC 국가 중 가장 큰 시장규모를 차지함. 이러한 이란 시장 성장률은 높은 인구 성장률로 인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임.
ㅇ 2018년 8월 미국의 이란 제재복원 후 이란 정부는 의료기기 등 비재제 품목에 대한 해외기업의 국내 제조시 지원 정책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
ㅇ 이란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에 대한 BMI 전망에 따르면, 2018-2023년까지 약 1억5,370만 달러에 도달하여 9.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이란의 치과용품 시장규모(2013-2023, 미달러)
자료원: BMI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지난 2016-2018년 이란의 치과용 부속품 수입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작년에는 전년 대비 11.48% 증가해 약 3,900만 달러를 기록
- 2018년 한국은 전체 수입액 가운데 약 2,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58.6%의 점유율로 상위 10개국 중 1위를 차지
- 스위스와 독일은 각각 약 550만, 300만 달러로 2위와 3위를 차지함.
이란의 치과용 부속품 수입액 동향(HS code: 902129)
국가명 |
미국 달러(USD) |
점유율(%)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
전체 |
24,987,619 |
35,413,085 |
39,477,749 |
100.00 |
100.00 |
100.00 |
11.48 |
한국 |
11,752,869 |
16,080,458 |
23,133,469 |
47.03 |
45.41 |
58.60 |
43.86 |
스위스 |
1,805,246 |
3,628,432 |
5,571,860 |
7.22 |
10.25 |
14.11 |
53.56 |
독일 |
2,016,490 |
2,468,098 |
2,965,597 |
8.07 |
6.97 |
7.51 |
20.16 |
UAE |
4,907,105 |
8,016,010 |
2,251,966 |
19.64 |
22.64 |
5.70 |
- 71.91 |
미국 |
1,736,229 |
2,495,910 |
1,761,924 |
6.95 |
7.05 |
4.46 |
- 29.41 |
프랑스 |
873,618 |
639,852 |
1,100,563 |
3.50 |
1.81 |
2.79 |
72.00 |
이탈리아 |
635,523 |
808,583 |
892,527 |
2.54 |
2.28 |
2.26 |
10.38 |
오만 |
0 |
0 |
394,813 |
0.00 |
0.00 |
1.00 |
0.00 |
중국 |
167,257 |
196,879 |
368,616 |
0.67 |
0.56 |
0.93 |
87.23 |
벨기에 |
0 |
0 |
255,891 |
0.00 |
0.00 |
0.65 |
0.00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국가별 이란 내 치과용 부속품 수입시장 점유율(2016-2018)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한국의 치과용 부속품 수입액은 지난 2016년 대비 2017년 36.82%, 2017년 대비 2018년 43.86% 증감률을 보이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이란 내 수입시장 점유율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ㅇ 2016년 이전에는 이란 제재로 인해 주로 유럽산 브랜드에 집중되었으나, 2016년부터 잠시 제재가 중단된 시기에 이란 시장 내 한국 기업들이 대규모로 진출했으며 그 여파로 2018년까지 시장이 꾸준히 확대됨.
대한 치과용 부속품 수입액 동향
HS Code |
상품명 |
미국 달러(USD)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
902129 |
치과용 부속품 |
11,752,869 |
16,080,458 |
23,133,469 |
43.86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이란의 임플란트 시장 내 가장 유명 브랜드는 한국 브랜드이며, 가격대비 품질 측면에서 병원 및 의사들이 가장 선호하여 최근 이란 시장내 진출이 급속히 확대됨.
- 이 외에 스위스, 미국, 스웨덴 브랜드 등 경쟁기업 브랜드는 대부분 고가여서 일부 충성도 높은 고객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시장점유 유지
현지 주요 경쟁국 제품현황
국가명 |
기업명 |
비고 |
미국 |
Zimmer |
- 이란 내 가장 고가의 임플란트로 높은 브랜드 인지도로 선호하는 수요가 있음. |
스위스 |
Straumann |
- 최신 기술 및 훌륭한 임상 결과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브랜드 - 2018년 이란의 현지업체 Kousha fan pars 와 합작투자 추진 |
SPI |
- 고가이나 고품질로 인정받은 브랜드로, 유럽산 충성도 높은 고객 수요로 이란내 비즈니스 지속 |
|
스웨덴 |
Nobel BIO |
- 고품질 제품으로 유명한 브랜드로, 미국산보다는 가격이 저렴하며 일부 지속적인 수요층 보유 |
자료원: KOTRA 테헤란무역관
□ 유통구조
ㅇ 이란 현지 수입업체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치과용임플란트의 유통구조는 아래와 같음.
자료원: KOTRA 테헤란무역관
□ 관세율(일반 관세율, 한국산 제품 관세율, 최대 수입국 제품 관세율)
ㅇ 최근 이란 관세청에 의해 발표된 수출입 규정에 따르면, 수입세액과 부가가치세는 아래와 같음.
HS 코드 |
부가가치세(VAT) |
수입 관세 |
총 수입세 |
902129 |
9% |
5% |
14% |
자료원: 이란 관세청
(Trade Promotion organization of Iran Import-Export Regulation act Book)
□ 수입규제(무역협정), 인증
ㅇ 미국의 대이란 제재품목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제외
ㅇ 이란 내 치과용 임플란트는 생필품 분류에 편입, 수입 시 미국 달러(USD) 외화배정을 정부환율(미달러당 42,000 IRR)을 적용해,시중환율(2019년 6월 20일 기준 미달러당 13,5000 IRR)보다 유리하도록 조치
- 이란의료기기부(IMED)가 발표한 정부환율 적용 대상 치과용품 목록에 따르면, 주로 임플란트 픽스처(implant fixture) 및 기타 제품이 포함되나, 임플란트 치근(implant abutment)은 적용되지 않고 일반 시중환율 적용
이란내 수입시 정부환율 적용 가능 치과용품 목록
연번 |
제품명 |
연번 |
제품명 |
1 |
Paper point |
21 |
Composite Self Cure |
2 |
RC-Prep |
22 |
Bonding |
3 |
Siler |
23 |
CBCT, OPG, periapical main parts |
4 |
Gutta percha |
24 |
X-ray Film, Dental |
5 |
Dressing |
25 |
Fixture |
6 |
Sensor of Photo Stimulated Phosphor Plate (PSP) |
26 |
low speed handpiece Unit |
7 |
Denture Adhesives |
27 |
Airmotor Unit |
8 |
Matrix Band |
28 |
High speed handpiece Unit |
9 |
Dental Hand Instruments Endodontic file |
29 |
Needled Dental |
10 |
Dental Rotary Instruments Endodontic file |
30 |
Casting Alloys (nonprecious) |
11 |
Glass Inomer Cements |
31 |
Dental Porcelain |
12 |
Cement Zinc Phosphate |
32 |
Cadcam Bloc |
13 |
Cement Polycarboxylate |
33 |
Raw materials for cement |
14 |
Cement Zinc Oxide Eugenol |
34 |
Raw materials for siler |
15 |
Alginate |
35 |
Raw materials for Endodontic file |
16 |
Silicone Rubber |
36 |
Raw materials for dental burs |
17 |
SS-Crown |
37 |
Raw materials for composite |
18 |
ZOE Molding Material |
38 |
Raw materials for absorbent paper points |
19 |
Cement Resin |
39 |
Raw materials for glass inomer cement |
20 |
Composite & Composite Kit |
40 |
Raw materials for gutta percha points |
자료원: 이란 의료기기부(IMED)
ㅇ 이란 내 치과용 임플란트 등 의료기기 등록을 위해 아래 절차를 통한 이란 의료기기부(IMED)의 허가가 반드시 필요
자료원: 이란 의료기기부(IMED)
- 1. 공급업체(모기업) 등록: 원산지 제조사에 대한 세부 정보, 이란 대사관에 합법화된 독점 대리점/유통업체를 다루는 제조업체의 공인된 LOA(Letter of Authorization) 필요
- 2. 안전성 및 성능 검토: CSDT(의료기기 분류 및 설명 포함), CE 승인, FDA 또는 일본 증명서, 원산국 FSC, 판매/마케팅 이력 및EU, 미국, 일본 내 시장점유율(C,D 등급 해당), 라벨 정보 필요
의료기기 안정성 등급 검토 시 분류 기준
분류 |
예시 |
위험도 |
A등급 |
단순 수술기구, 압설자 |
하 |
B등급 |
소화 카테테르, 주입펌프, 전동 휠체어 |
중하 |
C등금 |
투석기,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
중상 |
D등급 |
관상동맥 스텐트 |
상 |
자료원: 이란 의료기기부(IMED)
- 3. 생산 점검 및 현장 방문: 품질 관리 증명서(ISO 13485), GMP(이란 MOH에 의해 증명서 허가가 거절될 시 현장 방문 필수)
- 4. 전문가 위원회 검토
- 5. 연구실 검토 또는 샘플 성능 확인
- 6. 부서 승인
ㅇ 현지 에이전트 등록 시 지불비용은 없으나, 추후에 의료기기 수입 허가 및 라이선스 취득 시 현지 에이전트는 제품 등록을 위해 이란 재무부에 제품 가격의 0.5%를 지불해야 함.
- 현지 에이전트 및 허가 취득을 위해 소요되는 총 기간은 15~30일(근무일 기준)로 예상되나 상황에 따라 변동가능
ㅇ 미국의 이란 제재 관련 참고사항
- 이란에 의료기기를 수출하고자 하는 미국 기업들은 특정 허가증(Specific Authorization)을 취득해야 하며, 이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이 발행함.
- 미국에 법인을 두거나 미국산 의료기기 및 관련 소재, 부품을 이란에 수출 시에도 방사선 의료기기 등 미국 OFAC에서 명시한 특정 허가 필요 품목(http://www.treasury.gov/resource-center/sanctions/Programs/Documents/iran_gl_med_supplies.pdf)에 포함되면 미국 OFAC의 별도 허가를 받아야 함.
□ 이란 현지 업체 인터뷰
ㅇ D사
- 동사의 대표 A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란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은 규모가 크나 현재 미국의 제재로 인해 송금 문제 발생
- 의료기기는 제재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 아직까지 이란 내 수입이 가능한 상황
- 이란 내 미국, 유럽 브랜드 제품은 대부분 고가이므로 한국 제품의 적절한 가격과 품질의 특성을 잘 살려 이란 시장 진출 시 상당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
- 한국 기업은 IMED 제품 등록 절차 및 송금 방안 등 이란 시장에 대한 구체적 정보와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언급함.
ㅇ M사
- 동사의 대표 S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현재 이란 내 소비자들의 주안점은 가격이므로 한국 업체가 이란 내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에 있어 이란 업체와의 합작 투자를 통해 제품의 최종 판매가를 감소시킨다면 이란 시장 진출 시 성공가능성 높을 것.
- 현재 이란 내 몇몇 한국, 스웨덴 업체들이 치과용 임플란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상당한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란 정부의 국내 생산 지원 정책을 통한 수혜도 볼 수 있다고 함.
ㅇ A사
- 동사는 한국 업체 두 개사의 독점 에이전트이며 현재 교역 시 가장 큰 문제점은 송금 문제.
- 동사의 대표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로 인해 현재 이란 시장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이는 일시적 상황일 것이며 대부분의 현지 바이어는 제재 이후 비즈니스를 위해 외국 업체와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희망하고 있음.
□ 시사점
ㅇ 미국의 대이란 제재에도 불구하고 이란 현지업체들은 추후 외국업체와 거래 가능성을 열어두고 꾸준히 검토 중임.
ㅇ 의료기기 및 의약품은 인도적 물품에 속해 미국의 대이란 제재품목에서 제외되나, 이란과의 유일한 공식 금융거래 창구인 원화결제시스템이 중단되어 당분간 비즈니스 진출은 어려운 상황
ㅇ 몇몇 우리 기업은 이란 업체와 합작 투자를 통해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을 꾸준히 이란 내 수출해왔으며, 현재는 어려운 상황이나 추후 호전될 것을 대비해 지속적인 시장 조사 및 현지 바이어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 수집이 필요할 것.
자료원: BMI, Global Trade Atlas, 이란 관세청, 이란 의료기기부(IMED) 및 KOTRA 테헤란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해외시장뉴스 기사는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단 이미지나 표 자료 등 공사가 직접 작성하지 않고 별도 출처가 명기된 외부 자료의 사용에 대해서는 해당 출처의 담당자와 별도 협의한 이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인도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현황
- 다음글 러시아 의료기기 시장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