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관제도
크로아티아 통관 및 운송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9-04-08 | 조회수 | 2,709 |
국가정보 | 유럽>크로아티아 | ||
원문 | KOTRA | ||
출처 |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83 | ||
첨부파일 |
-
가. 일반 통관절차 개요
크로아티아의 통관은 세계무역기구(WTO)의 규정을 따라가고 있으며, 특별한 제품에 대해서는 추가 서류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통관 편의를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현지 포워더를 접촉, 지정하는 경우이다. 비용은 40피트 컨테이너의 경우, 크로아티아 항구(Rijeka 항)에서 수도 Zagreb까지의 내륙 운송에서 통관절차까지 대행 시 2,000~2,500쿠나(400~ 500달러) 정도 소요된다. 또는 개인이 직접 통관을 수행할 시 수입 면장 작성과 과세 측정서(필요 시) 발급 관련 세금을 납부하고 세관의 서류 검토 후 화물 검사(선택적)를 한 후 물품을 인수할 수 있다.
통관서류로는 관세부과를 위해 관세신고서, 수입품목 목록, 송장, 선적서류, 원산지증명서, 수입허가서가 있으며, 이는 수입업자가 준비한다. 통관에는 일반적으로 2일에서 5일 정도 소요된다. 통관면세서류로는 투자업체 입증서류, 투자장비 계약서, 외국인증명서, 수수료 납입증명서가 포함된다.
통관 시 필요 서류
- 관세 신고서
- 원산지 증명서
- 선적 서류
- 상업 송장
- 포장 목록
- 과세
- 측정서(필요 시)
- 보험 증서(필요 시)
- VAT 지불 영수증
크로아티아의 경우 제품 수입 시, 수량 및 가격에 대한 언더밸류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출인의 계좌로 입금된 금액에 대한 송금 확인서가 크로아티아 중앙은행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으며, 관세청에 신고한 금액보다 수출업체의 계좌에 더 많은 금액을 송부할 시 조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목적항에 화물이 도착 후, 선사에 따라 목적항에 7~14일 정도 보세지역에 무료 보관할 수 있으며, 도착일부터 1일씩 계산되고 통관 시 2~3일이 소요되므로 추가 비용을 고려해 보세지역 무료 보관 가능 기간 이내에 통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물품 검사
수입 면장 등의 서류를 작성하고 각종 세금을 납부한 후 세관에 제출 시 물품 검사 여부를 세관에서 결정한다. 물품 검사의 경우 대부분 수량에 대한 검사가 대부분이며, 검사 여부도 세관원의 판단에 따른다. 크로아티아 관세청에서 선정한 ‘과세 평가 대상’의 제품(주요 인증제도 참조)의 경우 물품 검사가 주로 이루어지며, 그 외의 경우는 문서상 언더밸류의 가능성이 있는 제품만 선별적으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통관 시 물품 검사를 할 경우 전체 통관 소요기간은 약 3일이 소요된다. 55개 항목의 제품은 국립 과세 평가 사무소에서 지정한 검사소에서 물품 검사 수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구의 경우 지정 검사소의 한 곳인 Šumarski Fakultet에서 검사를 할 수 있다.
-
ㅇ 담당기관 연락처
-
- 자그레브대학교 임업대학(University of Zagreb Faculty of Foresty) [Sveu čilišta u Zagrebu)
-
-
- 주소: Svetošimunska cesta 25, 10 000 Zagreb, Croatia
-
- 전화: +385 1 2352 555
-
- 팩스 +385 1 2352 496
-
- 홈페이지: http://sumfak.unizg.hr
-
-
-
ㅇ 크로아티아 관세청 사이트
나. 주요 항구
RIJEKA(리예카)
크로아티아의 제1의 항구이자 제3의 도시이다. 수도 자그레브와 180km 떨어져 있으며 슬로베니아의 류블랴나와의 거리는 120km, 오스트리아 빈과의 거리는 490km로 중동부 유럽의 해상 운송 기지의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물류센터의 역할을 위해 해당 항구에서 자그레브를 거쳐 헝가리 국경에 이르는 왕복 4차선 고속도로 건설 공사가 완료돼 물류여건이 크게 개선됐다.
1997년 자유(무역) 지대로 지정됐으며, 동유럽 및 중 유럽 진출기지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해운수출 시, 리예카를 활용할 경우 로테르담이나 함부르크보다 최대 일주일가량 운송일자를 줄일 수 있다는 것에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정기 화물선이 운행되지 않고 있다. 인근 슬로베니아의 코퍼(Koper) 항보다 운송요금이 다소 높고(THC+ISPS EUR150), 배후시설이 낙후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는 물류 산업 활성화를 위한 리예카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 프로젝트와 철도망 구축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의 노력을 했으나 여전히 전반적인 여건이 개선되지는 못한 상황이다. 더군다나, 슬로베니아는 Pragersko-Hodoš 라인의 전철화 및 현대화를 마쳐 코퍼-류블랴나-헝가리 부다페스트를 잇는 철도의 속도 향상 및 효율성 증대를 이뤄내 리예카 항은 별다른 변동 없이 저조한 물동량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SPLIT(스플리트)
크로아티아 아드리안 해안의 달마시아 지역 중심도시로서, 자그레브에 이어 인구가 2번째로 많은 제2의 도시이다. 우리나라와의 화물 운송에 있어서 크게 중요성이 있는 항구는 아니며, 주로 섬 관광 위주의 선박과 요트, 페리 등이 취항하고 있다.
PLOCE(플로체)
스플리트와 남쪽 두브로브니크 중간 지점에 있는 항구로 자유무역지대로 지정됐으며,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지역을 겨냥한 화물 수송의 적격 지역이다. 보스니아 운송 물품은 주로 플로체 항구를 이용하고 있으며, 1998년 하반기에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간 특별 관계 협정 및 보스니아의 플로체 항 이용과 보스니아 네움 지역에 대한 크로아티아 측의 자유 통과를 보장으로 하는 협정이 체결돼, 보스니아의 경우 이 항구의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 공항(자그레브 국제공항)
국제공항은 자그레브, 스플리트, 두브로브니크에 있으며 주로 유럽 노선이 취항한다. 정기 국제 항로로는 암스테르담, 베를린, 브뤼셀, 코펜하겐, 뒤셀도르프, 프랑크푸르트 괴테 보르그, 이스탄불, 런던, 밀라노, 모스크바, 뮌헨, 파리, 프라하, 로마, 사라예보, 스톡홀름, 슈투트가르트, 비엔나, 취리히, 함부르크가 있고, 국내선은 두브로브니크, 풀라, 스플리트, 자다르 등이 있다. 한국 노선의 경우, 프라하, 취리히, 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파리, 런던, 이스탄불, 비엔나, 모스크바, 도하 등 인근 국가를 경유해야 한다.
운송 비용 및 소요기간
-
선박 운송: 20피트 컨테이너의 경우, 약 32일이 소요되며 20피트 컨테이너 기준 컨테이너 비용은 하기그래프와 같다.
슬로베니아 코퍼항 시장운임 동향
자료원: 무역협회
라. 수출입 통관 서류
수입 통관 서류 |
수출 통관 서류 |
선하증권(Bill of lading)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선적서류(Customs cargo release form) 수입신고서류(Customs import declaration form) 포장목록(Packing list) CRF(Pre-shipment inspection clean report of findings) 기술준수/보험(Technical standard/health certificate) 터미널 영수증(Terminal charges receipt) |
선하증권(Bill of lading)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선적서류(Customs export declaration form) 포장목록(Packing list) CRF(Pre-shipment inspection clean report of findings) 기술준수/보험(Technical standard/health certificate) |
주요 운송회사 및 통관서비스 회사 리스트
ㅇ Atlantska plovidba d.d.
- 주소: Ul. dr. Ante Starčevića 24, 20000 Dubrovnik
- 홈페이지: http://www.atlant.hr
- 전화: +385 2 0352 333
- 팩스: +385 2 0356 148
- 비고: 두브로브니크를 거점으로 운영, 드라이벌크, 중량화물이 주요 시장임.
ㅇ Jadroplov d.d.
- 주소: Obala kneza Branimira 16, 21000 Split
- 홈페이지: http://www.jadroplov.hr
- 전화: +385 2 1302 777
- 이메일: commercial@jadroplov.com
- 비고: 스플리트를 거점으로 운영
ㅇ Uljanik plovidba d.d.
- 주소: Carrarina 6, 52100 Pula
- 홈페이지: http://www.uljaniksm.com
- 전화: +385 5 2211 544
- 팩스: +385 5 2211 339
- 비고: 풀라를 거점으로 운영 선박관리회사
ㅇ Infokorp d.o.o.
- 주소: Savska 106/3,10 000 Zagreb
- 홈페이지: http://www.infokorp.hr
- 전화: +385 1 2221 200
- 팩스: +385 1 6112 574
- 비고: 통관
-
대한민국 관세청은 수출통과절차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관세청 홈페이지( http://www.customs.go.kr) 웹사이트에서 관세행정 안내 → 수출 → '수출통관이란' 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
크로아티아 통관절차 흐름
Transit |
운송 |
Inward Processing Under Suspension System |
검역 및 역내처리 |
Inward Processing Under Drawback System |
환급세제 및 역내처리 |
Customs Warehousing (five categories) |
세관 보관 |
Processing Under Customs Control |
세관 검사장 처리 |
Temporary Admission |
가통관 |
Outward Processing |
역외 처리 |
Exportation |
수출 |
- 이전글 폴란드 통관 및 운송
- 다음글 체코 통관 및 운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