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관제도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통관제도

글자크기

이탈리아 통관 및 운송

이탈리아 통관 및 운송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5,770
국가정보 유럽>이탈리아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65
첨부파일

. 통관 절차

 

이탈리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통관 절차는 다음과 같다.

 

  •   ㅇ 물품의 반입

  •      - 지정된 보세구역에 물품을 반입

     

  •   ㅇ 수입 신고

  •     - 수입 시 관세청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기재된 해당 물품의 송품장·과세 자료 등을 갖추어 관할 세관에 신고

     

  •   ㅇ 서류 심사

  •     - 세관은 수입 신고서가 접수되면 관계 법령의 저촉 여부, 구비 서류의 이상 유무, 기재 사항의 오류 유무를 확인

     

  •   ㅇ 검사·감정

  •     - 서류와 관세·특별 소비세·부가가치세 등의 세율 적용상의 실물을 대조, 확인

     

  •   ㅇ 관세 부과·징수

  •     - 관세를 확정해 징수

     

  •   ㅇ 물품 반출

  •     - 세관으로부터 허가를 얻은 후 보세구역에서 반출

     

    . 통관의 종류

     

  • 약식통관

     

    약식통관은 샘플품목 등을 수입할 때 이용되며, 원산지 증명서 등이 필요하지 않고 선하증권(BL) 혹은 항공화물운송장(AWB) 및 인보이스만 필요로 한다.

     

  • 정식통관

     

    정식통관은 이탈리아에 수출입하는 회사들이 일반적인 통관절차를 거칠 때 이용되는 방법이며, 통관을 위한 구비서류로 일반적으로는 선하증권, 인보이스, 팩킹리스트, 원산지 증명서 등이 있으며 특수한 품목인 경우(가스 등)는 특정 라이선스가 요구될 수 있다.

     

  • 우편통관

     

    모든 국제 우편물은 관세법과 국제협약에 의해 세관의 검사를 받게 되는데, 이는 관세 등의 조세 확보와 국민건강 보호를 위해서이다. 따라서 일부 국제 우편물은 이탈리아 내 반입이 금지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구비서류는 ‘국제 우편물 통관 신청서’ 안에 보내는 품목의 밸류와 종류, 보내는 목적 등을 기입해야 한다.

     

  • 보세통관

     

    이탈리아 내 수입 시 정식 통관절차를 거치지 않고 T1(보세운송통관서류)를 발급 후, 다른 보세지역에 수입화물을 운송하면 지정된 곳에서 통관이 가능하다.

     

    . 물품 검사 및 보류 및 압류

     

    물품 검사는 보통 세관이 정한 시간에 세관 통제 구역인 부두, 창고 등 지정된 장소에서 하며 플랜트 설비, 정밀기기, 귀중품, 긴급 수요 물자, DOOR TO DOOR로 운반되는 경우 등과 같이 세관이 지정한 장소에서 검사가 어려운 물품에 한해서는 세관원이 직접 현장에 파견돼 검사를 진행한다.

     

    . 통관에 필요한 선적 서류

     

     1) 송장

 

명세서·계산서·대금 청구서를 겸한 선적 서류로, 상거래용으로 쓰이는 상업 송장(commercial invoice)과 영사 송장(領事送狀: consular invoice) 및 세관 송장(customs invoice) 등의 공용 송장(official invoice)으로 대별되며 일반적으로 상업 송장을 가리켜 송장이라 한다.

 

  • 상업 송장

 

매도인의 매수인에 대한 출하 안내서이자 가격 계산서 상업 송장에는 선적인, 피발행인, 통지처, 선적항, 최종 목적지, 운송 업체명, 예상 출항일, 하인 상품 명세, 수량, 단가, 금액 등이 기재된다. 상업 송장의 작성자는 매도인이 되고, 신용장 거래의 경우 피발행인은 개설 의뢰인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업 송장의 금액은 원천적으로 신용장 금액을 초과해 작성될 수 없. 또한 상업 송장의 상품 명세는 신용장상의 상품 명세와 일치해야 한다.

 

  • 영사 송장


  • 선적 서류의 하나로, 수출국에 소재하는 자국의 영사로부터 확인을 받는 서류이다. 송장을 크게 상업 송장(commercial invoice)과 공용 송장(official invoice)의 두 종류로 나눌 때 세관 송장(customs invoice)과 함께 공용 송장에 해당된다. 

  •  

  • 수입할 때 관세 등을 포탈하거나 낮게 받기 위해, 또는 외화를 도피시키거나 덤핑을 목적으로 하는 부정한 송장 작성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내용은 일반 무역 거래에서 사용되는 상업 송장과 비슷하나 신용장에 'visaed'라고 하는 영사의 서명이 필요하다는 문구가 기재돼 있다.

  •  

  • 'Legalized'라는 문구가 기재돼 있는 경우 송장은 물론 선하 증권에도 영사의 서명을 받아야 하며, 공증인의 인증이 필요한 'notarized'의 경우 영사의 서명은 물론 상공회의소의 인증 또한 갖춰야 한다. 아직 소수의 개발도상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 폐지돼 가는 추세이다.

 

 2) 포장리스트

 

포장에 관한 사항을 상세히 기재한 서류로 포장 내의 수량과 순중량·총중량·용적·화인·포장의 일련 번호 등을 기재하는 것으로, 패킹 리스트라고도 불린다. 선하 증권이나 상업 송장과 같은 필수적인 서류는 아니나 원산지 증명서와 함께 실무적으로 사용된다. 상업 송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며, 포장 단위 별로 내용물의 목록을 모두 기재하나 가격은 기재하지 않는 것이 관례이다.

 

 3) 세관의 조사항목

 

이탈리아 세관은 물건 도착 시 일반 수입인지 라이선스 수입인지, 수입규제 대상 품목인지 무기, 마약류와 같이 제한된 허가품목인지에 대한 조사를 하게 된다. 또한 EU 규정 내 안전지침을 따른 적합한 품목인지 CE 마킹 준수, 위조제품 여부 등에 대한 엄격한 조사를 거치게 된다.

 

 4) 통관 경비

 

상품의 실질거래가격, 즉 송장 금액을 기준으로 관세가 부과된다. , 인도 조건에 따라 송장에는 명시돼 있지 않지만 송장 금액과는 별도로 관세 부과 가액 산정 시 반영되는 요소들이 있다. 운송료, 보험료, 로열티, 라이선스 수수료, 연구개발비 등이 그러하다.

통관 시 관세 이외에도 부가가치세(이탈리아 경우 22%)와 일부 특정 제품(담배, 주류, 석유 등)의 경우에는 특별세(Excise)가 부과된다.

 

이탈리아 세관에서는 상품의 해당 관세분류번호에 따른 통관 경비 및 관련 정보를 온라인상으로 다음과 같이 제공하고 있다.

    - https://aidaonline7.agenziadogane.it/nsitaric/index.html

  •  

    . 주재국 무역항 및 공항 개황

     

  • 무역항

     

    이탈리아에는 7,400km의 해안선을 따라 약 150개의 항구가 있으며, 연간 1,500만 명의 승객과 46,300만 톤의 화물을 수송하고 있다. 주요 국제항구로는 제노바 항구, 나폴리 항구, 베네치아 항구 등이 있다.

     

    이탈리아 내 주요 항구 분포도


  •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제노바항 여객 및 화물 수송 현황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크루즈()

1,050,085

824,109

848,227

1,017,368

925,188

페리()

1,849,108

1,920,859

2,005,626

2,093,064

2,028,464

총 여객수()

2,899,193

2,744,968

2,853,853

3,110,042

3,003,653

일반화물()

49,540,619

51,932,917

51,298,552

50,793,100

55,161,149

컨테이너(TEU)

1,988,013

2,172,944

2,242,902

2,297,917

2,622,187

자료원: 제노바항만청(Autorità Portuale di Genova)


나폴리항 여객 및 화물 수송 현황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크루즈()

1,175,034

1,113,762

1,269,541

1,306,151

927,458

페리()

5,756,822

6,077,623

6,324,192

6,562,350

6,684,772

총 여객수()

6,931,856

7,191,385

7,593,733

7,868,476

7,612,230

컨테이너(TEU)

477,020

431,682

438,280

483,481

509,876

화물()

20,391,324

20,124,549

20,996,522

22,396,568

19,964,713

: 총 여객수=크루즈+페리

자료원: 나폴리항만청(Autorità Portuale di Napoli)

 

바리항 여객 및 화물 수송 현황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크루즈()

604,496

561,590

365,645

400,875

397,588

페리()

1,097,593

1,121,860

1,120,471

1,120,713

1,222,940

총 여객수()

1,712,089

1,683,450

1,486,116

1,521,588

1,620,528

컨테이너(TEU)

30,862

35,412

60,063

71,593

68,695

화물()

4,443,292

4,967,393

5,394,661

5,604,401

5,661,927

: 총 여객수=크루즈+페리

자료원: 바리항만청(Autorità Portuale di Bari)

 

  • 공항

     

    연간 9,100만 명의 승객과 75만 톤의 화물을 수송하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국제 공항으로는 로마의 피우미치노(Fiumicino) 공항과 밀라노의 말펜사(Malpensa) 공항이 있으며 각각 연간 2,500, 2,000만의 승객이 이용한다. 밀라노와 로마의 공항을 중심으로 전국에 20여 개의 국제 공항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으며, 유럽 전역으로의 편리한 항공편을 제공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주요 공항


지역

공항명

위치

연락처

접근 교통편

로마

Fiumicino

로마 남서쪽

26km에 위치

전화: 06 65951

Fax: 06 6595 5707

Leonardo Express가 로마 중앙역에서 공항까지 운행(35분 소요)

밀라노

Malpensa

밀라노 북서쪽

45km에 위치

전화:02 7485 2200

Fax: 02 7485 4010

Malpensa Express가 공항에서 밀라노 시내 카도르나역 까지 운행(45분 소요)

밀라노 중앙역에서 셔틀버스 운행

밀라노

Linate

밀라노 동쪽

7km에 위치

전화: 02 7485 2200

Fax: 02 7485 2010

73번 시내버스가 밀라노 시내 산바빌라역 까지 운행(30분 소요)

밀라노

Orio al Serio

밀라노 남쪽 약 56km에 위치

전화: 035 326323

밀라노 중앙역에서 셔틀버스 운행(50분 소요)

나폴리

Naples airport

나폴리 북동쪽

7km에 위치

전화: 081 789 6111

Fax: 081 789 6557

택시나 시내버스 이용

베니스

Marco Polo

베니스로부터

12km에 위치

전화: 04 1260 6111

Fax: 04 1260 6260

택시나 수상교통 이용

볼로냐

G Marconi

볼로냐 북동쪽

6km에 위치

전화: 051 647 9615

Fax: 051 647 9723

Aerobus bus가 볼로냐

중앙역에서 운행(20분 소요)

자료원: KOTRA 밀라노 무역관

 

. 운송절차 및 흐름도

 

이탈리아에서 제품 수·출입 시 선박을 이용한 운송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이탈리아 해상 운송 흐름도


 external_image

자료원: Doing Business 2013

 

. 운송 비용

 

  • 도로사정, 운송, 수단, 거리, 기간, 비용, 횟수

     

    이탈리아 Genova항에서 부산항으로 운송할 경우 20피트 컨테이너는 200달러, 40피트 컨테이너는 300달러이며, 부산항에서 이탈리아 Genova항으로 운송할 경우 20피트 컨테이너는 1,300달러, 40피트 컨테이너는 2,600달러 정도의 비용이 소요된다.

     

    이 같이 비용이 차이가 나는 까닭은 중국 등 아시아에서 이탈리아로 가는 물량이 많고 이탈리아에서 아시아로 오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이탈리아로 들어갈 때보다 이탈리아에서 아시아로 나올 때 화물선에 여유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운송 소요 시일은 약 23일로 3~4주 정도 소요된다.

     

    . 주요 운송회사 및 통관서비스 회사리스트

     

  •  DHL

  •     - DHL Express (Italy) S.r.l.- Business Units "Express" e "Freight"
        - 주소: Milanofiori, via S. Bernardo, strada 5 - pal. U/3-20089 Rozzano (MI)

  •  FEDEX

        - 주소: Federal Express Europe Inc. - Filiale Italiana Praxis Business Park S.S. Padana Superiore, 2/B 20063 Cernusco sul Naviglio(MI)

  •   ㅇ Vector S.p.A.

        - 주소: Via Redipuglia 7, 21053 Castellanza(VA)

  •   ㅇ GAVA IFC S.p.A.

  •     - 주소: Via Lodi, 23 - 20060, Vignate Loc. S. Pedrino,  Milano

  •   ㅇ COTALIA S.R.L

        - 주소: Via Giuseppe di Vittorio 8 - 20060 Liscate(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