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관제도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통관제도

글자크기

베트남 통관 및 운송

베트남 통관 및 운송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18,844
국가정보 아시아>베트남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65
첨부파일


가. 통관 행정기관

  1.  

    한국의 관세청과 유사한 베트남의 정부기관은 1945년 9 10일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산하 관세소비세국으로 출발, 현재 재무부 산하 관세총국(General Department of Vietnam Customs)으로 발전했다관세총국의 기능과 임무는 통관 절차의 수행, 수출입화물의 검사·감독, 관세법규에 따른 세관 관련 업무의 집행과 수출입 관세 및 정부에서 위임받은 기타 세금의 징수, 밀수에 대한 조사, 통제 및 단속 등이다.

     

    베트남 관세총국의 조직은 본청(해관총국), 성급세관(해관국), 지역세관(해관지국), 국경감시소·세관출장소 등으로 구성돼 있다전체 63개 직할시 및 성 가운데 31개 직할시 및 성에 해관국(지방관세국)이 있고, 본청의 사후심사국 및 밀수단속국 2개국은 전국 국경세관과 도시에 직할 조직을 두고 있다. 이를 포함해 통상 33개의 지방 관세조직이 있다. 각 지방 해관국은 각 지방 인민위원회 소속기관이면서도 중앙의 재무부와 본청의 강한 지휘통제를 받고 있다.

     

    국경감시소·세관출장소는 현재 185개가 설치됐으며, 이들 세관집행기구는 성급·지방·시급 세관의 산하기구로서 이들 세관의 업무를 보좌하는 것이다베트남에서는 지방관세 조직이 각 직할시 및 성(省)의 소속으로 돼 있어, 관세법령과 중앙정부 재무부, 관세총국의 지휘에 의해서 운영되고 있음에도, 각 건에 대한 구체적 해석과 집행에 있어서 각 관세국마다 상이한 경우가 많다.

     

    베트남의 세관은 한국처럼 중앙 통제하에 운용되고 있으나, 세부 시행령에 따른 업무 처리는 한국처럼 일사분란하지 않다. 세관 직원 역시 성 세관별 자율 선발 체계이며, 세관원의 권한이 막강한 편이다. 이에 따른 업무 처리의 일관성 저하, 신속한 서비스 및 전문성 개선 애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베트남 재무부는 통관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매년 한국 수출입 업계의 애로사항을 수렴해 답변해 주는 국세 및 관세 대화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한국 기업의 수출활동 지원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므로 한국 기업이 이러한 통로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1. 나. 통관 절차 흐름 및 통관 환경


    베트남 통관 절차는 다른 나라와 동일하게 수입 신고와 심사에서 시작돼, 물품 검사, 관세 등의 납부를 거쳐 물품을 반입하는 것으로 수속이 종결된다.

     

  1.   ㅇ 수입 신고·심사 → 물품 검사 → 관세 납부 → 물품 반입


베트남의 '국경 간 무역' 용이성 점수는 전년도 대비 4.31%p에서 69.92%p로 올랐으며 190개 국가 중 93위(15위 상승)로 베트남 당국의 전자 통관 시스템 도입으로 통관환경이 상당히 용이해진 것으로 평가됐다.


호찌민시 기준 베트남에서의 수출과 수입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은 각 108시간, 138시간으로 전년(수출 143시간, 수입 170시간 소요) 대비 크게 감축됐다. 특히 문서 준수(Documentary compliance) 관련 시간이 수출과 수입에서 각 33시간, 30시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베트남 정부의 행정 절차 간소화 노력 및 세관당국의 전자 시스템 도입이 가시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 베트남의 세관 시스템 선진화 사업, 'VNACCS·VCIS 시스템' 구축, VNACCS/VCIS는 Vietnam automated cargo and port consolidated system(베트남 자동 화물 및 항구 통합 시스템)과 Vietnam customs intelligence information system(베트남 세관 인공 지능 정보 시스템)의 약자이다. 일본의 대베트남 무상원조사업 가운데 하나인 '세관 현대화를 위한 전자 세관 및 국가 단일창구(Single window) 구현' 프레임하에서 일본 기술 모델을 토대로 구축했다. 2014년 4월 1일 하노이와 하이퐁 세관에서 정식 가동되기 시작해 같은 해 6월 30일부터는 전국 모든 세관(34개)과 지국으로까지 확대 시행됐다. 2016년 베트남 세관 총국은 VNACCS·VCIS 시스템을 기반으로 베트남 전국에서 세관 자동화가 100% 실시되고 있으며 전체 수출입 기업의 99.52%에 상당하는 약 6만 3,000개 기업이 해당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지난해 베트남 세관 통계와 VCCI(베트남 상공회의소)가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관 자동화 시스템 도입 후에 나타난 통관 비용과 시간 절감 효과는 각 10~20%, 30%이며 기업들의 연간 비용 절감 규모는 7050억 동(3104만 달러)으로 추산된다. 수출과 수입에 소요되는 비용은 각 448달러, 575달러로 전년도와 동일했다. 국경 준수 관련 비용은 역내국 대비 낮으나, 문서 관련 비용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및 ASEAN 회원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한국 및 ASEAN 국가들의 수출입에 소요되는 비용

  3. (단위: US$)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4. 자료원: WB(세계은행), Doing business 2017

        

    다. 수입 신고
  1.  

    수입 신고 시에는 수입 신고서와 함께 대외무역관리부서에서 발급한 수입 화물 허가증(I/L) 또는 각종 증명, 도착 통지서(Delivery Order D/O), 항공 운송장(Airway Bill), 포장 명세서 (Packing List), 송장, 쿼터 품목의 경우 연간 쿼터 증명서(Annul Import License), 기타 세 관이 필요로 하는 서류 등을 제출해야 한다.

     

    베트남에는 통관을 대행해 주는 관세사 제도가 존재하나 거의 활성화 돼 있지 아니하며, 주로 물류 업체 등을 통해 통관 하거나 업체에 자체 통관 전담 직원을 두어 통관을 진행한다. 현재 수입 신고는 전산과 서류 신고 모두 가능하며, 물품을 하역하는 항만의 세관에서 통관을 진행해야 한다. 수입 신고 후 세관 검사는 수입 물품의 위험도에 따라 Green Channel(저위험), Yellow Channel, Red Channel(고위험) 3가지 중 한 가지로 구분돼 진행된다.

     

  2. 라. 물품 검사

     

    세관에서는 화물 송장 등의 각 항목별 내용에 대한 정확성 여부를 심사한다. 물품 검사는 보통 세관 통제 구역인 부두, 창고 등 지정된 장소에서 실시하며 Door to Door로 운반되는 품목의 경우 세관원이 현장에 파견돼 검사한다. 한편 강제적 검사/규격/인증을 받아야 수입, 판매되는 경우의 물품은 베트남 정부에서 지정하는 검사소에서 샘플을 검사한 후 적격 여부가 판정된 이후에야 통관이 허용된다Green Channel, Yellow Channel, Red Channel 3가지로 구분 진행되며, 저위험 물품에 대해는 세관 서류 검사 및 물품 검사를 면제한다(Green Channel).

     

    베트남 세관 수입물품검사 종류

     

Channel 분류

필요  심사  절차

Green  Channel

전산 신고만으로 신고 수리 가능

    - 세관 서류 심사 및 물품 검사 면제

Yellow Channel

E-Yellow  Channel

e-document를 세관에 제출야 함

Paper-Yellow Channel

종이 서류를 세관에 제출야 함

  • Red  Channel

종이 서류 제출 및 세관의 물품 검사

자료원: KOTRA 호치민 무역관

 

수입된 재화가 면세 대상인 고정 자산 성격의 기계 장치류 또는 세관의 법령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수입업자가 제품을 수입한 경우에는 수입된 재화에 대한 실제 검사가 면제된다. , 세관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서류 제출 및 물품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위험 물품(Red Channel)에 대 세관 서류 검사와 더불어 수입 물품에 대한 실제 검사 진행되며 검사 방식에 따라 다시 세 종류로 나누어진다.

 

세 종류는 ① 전수 검사 대상, ② 무작위 10% 검사 대상(위법 사실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검사 종료, 위법 사실이 발견되는 경우, 위법의 정도를 파악할 때까지 검사), ③ 무작위 5% 검사 대상(위법 사실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검사 종료, 위법 사실이 발견되는 경우, 위법의 정도를 파악할 때까지 검사)이다.

 

검사 제도

 

베트남 관세법 30조에 따르면 농산물, 수산물 등 특정 품목 또는 장기간 동안 통관 기록이 우수한 수출가공지역의 경우 검사 면제를 규정하고 있다. 일반 통관의 경우 10% 샘플 검사를 하고 있다. 만일, 통관 절차 위반 또는 관세법 위반 등의 전력이 있는 수입자의 경우 전수 조사를 해야만 한다.


수출입 검사 절차는, 2015년 11월 17부 Decision 2026/QD-TTg에 따라 전산화 및 간소화됐다. 해당 법령은 '수출입물품 검사의 효율 증대'를 위한 것으로, 통관 시간 및 비용의 절감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법령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수출입 신고 증빙서류로 수출입 검사 결과가 제출돼야 하는 경우 팩스 또는 사진파일 인정(재무부 및 과학기술부의 110/2016/TTLT-BTC-BKHCN 공동 시행령)
     - 섬유제품을 수입하는 경우 포름알데히드 및 방향족 아민 검사 폐지
     - 유통 이외 목적으로 수입한 설비에 대한 라벨링 의무 및 에너지효율 검사기한 폐지
     - 가공식품 수출 시 식품안전검사 면제

     - 수출입 검사 대상 일부 품목 HS코드별 공표 


 통관 애로사항

 

베트남 재정부(MOF) 2014 12월에 세금 납부 및 세관 통관 절차 간소화를 위해 결정서 Nos. 509/QĐ-BTC 510/QĐ-BTC를 공표하며 38개의 절차를 간소화시키고 7가지의 절차를 폐지하며 간소화시켰지만 베트남 물류 시스템은 여전히 주변국가에 비해 낙후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물류회사들은 오히려 정부의 새로운 결의서로 인해 행정절차가 더 복잡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HS Code에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품목에 대한 세관, 세관원의 자의적인 수입관세 부과, 주말 통관의 부재로 인한 급한 물품 통관의 어려움, 만연한 부정 부패 등 통관 관련 애로사항이 많은 실정이다베트남에서 활동하는 많은 외국 투자 기업이 수출입을 위한 통관절차에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불평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과도한 절차를 요구하는 현행 체계에 문제가 많으며, 복잡한 통관절차는 기업의 수출입 활동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다수 서류 작성으로 통관에 3~4일 소요된다. 판매단말기(POS)와 소형 스캐너를 취급하는 'Datalogic Scanning Vietnam'은 매달 200세트의 수출신고서류와 2,000세트의 수입신고서류를 작성할 뿐 아니라 1500장의 세금납부기록 등의 서류업무를 진행해야 한다. 매월 18000장의 A4 용지를 세금 신고절차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베트남 미국상공회의소(AMCHAM) 또한 대부분의 미국 투자기업이 통관 관련 비용뿐 아니라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데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상하기 쉬운 식품 취급 기업은 매우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하며 뇌물 요구 압박도 심각하다.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투자 기업 역시 제품 역수출 시 한 지역의 세관에서는 승인을 받았음에도 다른 세관에서는 승인을 해주지 않아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에 진정서를 제출해야 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외투 기업의 공통적인 불만은 절차에 너무 많은 시간이 든다는 점과 빠른 통관절차를 빌미로 뇌물을 요구하는 빈도와 압박 정도가 생각보다 심각하다는 것이다.

 

베트남에서 상품 수출입을 위한 통관절차는 외견상 그리 복잡하지 않다. 통관활동은 세관신고서류의 작성과 제출, 제품의 안내 및 수송, 세금 납부로 요약되는데, 요구 서류는 신고양식 서류, 상업송장, 제품구매 및 판매계약서, 기타 허가증 등 대응 가능한 수준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제도와 법규 미비로 명확한 법률적 근거에 따라 대응이 어려워 외투 기업들이 실제로 직면하는 상황은 매우 다르다

 

현지 전문가들에 따르면 베트남의 통관절차가 복잡하고 느리며 형식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1.   ㅇ (전자통관시스템 미비) 2013년부터 전자통관시스템이 도입됐지만, 현재까지도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위한 대대적인 투자가 이뤄지지 않음. 그로 인해 데이터 전송 및 네트워크 시스템이 여전히 매끄럽지 못하고, 이는 빈번한 통관 지연을 야기함.

  2.   ㅇ (협력시스템 부재) 다양한 부서, 정부기관과 관련된 갖가지 승인서류들은 통관에 더 복잡하고 많은 단계를 요하며, 절차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음. 기능성 식품과 건강보조식품 통관을 위해서는 베트남 보건부 산하 의약품국과 식품국 양 부서에서 엄격한 심사를 거쳐야 함.

  3.   ㅇ (부패 차단 시스템 부재) 세관 공무원들로부터의 뇌물 요구 압박의 심각성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로 베트남 정부의 의지만으로 차단이 어려우며 기업 입장에서 당장 피해갈 수 없는 부분

 

단기간 내에 베트남의 통관절차가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바뀌길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현지 물류산업 관계자들은 통관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베트남 국내 해외기업에 ‘아웃소싱’을 제안하며, 많은 외투기업이 세관절차를 숙련된 현지 물류기업에 위탁하며, 통관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중심으로 아웃소싱을 적극 모색 중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웃소싱 시 비용문제를 고려해야 하지만, 고객 니즈와 정부 규제를 잘 이해하는 신뢰할 만한 중개인을 선별함으로써 통관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마. 무역항 및 물류 체계

 

베트남 항만은 '베트남 항만 마스터플랜 비전 2020에 관한 결의안(Decision 2190/QSS-TTg)'에 따라 6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 중 베트남의 북부, 중부, 남부를 대표하는 3대 대표 항구는 하이퐁항(Hai Phong)다낭항(Da Nang), 호치민항(Hochiminh)이다.


그 룹

지 역

1

북부 지역 항만 (꽝닌성~닌빈성)

2

중북부 지역 항만 (탄화성~하띤성)

3

중부 지역항만 (꽝빈성~꽝응아이성)

4

남중부 지역 항만 (빈딘성~빈투언성)

5

남동부 지역 항만

6

메콩강 삼각주 지역 항만

 

지역별 베트남 항만 구분 

자료원: FPTS


 베트남 물동량 처리 실적은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남부 지역에서 처리되는 물동량 비중은 베트남 전체 물동 처리량의 약 70%가량을 차지하는 반면 중부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2~3%에 불과하다.

 

지역별 물동량 비중 및 컨테이너 처리 실적 추이

(단위: %, 천 TEU)

 

자료원: 베트남 항만 협회(VPA), 베트남 해양청(Vinamarine)


이처럼 베트남 남부 지역의 물동 처리량이 높은 이유는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인도 등의 인근 국가들과 지리적으로 근접해있어 베트남 해운 운송의 전략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항만 인프라 면에서 남부에 위치한 항구들은 8만 DWT급 규모 이상의 선박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타 지역에 비해 선박 수용 규모가 우월하다. 참고로 남부의 까이멥 항(Cai Mep)은 16 DWT급 선박까지 수용 가능하므로, 선박 규격 때문에 문제가 있으면 까이멥 항 및 인접국(싱가포르, 홍콩)을 경유해 화물을 운송하기도 한다.  

 

이에 반해 중부 지역에 위치한 쩐머이항(Chan May)항과 깜란항(Cam Ranh)은 최대 5만 DWT급 선박까지만 수용 가능하며, 북부 지역은 꽝닌항(최대 7만 5천 DWT급 선박 수용 가능)을 제외하고는 선박 수용 규모가 5만 DWT급 미만이다. 


베트남 주요 항구별 물동량 및 컨테이너 화물량 처리실적 현황(2015년)


항구

물동량(천 톤)

컨테이너 처리실적(TEU)

북부

하이퐁(Hai Phong)

23,749

1,019,967

딘부(Dinh Vu)

629

628,697

남하이딘부(Nam Hai Dinh Vu)

5,573

464,390

소계

53,870

2,901,863

중부

다낭(Da Nang)

6,406

258,000

뀌년(Quy Nhon)

7,588

94,753

응예띤(Nghe Tinh)

3,076

55,543

소계

28,813

408,296

남부

떤깡 사이공(Cat Lai, Hiep Phuoc, ODA)

25,689

4,390,779

떤깡-까이멥 국제터미널(TCIT)

14,688

979,221

까이멥 국제터미널(CMIT)

8,697

724,768

베트남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VICT)

7,273

631,331

소계

135,107

7,911,680

총합

217,789

11,221,839

 자료원: 베트남 항만 협회(VPA) 

 

바. 지역별 주요 항구 


남부 지역 주요 항구

 

  • 1) Saigon New Port


  •   ㅇ 개요

  •     - 운영 주체: 국방부

  •     - Tan Cang port 위치: 10°47'24"N - 106°43'42"E

  •     - Cat Lai port 위치: 1045'25"N - 10647'40"E

  •     - 주소: End of Dien Bien Phu street, ward 22, Binh Thanh district, HCMC

  •     - 전화: (+84-28)3899 9034 / 3898 0379 / 3899 0694

  •     - 팩스: (+84-28)3899 3950

  •     - E-mail: marketing.snp@saigonnewport.com.vn

  •     - Website: www.saigonnewport.com.vn

     

  •   ㅇ 현황

  •     - Tan Cang port 길이: 87km

  •     - Cat Lai port 길이: 69km

  •     - 깊이: 8.5m

  •     - 평균 조수: 2.7m

  •     - 최대 정박가능 선박 규모: 16,000GRT

     

  •   ㅇ 규모

  •     - 총 면적: 4,526,979 m²(Tan Cang, Tan Cang Cat Lai, Tan Cang Song Than, Tan Cang Nhon Trach, Tan Cang Cai Mep, Tan Cang Long Binh port 포함)

  •     - 창고(Warehouse): 195,368m²

  •     - 야적지(CY): 1,712,000m²

     

  • 2) Saigon Premier Container Terminal(SPCT)

  •  

  •   ㅇ 개요

  •     - 운영 주체: Joint Venture between DP World and Tan Thuan Industrial Promotion Company

  •     - 위치: 10°3815N - 106°4551E, Terminals in HCMC

  •     - 본사: Hiep Phuoc Industrial Park, Hiep Phuoc commune, Nha Be district, Hochiminh

  •     - 전화: (+84-28) 3873-4488

  •   ㅇ 현황

  •     - 길이: 85km

  •     - 깊이: 8.5m

  •     - 최대 정박가능 선박 규모: 50,000DWT

     

  •   ㅇ 규모

  •     - 면적: 400,000m²

  •     - 창고(Warehouse): 244,650m²)

  •     - 야적지(CY): 15,758(Teus)

     

  • 3) Cai Mep International Terminal

     

  •   ㅇ 개요

  •     - 운영 주체: Cai Mep International Terminal Co., Ltd

  •     - 위치: 10°31'01.966"N -107°00'51.132"E / 10°30'44.6849"N- 107°00'41.9484"E

  •     - 본사: Tan Loc Hamlet, Phuoc Hoa Commune, Tan Thanh District, Ba Ria -Vung Tau Province, Vietnam

  •     - 전화: (+84-254)3938-222

  •     - 팩스: (+84-254)3938-200

  •     - Website: www.cmit.com.vn

     

  •   ㅇ 현황

  •     - 길이: 80km

  •     - 깊이: 14.5m

  •     - 최대 정박가능 선박 규모: 160,000DWT

     

  •   ㅇ 규모

  •     - 면적: 480,000m²

  •     - 창고(Warehouse): 240,000m²

     

    호치민 항구2

    : 야적지(CY): 1,115,000(Teus)

    자료원: maps.google.com

     

  • 북부지역 주요 항구

     

  • 1) Haiphong Port (Haiphong city)

     

  •   ㅇ 개요

  •     - 운영주체: Vietnam National Shipping Lines

  •     - 위치: 20°52'N - 106°41'E

  •     - 주소: 8A Tran Phu street, Ngo quyen Ward, Hai Phong city

  •     - 전화: (+84-225) 3859824 / 3859945

  •     - 팩스: (+84-225) 3859973 / 3552049

  •     - E-mail: haiphongport@hn.vnn.vn

  •     - Website: www.haiphongport.com.vn

     

  •   ㅇ 현황

  •     - 길이: 38km

  •     - 깊이: 7.2m

  •     - 평균 조수: 2.5~4.5m

  •     - 최대 정박 가능 선박 규모: 10,000 DWT wharf alongside/40,000 DWT at light age area

     

  •   ㅇ 규모

  •     - 면적: 670,000m²

  •     - 창고: 60,000m²

  •     - CY: 10,000 TEUs

     

  • 2) Cai Lan Port(Quang Ninh province)

     

  •   ㅇ 개요

  •     - 운영주체: Vietnam National Shipping Lines

  •     - 위치: 20°58'46"N - 107°02'35"E

  •     - 주소: 1 Cai Lan street, Bai Chay ward, Ha Long City, Quang Ninh province.

  •     - 전화:  (+84-203) 3625889 / 3825603 / 3825627

  •     - 팩스: (+84-203) 3825603 / 3826118

  •     - E-mail: quangninhport@vnn.vn

  •     - Website: http://www.quangninhport.com.vn

     

  •   ㅇ 현황

  •     - 길이: 27km

  •     - 깊이: 6.8~8.1m

  •     - 평균 조수: 3.2m

  •     - 최대 정박 가능 선박 규모: 40,000DWT(at lighter age area) and 25,000DWT(at Cai Lan Terminal)

     

  •   ㅇ 규모

  •     - 면적: 294,700m²

  •     - 창고: 12,700m²

  •     - CY: 93,000m²

     

  • 3) Vung Ang Port (Ha Tinh Province)

     

  •   ㅇ 개요

  •     - 운영주체:  Ha Tinh Trading and Sea transportation Company

  •     - 위치: 18°07'04"N - 106°24'10"E

  •     - 항구 주소: Ky Loi, Ky Anh Dist. Ha Tinh province

  •     - 사무소 주소: Gia Lach Town, Nghi Xuan Dist. Ha Tinh province

  •     - 전화: (+84-239) 3821 541

  •     - 팩스: (+84-239) 3821 313

  •     - E-mail: hascom@hn.vnn.vn

     

  •   ㅇ 현황

  •     - 길이: 1.5km

  •     - 깊이: 9.5m

  •     - 평균 조수: 2.0m

  •     - 최대 정박 가능 선박 규모: 46,000DWT

     

  •   ㅇ 규모

  •     - 면적: 17,740m²

  •     - 창고: 3,240m²

  •  

    북부 항구

    : CY: 8,200m²

    자료원: maps.google.com


  • 중부 지역 주요 항구


  • 1) Da Nang Port (Da Nang city)


  •   ㅇ 개요

  •     - 운영주체:  Vietnam National Shipping Line

  •     - 위치: 16°07'02"N - 108°12'03"E

  •     - 주소: 26 Bach Dang St., Da Nang city

  •     - 전화: (+84-236)3822 513

  •     - 팩스: (+84-236) 3822 565

  •     - E-mail: cangdn@dng.vnn.vn

  •     - Website: http://danangportvn.com

     

  •   ㅇ 현황

  •     - 길이: 8km

  •     - 깊이: 12.7m

  •     - 평균 조수: 0.9m

  •     - 최대 정박 가능 선박 규모: 30,000DWT

     

  •   ㅇ 규모

  •     - 면적: 235,150m²

  •     - 창고: 18,152m²

  •     - CY: 82,400m²

     

  • 2) Qui Nhon Port

 

  •   ㅇ 개요

  •     - 운영주체: Vietnam Maritime Administration

  •     - 위치: 13°44'33"N - 109°14'E

  •     - 주소: 2 Phan Chu Trinh street, Qui Nhon city, Binh Dinh province

  •     - 전화:  (+84-256)3892159 / 3892363

  •     - 팩스: (+84-256)3891783

  •     - E-mail: quinhonport@dng.vnn.vn

  •     - Website: http://www.quinhonport.com.vn

     

  •   ㅇ 현황

  •     - 길이: 7km

  •     - 깊이: 10.5m

  •     - 평균 조수: 2m

  •     - 최대 정박 가능 선박 규모: 30,000DWT

     

  •   ㅇ 규모

  •     - 면적: 360,736m²

  •     - 창고: 17,680m²

  •     - CY: 80,000m²

     

  • 3) Chan May Port (Thua Thien-Hue Province)

     

  •   ㅇ 개요

  •     - 운영주체:  Management Board of Chan May Project-Peoples Committee of Thua Thien-Hue Province

  •     - 위치: 16°20'00"N - 108°00'00"E

  •     - 주소: Loc Tinh commune, Phu Loc dist, Thua Thien-Hue province

  •     - 전화: (+84-234) 3876 096

  •     - 팩스: (+84-234) 3891 838

  •     - E-mail: info@chanmayport.com.vn

  •     - Website: www.chanmayport.com.vn

     

  •   ㅇ 현황

  •     - 길이: 2.7km

  •     - 깊이: 12m

  •     - 평균 조수: 0.6~0.8m

  •     - 최대 정박 가능 선박 규모: 30,000DWT

     

  •   ㅇ 규모

  •     - 면적: 15,830m²

  •     - 창고: 1,980m²

    중부 항구

    : CY: 7,365m²

    자료원: maps.google.com

      

  • 사. 한국-베트남 운송 소요 시간

     

단위 별 소요 시간

호치민

하노이

국내 선적대기시간

1~6

1~6

항해일수(한국, 부산발)

6~7

6~7

통관 소요기간(서류 제출일로부터)

3~5

3~5

현지 내륙운송기간

1~3

1~3

총 예상소요기간

11~21

11~21

 

아. 컨테이너 비용


부산-호치민간 컨테이너 비용 

(단위: 달러)

항목 구분

호치민발 부산착

부산발 - 호치민착

비고

20피트

40피트

20피트

40피트

운송료

50.00

100.00

200.00

400.00

 

THC

90-100

140-150

100.00

150.00

선사별로 상이

Inland transportation Charge

N/A

N/A

N/A

N/A

공장 위치에

따라 상이

B/L fee

30.00

30.00

30.00

30.00

 

: 2018년 5월 기준 비용

자료원: 현지 진출 물류 기업 및 KOTRA 호치민 무역관 자료 종합

 

  •     - 상기 비용 중 베트남 내 비용은 청구 시 발생하는 10%을 포함하지 않음.

    - 상기 비용은 상기 비용은 General Cargo기준으로 Dangerous Cargo, Heavy Cargo 및 기계류 수출입에는 포함되지 않음.

  •     - 상기 비용은 외국으로의 서류 발송비용, Demurrage & Detention, 수출입에 따른 관부가세 등은 포함하지 않음.

  •     - 상기 비용은 선사별, 포워딩 업체별 상이할 수 있음.

  •     - 베트남 관세당국은 최근 지침에 따라 DO(서류발급비용), CIC(컨테이너 밸런스 비용), CCC(컨테이너 청소 비용) 수입항 도착 후 발생비용을 관세 과세가격에 가산하도록 함. 수입신고 시 유의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