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통관제도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통관제도

글자크기

아랍에미리트 통관 및 운송

아랍에미리트 통관 및 운송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6,872
국가정보 중동>아랍에미리트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81
첨부파일

통관절차 및 운송

 

. 일반 통관절차 개요

 

UAE는 바레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과 함께 GCC 회원국으로서 역내 단일통관항(Single Port of Entry) 원칙을 적용한다. 즉 여섯 개의 국가는 단일시장으로 여겨져 하나의 국가를 거쳐 다른 역내 국가로 수입할 때 모든 품목은 첫 도착지에서만 관세가 부과된다. 아울러 국제 환적의 중심지로에 간소한 통관절차를 표방하는 국가이나 담당자에 따라 업무 수행 상세기준이 다른 경우가 많으며, 각 토후국마다 독자의 세관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규정을 정확히 숙지하기가 어렵다. 지난 2003년 연방세관(Federal Customs Authority)이 세관절차 개선 및 통합을 위해 창설 됐음에도 불구하고 통관 관련 세부사항은 각 토후국 세관에 다시 한 번 확인해볼 것을 추천한다.

 

토후국별 세관 웹사이트

 


이름

웹사이트

비고

UAE Federal Customs Authority

www.customs.ae

UAE 연방세관

Abu Dhabi Customs

www.auhcustoms.gov.ae

아부다비 세관

Dubai Customs

www.dubaicustoms.gov.ae

두바이 세관

Sharjah Customs

www.sharjahcustoms.gov.ae

샤르자 세관

Ras Al Khaimah Customs

www.rakcustoms.rak.ae/en

라스알카이마 세관

Ajman Port & Customs

www.ajmanport.gov.ae/en

아즈만 세관

Port of Fujairah

www.fujairahport.ae

푸자이라 세관

주: 움알콰인 세관 웹사이트는 운영되지 않음(2018년 6월 확인 최신자료).

자료원: UAE 연방세관

 

. 통관 절차

 

UAE의 경우 물동량이 많기 때문에, 서류가 잘 갖춰지고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는 한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검사 없이 화물의 통관 시켜주고 있다. 제품 수입을 위한 수입면장(Bill Of Entry)의 취득을 위해서는 선하증권(Bill of Lading), 포장명세서(Packing List),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가 필수적이다. 특히 중동국가 간 무역거래에서 원산지 변경을 통한 차익을 노리는 수입업체가 있어 원산지 증명서는 현지 세관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는 서류이다.

 

  • 통관절차 안내 및 필요서류

           


순서

절차

상세 안내

1

보세구역 물품 반입

-

2

Bill of Entry Form

작성 및 구비서류 제출

구비 서류: Invoice, Delivery Order, Bill of Lading/Air Bill, Packing List,

Certificate of Origin, Trade License, Authorization Letter

3

관세 납부 및 물품 보관 장소 확인

- CIF 기준 5% 관세 부과

- 관세 납부 후 수입 물품 보관 장소 확인

4

수입 물품 검사 및 확인 스탬프 날인

수입품 검사소에 관련 서류 제시, 검사 일시를 지정 받음.

    - 지정된 날짜/시간에 화주 또는 대리인 입회 하에 수입 물품 검사

(마약, 주류, 음란물, Under Value, 원산지 등)를 한 후 B.E.Cleared라는 확인

스탬프를 날인

5

반출 확인서 발급

-

6

반출

-

자료원: UAE 경제부

 

  • 주요 통관서비소요경비



서비스 내용

금액(AED)

세관 관련서류 사본 발급

100

재수출신고/수출신고

100

수입/수출자 코드 발급

100

세관신고, 운송 및 포워딩 위한 새로운 사업자등록 발급

700

등록 갱신

700

신규 브랜치 개설

700

새로운 파트너 추가

250

새로운 활동범위 추가

250

: 주요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 안내이며, UAE 연방세관에 상세안내 가능

자료원: UAE 연방세관

 

. UAE 무역항 및 공항 개황


항구

 

UAE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잘 정비된 항만시설을 갖추고 있다. 아부다비의 칼리파항, 자예드항, 두바이의 제벨알리항, 라시드항, 샤르자의 함리야항, 푸자이라의 푸자이라항 등이 운영 중이며, 대표 항구의 경우 하단에 상세 소개되어 있다.


UAE 대표 항구 위치 안내

 

external_image

자료원: 구글맵,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 제작

 

  •   ㅇ 제벨알리 항구

 

UAE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항인 두바이 제벨알리항은 DP World가 운영하며 지난 2008년 라시드항의 컨테이너 전량을 넘겨받아 운영을 시작하였다. 세계에서 9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제벨알리항은 부두 22, 크레인 78개를 운영, 화물선 10척을 동시에 선하적할 수 있는 시설을 보유함과 동시에 전 세계 140개 이상의 항구를 연결한다. 중동지역이나 아시아에서 출하된 물품이 제벨알리항에서 환적 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대륙으로 운송되는 경우가 많아 UAE 수출입 목적보다는 주로 환적서비스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제벨알리 항구 개요


항구명

제벨알리 항구(Jebel Ali Port)

설립연도

1970년

위치

두바이

정박지

71

연 처리 화물량

2,210만 TEU(2018년 예상)

총 컨테이너 용량

193 TEU

홈페이지

www.dpworld.ae/en/content/71/47

자료원: UAE 경제부

 

  •   ㅇ 자예드 항구

 

아부다비의 가장 오래된 상업 항구로 1972년에 건설됐으며, 아부다비 중심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 자예드항으로 들어오는 모든 화물은 2012년 칼리파 항구의 개항으로 이관을 완료했으며, 현재는 관광사업 개발에 집중, 크루즈 관광의 중심항구로 부상하였다.

 

자예드 항구 개요

 


항구명

자예드 항구(Port Zayed)

설립연도

1972년

위치

아부다비

정박지

21

연 처리 화물량

90만 톤

총 컨테이너 용량

150 TEU

홈페이지

www.adports.ae/en/article/ports/mina-zayed.html

자료원: UAE 경제부

 

  •   ㅇ 칼리파 항구

 

아부다비 대표 항구로는 ADPC가 소유(Abu Dhabi Ports Company), ADT(Abu Dhabi Terminals)가 운영하고 있는 칼리파항이 있다. 2012 9월 미나자예드항의 운영권을 넘겨받아 개장한 칼리파항은 세계 60개 이상의 항구로 항로를 운항하고 있는 UAE 주요 항구이다. 2016년 시작된 칼리파 항구 확장공사가 2018년 내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이며, 모든 공정이 완료되면 연간 1,500TEU 3,500만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현재 공사중인 에티하드 철도와 연결할 예정으로 철로와 연결된 UAE 첫 항구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칼리파 항구 개요


항구명

칼리파 항구(Khalifa Port)

설립연도

2012 9

위치

아부다비

정박지

52개

총 화물 용량

1,200만 톤 일반 화물

총 컨테이너 용량

250TEU

홈페이지

http://www.adports.ae/en/article/khalifa-port/khalifa-port-was-inaugurated-on-december-12th-handling-all-of-abu-dhabis-container-traffic.html

자료원: UAE 경제부

 

국제 공항

 

UAE는 토후국별로 국제공항을 운영하고 있으나 주로 두바이국제공항, 알막툼공항, 아부다비 국제공항 및 샤르자국제공항이 이용된다. 이 중 두바이국제공항이 상업의 중심지로서 가장 이용률이 높으며 이밖에도 알아인, 라스알카이마, 푸자이라에도 공항이 있으나 이용도는 낮다.


UAE 공항 위치 안내


external_image

자료원: Maps of World

 

  •   ㅇ 두바이 국제공항

 

두바이 공항은 UAE를 비롯한 중동, 아프리카 지역의 주요 관문으로, 2017년 연간 이용객수는 8,820만 명 이상으로 2014년 이래로 4년 연속 세계 1위 공항 자리를 지켰다. 2018년에는 이용객수가 9,030만 명으로 예상되며,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세계에서 가장 많은 화물을 처리하는 공항 중 하나로 2020년까지 여객수가 1억 3,500만 명을 돌파하고, 화물 수송량이 4,100만 톤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두바이 국제공항 개요


공항명

두바이 국제공항(Dubai International Airport)

설립연도

1960년

위치

두바이

공항코드

DXB

터미널 규모

여객 터미널 5개동

홈페이지

www.dubaiairport.com

자료원: UAE 경제부

 

  •   ㅇ 알 막툼 국제공항

 

급속히 증가하는 지역 항공수요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기존의 두바이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약 50km 떨어진 제벨알리 지역에 새로 개장한 알막툼공항은 2013 10Wizz Air Nasair를 시작으로 화물과 승객을 동시에 수송하고 있다. 두바이 정부는 알막툼 국제공항 확장을 위해 320억 달러를 투입하기로 발표하고, 2020 10억 명으로 예상되는 두바이국제공항 이용객의 분산책을 마련하였다. 현재 화물 운송부문에서 세계 19위 공항에 등극했으며 2018년 확장 공사 완료 예정으로, 연간 2억 2,000만 명의 승객과 1,600만 톤의 화물 처리가 가능한 세계 최대 공항으로 거듭 날 전망이다.


알 막툼 국제공항



공항명

알 막툼 국제공항(Al Maktoum International Airport)

설립연도

2010년

위치

두바이

공항코드

DWC

터미널 규모

여객 터미널 4개동

홈페이지

www.dwc.ae

자료원: UAE 경제부

 

  •   ㅇ 아부다비 국제공항

 

아부다비국제공항은 UAE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이다. 2017년 아부다비 국제공항 이용객 수는 2,150만 명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터미널 확장공사를 진행 중이다. 아부다비 정부는 2019년 중에 새로운 터미널을 완공할 것으로 발표, 완공 시 4,500만 명까지 수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부다비 국제공항



공항명

아부다비 국제공항(Abu Dhabi International Airport)

설립연도

1976

위치

아부다비

항코드

AUH

터미널 규모

여객 터미널 4개동

홈페이지

www.abudhabiairport.ae

자료원: UAE 경제부

 

  •   ㅇ 샤르자 국제공항

 

중동지역 최초 저비용항공사 에어아리비아의 거점인 샤르자국제공항은 두바이에서 15분 내외에 위치한 지리적 장점과 공항 이용료가 비교적 저렴해 많은 항공사의 화물기가 이용하고 있다. 2017 샤르자공항 이용객 수는 1,140만 명으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샤르자 정부는 1 4,000만 달러를 투자, 2027년 완공 예정인 신규 활주로를 건설하는 등 늘어가는 이용객 수요에 대비하고 있다.


샤르자 국제공항

 

공항명

샤르자 국제공항(Sharjah International Airport)

설립연도

1977

위치

샤르자

공항코드

SHJ

터미널 규모

여객 터미널 1개동

홈페이지

www.sharjahairport.ae

자료원: UAE 경제부

 

. 운송 비용

 

두바이에서의 컨테이너 운송 비용(부산항 기준) 20TEU의 경우 50~100달러 + Local Charges(2000디르함), 40TEU의 경우 100달러 + Local Charges(3500디르함) 수준이다. 반대로 우리나라에서 UAE로의 경비는 20TEU의 경우 300달러 + Local Charges(2000디르함)이며, 40TEU의 경우 600달러 + Local Charges(3500디르함) 수준이다. 상기와 같이 UAE에서 우리나라로 향하는 컨테이너 운송비용이 더욱 저렴한 이유는 우리나라로 향하는 물동량이 적어 컨테이너 선적 비율이 낮아 운송비도 낮게 책정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컨테이너 운송 시 개인 화물과 상업 화물 간의 경비 차이는 없으나, Local charges의 경우 물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UAE 간 컨테이너 운송기간은 3~4주 정도 소요된다.

 

2017년 6월 5일부로 UAE가 대카타르 단교를 선언, 카타르향발 해상, 육상, 항공 운송이 제한되어 운송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DP World에 따르면, 단교 선언 전 두바이 제벨알리에서 환적을 하던 해상 화물들이 오만 소하르 항 혹은 살랄라 항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운송 시간과 비용이 약간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 주요 운송회사 및 통관서비스 회사

 


업체명

Maersk Line(UAE) LLC

주소

P.O.Box 50720, Dubai, UAE

전화번호

+971 4 3045333

팩스

+971 4 3326700

이메일

dxbfrcdoc@maersk.com

 


업체명

Gulf Agency Company(Dubai) LLC

주소

P.O. Box 17041, Dubai, UAE

전화번호

+971 4 881 8090

팩스

+971 4 881 8687

이메일

dubai@gac.com

 


업체명

Bridgeway

주소

P.O. Box: 50066, Dubai, UAE

전화번호

+971 4 2821421

팩스

+971 4 2822399

이메일

bwayexhb@emirates.net.ae

 


업체명

GSI Logistics LLC

주소

P.O. Box: 121881, Dubai, UAE

전화번호

+971 4 3539016

팩스

+971 4 3539017

이메일

gsi@gsilogistics.ae

 


업체명

Sea Horse Middle East Marine Services

주소

P.O. Box: 114281, Abu Dhabi, UAE

전화번호

+971 2 4417195

팩스

+971 2 4417144

이메일

ops@seahorsetowage.com

 


업체명

Al Sarooj General Transport & Contracting

주소

P.O. Box: 34256, Abu Dhabi, UAE

전화번호

+971 2 4481179

팩스

+971 2 4481192

이메일

N/A

 


업체명

Trident Freight

주소

P.O. Box: 52621, Dubai, UAE

전화번호

+971 4 3936377

팩스

+971 4 3936313

이메일

madhav@trident-freight.com

자료원: 무역관 자체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