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글자크기

미국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미국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10,610
국가정보 북 아메리카>미국
원문 KOTRA
출처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16
첨부파일

. -미 교역현황


  1. 한국의 주요 교역국 중 하나인 미국과의 교역액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왔으나 2009년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21.3%의 대폭 하락했다. 경기회복이 시작된 2010년부터 한-미 교역 규모는 증가를 보여 2010년 기준 전년대비 35.3% 증가해 2011년에는 1,000억 달러를 상회할 정도로 교역규모가 성장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양국 간의 교역액은 증가해 2015년에 1,138억 달러, 2016년 1,09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17년 기준, 국과의 교역액은 약 1,193억 달러를 상회했다.


한-미 교역 동향

(단위: 천 달러, %)

연도

교역액

증감률

2009

66,689,305

21.3

2010

90,218,749

35.3

2011

100,776,732

11.7

2012

101,865,521

1.1

2013

103,564,404

1.7

2014

115,568,126

11.6

2015

113,856,533

1.5

2016

109,678,241

△3.7

2017

119,359,091

8.8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한국과의 무역통계 총괄


2017년 기준 한국의 대미 수출은 686 973 달러로 2016 대비 3.2% 증가했으며 대미 수입은 507 4,936 달러로 2016 대비 17.4% 증가했으며 2017 무역수지는 178 6,037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과의 무역통계 총괄표

(단위: 천 달러, %)

연도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2016

66,462,312

△4.8

43,215,929

△1.8

23,246,383

2017

68,609,728

3.2

50,749,363

17.4

17,860,36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한국과의 무역통계 특징


최근 10년간 교역 추이


  1. 2008 9월 미국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기 침체와 미국 내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2009년 대미 수출은 18.8%의 높은 감소를 기록했으나 2010년부터 경기 회복이 진행됨에 따라 한국의 대미 수출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여, 2011년에 562억 달러로 500억 달러를 돌파했고, 2013년에 620억 달러로 600억 달러를 돌파, 다시 2014년에 702억 달러로 7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나 2016년 대미 수출액은 6646,231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대비 4.8% 감소했다. 그러나 2017년 기준686 973 달러를 수출하여 전년대비 3.2% 수출 증가를 보였다. 


한국의 대미 수입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5 300억 달러를 돌파했고, 2008년에는 약 384억 달러로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미국으로부터 수입은 대미국 수출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여왔으나, 2009년에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대미 수입이 24.3% 급락하며 수출감소율을 상회했다. 2010년과 2011년에는 세계 경기의 회복과 함께 한국의 대미 수입도 증가해 400억 달러를 상회했고, 2014년에 452억 달러를 기록해 가장 많은 수입실적을 기록했다. 한국의 대미 수입은 2015년에 440 2,443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2.8% 감소했다. 2017년 기준 한국의 대미 수입은 507 4,936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17.4%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지난 10년간 한국의 흑자 기조를 유지해온 가운데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의 수출액 감소와 세계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무역수지가 100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지만, 경기 회복으로 2011년에 116 달러를 기록하여 100 달러를 돌파, 2013년에 205 달러를 기록해 200 달러를 돌파하여 2014년과 2015 모두 250 달러를 초과했다. 2017년 기준 무역수지는 178 6,037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의 대미 수출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연도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2008

46,376,610

1.3

38,364,783

3.1

8,011,827

2009

37,649,854

18.8

29,039,451

24.3

8,610,403

2010

49,816,058

32.3

40,402,691

39.1

9,413,367

2011

56,207,703

12.8

44,569,029

10.3

11,638,674

2012

58,524,559

4.1

43,340,962

2.8

15,183,597

2013

62,052,488

6.0

41,511,916

4.2

20,540,572

2014

70,284,872

13.3

45,283,254

9.1

25,001,618

2015

69,832,103

0.6

44,024,430

2.8

25,807,673

2016

66,462,312

△4.8

43,215,929

△1.8

23,246,383

2017

68,609,728

3.2

50,749,363

17.4

17,860,36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


  1. 2017년 기준, 대미 수출품목 1위를 차지한 제품은 '철도 또는 궤도용 이외의 차량 및 그 부분품과 부속품'으로 2016년에는 수출액 219 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기준,  품목의 대미 수출은 198 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기준 대미 수출이 증가한 품목은 '철강의 제품' 45.5% 성장했으며 '광물성연료, 광물유, 이들의 증류물, 역청물질, 광물성왁스' 29.7% 증가했다. '원자로·보일러와 기계류 이들의 부분품' 26.4% 증가했으며 '플라스틱 제품' 16.4% 증가했다. 그러나 '철강' 유가 하락에 따른 셰일가스 개발 부진과 아울러 미국 정부의 철강제품에 대한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 와 판정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한 바이어들의 수입 의지 하락으로 18.2% 감소를 기록했다. 아울러 '전기기기 부분품' 전년대비 8.9% 감소했다.


한국의 대미국 주요 수출 상품

(단위: 천 달러, %)

순위

HS

코드

품목명

2016

2017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66,462,312

4.8

68,609,728

3.2

1

87

철도 또는 궤도용 이외의 차량

부분품과 부속품

21,853,295

8.6

19,816,028

9.3

2

84

원자로·보일러와 기계류 이들의 부분품 

11,090,759

9.3

14,019,085

26.4

3

85

전기기기와  부분품

13,737,352

11.0

12,513,344

8.9

4

27

광물성연료, 광물유, 이들의 증류물,

역청물질, 광물성왁스

2,422,603

15.2

3,141,666

29.7

5

73

철강의 제품

1,817,918

15.0

2,645,245

45.5

6

39

플라스틱 및 그 제품

2,119,183

8.4

2,467,021

16.4

7

40

고무와 그 제품

1,823,753

0.5

1,753,381

3.9

8

72

철강

1,679,553

17.1

1,373,726

18.2

9

90

광학기기, 사진용 기기, 영화용기기, 측정기기, 검사기기, 정밀기기와 의료용기기

이들의 부분품과 부속품

1,339,976

8.2

1,291,301

3.6

10

29

유기화학품

983,225

13.8

1,096,430

11.5

: 순위는 2017년 실적 기준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1. 대미 주요 수입품목


2017년 기준, 한국의 대미 수입액은 507 4,936 달러로 전년대비 17.4% 증가했다. 한국의 주요 대미 수입품목 1위를 차지한 품목은 '원자로·보일러와 기계류 이들의 부분품'으로 2016 수입액은 전년대비 13.1% 감소했으나 2017년도 수입은 46% 증가했다. 2017 기준, 대미 수입액 상위 10 품목 가장 증가세를 보인 품목은 '광물성연료, 광물류, 이들의 증류물, 역청물질, 광물성왁스' 전년대비 무려 138.6% 증가한 46 3,591 달러를 기록했다. '광학기기, 사용 기기, 영화용 기기, 측정기기, 검사기기, 정밀기기와 의료용기기 이들의 부분품과 부속품' 또한 전년대비 22.6% 증가한 42 4,192 달러를 기록했다. 대미 수입 감소 품목 1위는 '항공기와 우주선 이들의 부분품(39.5% 감소)', 2위는 '철도 또는 궤도용 이외의 차량 부분품과 부속품'(3.5% 감소)이다.


  1. 한국의 대미국 주요 수입상품

    (단위: 천 달러, %) 

  2. 순위

    HS

    코드

    품목명

    2016

    2017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43,215,929

    1.8

    50,749,363

    17.4

    1

    84


    원자로·보일러와 기계류 이들의 부분품 

    6,773,803

    13.1

    9,892,445

    46.0

    2

    87

     전기기기와  부분품

    6,405,104

    3.9

    7,087,351

    10.7

    3

    27

     광물성연료, 광물유, 이들의 증류물,

    역청물질, 광물성왁스

    1,943,240

    17.4

    4,635,913

    138.6

    4

    90

     광학기기, 사진용 기기, 영화용기기, 측정기기, 검사기기, 정밀기기와 의료용기기 이들의 부분품과 부속품

    3,458,849

    2.3

    4,241,916

    22.6

    5

    87

    철도 또는 궤도용 이외의 차량 및 그 부분품과 부속품

    2,140,531

    29.4

    2,065,512

    3.5

    6

    29

    유기화학품

    1,600,039

    23.5

    1,738,436

    8.6

    7

    88

    항공기와 우주선 및 이들의 부분품

    2,833,959

    19.1

    1,713,696

    39.5

    8

    02

    육, 식용설육

    1,419,826

    12.9

    1,707,613

    20.3

    9

    39

    플라스틱 및 그 제품

    1,486,709

    0.1

    1,518,674

    2.2

    10

    38

    각종 화학공업생산품

    1,304,300

    12.7

    1,365,218

    4.7

  3. : 순위는 2017년 기준

  4.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2017년 한국의 주요 수출입 특징


산업 및 품목별 특징


2017 기준, 한국의 품목별 대미 수출 가장 비중이 중간재의 경우 대미 수출액이 전년대비 8.8%증가한 338 9,848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체 수출 비중의 49.4% 차지했다. 다음으로 소비재(27.5%) 188 7,225 달러를, 자본재(22.8%) 156 7,046 달러를 수출했다. 품목별 대미 수입도 중간재가 46.6% 가장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10.0% 증가해 236 4,726 달러가 수입됐다 다음으로 자본재 수입은 전년대비 42.2% 증가한 124 974 달러를 기록해 24.5% 비중을 차지했다.


2017년 한국의 대미국 가공단계 수출입

(단위: 천 달러, %)

산 업 별

수출

수입

금액

증감률

구성비

금액

증감률

구성비

총계

68,609,728

N/A

100.00

50,749,363

N/A

100.00

1차산품

74,470

6.6

0.1

5,894,459

35.9

11.6

소비재

18,872,254

△5.0

27.5

8,458,457

2.9

16.7

자본재

15,670,461

3.2

22.8

12,409,736

42.2

24.5

중간재

33,898,484

8.8

49.4

23,647,261

10.0

46.6

기타

94,059

48.9

0.1

339,450

△23.4

0.7

자료원: 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