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황
방글라데시 국가개황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8-09-06 | 조회수 | 5,330 |
국가정보 | 아시아>방글라데시 | ||
원문 | KOTRA | ||
출처 |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70 |
자료원 : CIA
Ⅰ. 국가 일반
1. 국가 개요
가. 일반 사항
국명 |
방글라데시 인민 공화국(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
위치 |
남아시아 대륙의 북동부에 소재하며 동/서/북쪽은 인도에 둘러싸여 있으며, 남동쪽은 미얀마와 남쪽의 벵골만과 접해 있음 (북위 20도 34분과 26도 38분 동경 88도 10분과 92도 41분 사이) |
면적 |
148,460㎢(한반도 전체의 약 2/3) |
기후 |
겨울(11~2월), 여름(3~6월), 우기(7~10월)로 구분, 아열대 몬순 기후 |
수도 |
다카(Dhaka)* |
인구 |
1억 6,637만 명(2018년 통계청 기준) |
주요 도시 |
다카(Dhaka, 1,204만 명), 치타공(Chittagong, 762만 명), 실렛(Sylhet, 343만 명), 라즈샤히(Rajshahi, 259만 명), 랑푸르(Rangpur, 288만 명), 바리살(Barisal, 232만 명), 쿨나(Khulna, 232만 명) (*상기 인구는 ‘District’ 기준. Division은 우리나라의 ‘도’에 해당하며, 그 아래 행정단위가 ‘District’로 Dhaka Division의 경우 Dhaka District를 포함한 17개의 District로 구성돼 있음. 좁은 의미에서 다카 시(city)는 Dhaka District의 일부분임) |
민족 |
벵골족(이외 Chakma, Mogh, Mru, Bom, Mizo, Pankhu족 등 소수민족) |
언어 |
국민의 95% 가량이 아리아 언어의 하나인 벵골어 사용 (지식인 비즈니스 종사자는 영어 능통) |
종교 |
이슬람교 83%, 힌두교 16%, 불교 0.7%, 천주교 0.2%, 기타 0.1% |
건국(독립)일 |
1971년 3월 26일(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 |
정부 형태 |
내각책임제 |
국가원수 (실권자) |
대통령 : Abdul Hamid(20~21대 대통령) - 2013년 4월 취임 후 2018년 4월 연임, 임기 5년, 국회 선출 총리: 쉐이크 하시나(Sheikh Hasina/실권자) - 2008년 12월 29일 9대 총선을 통해 2007년 1월 비상사태 선포 이후 23개월간 지속됐던 임시 과도 정부 체제에서 민선 정부 체제 복귀 - 2014년 1월 5일 10대 총선이 야당이 불참한 가운데 치뤄져 하시나 총리가 이끄는 아와미리그(AL) 가 재집권 - 2018년 말(12월 예정) 방글라데시 총리 선거 예정 |
주*: 1982년까지 Dacca로 표기
자료원: 방글라데시 통계청 등
나. 주요 경제지표
GDP |
2,356억 달러(2016년) → 2,613억 달러(2017년)(IMF) |
GDP 성장률 |
7.2%(2016년) → 7.1%(2017년)(IMF) |
1인 GDP |
1,458달러(2016년) → 1,601달러(2017년)(IMF) |
실업률 |
4.3%(2017년, World Bank) |
물가상승률(CPI) |
5.7%(2016년) → 5.7%(2017년)(IMF) |
화폐 단위 |
Taka(TK), 공식 표기는 BDT |
환율 |
|
외채 |
|
외환보유고 |
|
산업구조 |
농림수산업(10.4%), 광업(1.7%), 제조업(17.3%), 전력/수도/가스/(1.3%), 건설(7.3%), 서비스(49.6%)(FY 2016/2017, 방글라데시 재무부) |
교역 규모 |
수출: 340억 달러 / 수입: 434억 달러(FY 2016/2017, Bangladesh Bank) |
주요 교역품 |
수출: 의류(약 80%), 가죽, 신발, 황마, 냉동수산물, 차(茶) 수입: 섬유, 기계류, 연료, 곡물, 전자 및 전기기기, 철강 및 금속(Bangladesh Bank) |
주* : 중앙은행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제한적 변동환율제 시행
자료원 : 항목별 표시
다. 한-방글라데시 관계
체결 협정 |
외교관계 수립(1973년 12월) 통상협정(1973년 7월) 항공협정(1979년 2월) 사증면제 협정(1983년 2월) 이중과세방지협정(1983년 5월) 투자보증협정(1986년 6월) 경제기술협력협정(1933년 12월) 과학기술협력협정(1995년 5월) 군수/방산 협정(2004년 1월) 인력송출 협정(2007년 6월) 에너지협력 MOU(2007년 11월) EDCF 기본협정, 환경협력 MOU, 에너지협력 MOU(2010년 5월) EDCF 기본약정 갱신(차관한도 2억 달러 → 3억 달러 인상)(2013년 6월) 무상원조 기본협정(2014년 3월) |
교역규모 |
2015 한국의 수출 : 12억 700만 달러(▼2.3%) / 수입 : 3억 3,500만 달러(▼3.0%) 2016 한국의 수출 : 11억 5800만 달러(▼4.1%) / 수입 : 2억 9,300만 달러(▼12.5%) 2017 한국의 수출 : 12억 7,600만 달러(▲10.2%) / 수입 : 2억 8,500만 달러(▼2.7%) |
교역품 |
수출 : 철강, 연료, 비철금속, 종이, 석유화학, 직물, 수송기계 수입 : 섬유 및 가죽제품, 비철금속제품, 농산물, 섬유사, 직물 |
투자 교류 |
한국의 대방글라데시 투자(2017년 말 기준/누계) - 신고건수: 800건 - 투자금액: 3억 1,700만 달러(실행 기준) - 법인 및 지사수: 222개사 - 업종별 투자현황(2017년 말 기준/투자금액 누계 기준) - 제조(82.1%), 광업(12.7%), 도소매업(2.8%) - 제조업 내, 의복(34.6%), 의복 外 섬유제품(23.8%), 가죽/가방/신발(20.5%) 순 |
교민 |
총 교민 수 약 1,000명(일시 체류자 포함) |
자료원: 한국외교통상부, 한국무역협회, 한국수출입은행
라. 인구 통계
총인구 |
1억 6,637만 명 |
연평균 인구증가율 |
1.08% |
성비 |
100.3%*(남성 7,827만 명 / 여성 7,741만 명) |
인구 밀도 |
1,015명/㎢ |
연령별 인구 비중 |
- 0~14세 이하 28.9% - 15~64세 66.0% - 65세 이상 5.1% |
최근 주요 동향 |
남성의 해외 근로 증가, 산모 사망률 및 여성 유아 사망률 감소 등에 따른 여성 인구 비중 증가, 유/청소년 인구 비중 감소 및 청장년 인구 비중 증가 → 부양률(dependent ratio) 감소 |
주* : 여성 100명당 남성 인구
자료원 : 통계청(Population & Housing Census),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W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