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의약품 시장현황

home > 국가별 정보> 의약품 시장정보> 의약품 시장현황

글자크기

세계 바이오산업의 주요트렌드

세계 바이오산업의 주요트렌드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5-04-02 조회수 399
국가정보
원문 http://www.kiet.re.kr/kiet_web/?sub_num=747
출처 산업연구원

바이오산업

(1) 기술 동향
신기술 내부적인 투자 주도권이 IT분야에서 BT분야로 이동하고 있음.
  • 2001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신기술분야 예산 중 바이오산업분야에의 투자 우선순위가 1위
2001년 2월 인간유전체 프로젝트(HGP) 및 미국 셀레라사의인간유전체 지도 완성으로 Post-genome 시대가 개막
  • Post-genome 시대의 신기술은 속도와 용량이 상상을 초월할 만큼 발전하고 있으며, 성공여부 판가름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
  • 후속으로 인간프로테움 프로젝트(HPP)가 나오고 이에 대한 개발이 향후 바이오산업 특히 신약개발에 큰 변화 초래 전망
    • - HGP : 3만여종 유전자 분석, HPP : 100만여종 인간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 - HPP로 관련 산업이 연평균 18%성장하여 ‘01년 7억달러, ’06년 17억 달러 전망
어메니티(amenity) 산업에 대한 관심고조와 발전이 기대됨
IT를 기반으로 BT(생명공학기술)를 결합해 생명 현상중심의 생체콘텐츠를 개발ㆍ공유ㆍ서비스하기 위한 생물정보학, 생물전자공학 등 BIT(생물정보기술)에 대한 관심 고조

(2) 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및 기술융합 활성화
Post-Genome 시대의 개막 및 신기술 개발 활성화
  • 2001년 2월 인간유전체 프로젝트(HGP) 및 미국 셀레라사에 의해 발표된 인간유전체 지도 완성으로 Post-Genome 시대가 개막
  • Post-Genome 시대의 신기술은 속도와 용량이 상상을 초월할 만큼 발전하고 있으며, 또한 속도와 용량에서의 경쟁력이 성공여부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
  • 기능성 유전체(Functional Genomics), 단백질체(Proteomics),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대사공학(Metabolic Engineering)
  • 유전자치료 등 보건의료분야, 유전자변형 작물 등 농업분야, 인공효소 등 화학분야에서 응용이 대표사례
  • 생물정보 및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은 Post-Genome 시대에 있어 산업 및 기술 패러다임 자체가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음.
BIT등 융합기술 시대의 개막과 기술융합 파급효과 확대
  • IT(정보기술)를 기반으로 BT(생명공학기술)를 결합하여 생명현상중심의 생체콘텐츠를 개발ㆍ공유ㆍ서비스하기 위한 생체핵심 및 첨단응용기술 BIT(생물정보기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
    • -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은 생물물질의 광범위한 제반정보를 컴퓨터기술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 분석, 활용하려는 유전자ㆍ단백질 등의 유전정보 및 관련DB 구축분야
  • 생물전자공학(Bioelectronics)은 생명공학기술과 전자공학기술을 융합하여 유리ㆍ실리콘 등으로 된 작은 기판 위에 DNAㆍ단백질 등의 생물분자(Biomolecule)들을 집적시킨 바이오칩, 원하는 물질의 양을 탐색하는 바이오센서를 연구개발하는 분야

 

    (3) 시장동향
바이오산업 분야의 세계시장은 미국이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및 일본이 각 20%정도를 점유하고 있고, 기타 국가들이 나머지 10%정도의 비중으로 분석
바이오산업 제품 중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생물의약품이 전체 시장의 절반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생물의약품의 시장 우위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기존제품에 대한 규제조치에 대비하고, 환경오염문제 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분해성 고분자 및 세제, 생물 농약 등 바이오산업제품에 대한 시장규모 증대 예상
  • 이탈리아 및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화학합성 고분자에 대한 판매규제 및 세금정책이 시행되고 있음.
Ernst & Young사에 의하면 2002년 바이오산업분야의 세계 공개기업(Public Company)의 수입(Revenues)은 414억 달러 규모
  • 미국 73%, 유럽 20%, 캐나다 4%, 아시아/태평양 3%
<표 4> 2002년도 세계 바이오산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명, 개)
콘텐츠산업의 분야별 세계시장 규모 추이
구분 내용 세계종합 국가별현황
미국 유럽 캐나다 아시아/태평양
공개기업자료(Public Company Data) 수입(Revenues) 41,369 30,266 8,262 1,466 1,375
기술개발비(R&D Expense) 22,012 16,272 4,989 555 197
순손실(Net Loss) 12,483 9,378 2,763 263 79
직원(No. of Employees) 193,753 142,900 33,304 7,785 9,764

자료 : Ernst & Young LLP, Beyond Borders: The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3

(4) 외국의 바이오산업 현황 및 육성전략
미국 바이오산업의 현황 및 육성전략
  • 2002년 미국의 바이오산업 매출규모 243억 달러, 수입규모 336억 달러, 참여기업 1,400개사 이상, 종업원 수 190,000명 이상으로 성장하여 세계 최대의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확보
    • - 미국은 기초ㆍ산업 기반이 튼튼하며, 대학ㆍ연구소ㆍ기업간 정보흐름이 자유롭고,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상호 협력하여 산업 발전을 주도
    < 표 5 > 미국의 바이오산업 현황
    (단위 : 억 달러, 개사, 명)
    미국의 바이오산업 현황
    구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매출액(Sales) 130 134 134 193 214 243
    수입(Revenues) 174 186 186 267 296 336
    기술개발비(R&D Expense) 90 106 106 142 157 205
    기업수(No. of Companies) 1,274 1,311 1,311 1,379 1,457 1,466
    직원(No. of Employees) 141,000 155,000 155,000 174,000 193,000 194,600

    자료 : 미국 Ernst & Young LLP, Resilience : Americas Biotechnology Report 2003 외,


미국의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 미국은 바이오산업분야의 세계 최 선두국가 유지 및 국제경쟁력 우위를 목표로 우수 연구개발결과에 대한 특허권의 조속한 획득 및 세계시장 선점을 통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경쟁력강화전략을 추진 중
  • 민간주도로 산업육성정책을 추진하는 타 산업분야와 달리 바이오산업은 연방정부 및 주정부, 대학 및 연구기관, 민간기업이 밀접하게 협력하여 집중 육성 중
    • - 연방정부는 1988년 생물공학경쟁조정법을 제정하여 바이오산업 종합 육성체계 확립
      • *생물공학정보센터(NCBI), 생물공학정책위원회(NBPC), 인체유전자 연구개발 등 주요 정책 사례
    • - 연방정부는 국방부문에 이어서 바이오산업분야에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는데, 2003년도 생명과학관련 예산은 286억 달러 규모
    • - 주정부 역시 연방정부와 함께 바이오산업 육성과 활성도 제고에 주력
      • *캘리포니아 주정부를 포함한 대부분의 주정부가 대업계 서비스, 기술이전 지원, 외국자본의 투자유치 촉진정책을 적극 추진
      • *미국 BIO 국제행사 및 세계 각국 순방을 통하여 자국의 바이오산업 활성도를 홍보하여 투자유치에 전력
    • -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6월 23일 워싱턴에서 개최된 BIO 2003 국제행사에서 축하연설을 통하여 미국 정부의 바이오분야 예산을 2년간 2배로 늘려 바이오산업분야 선두자리를 지켜나가겠다고 선언
      • *바이오테러전에 대응하기 위해 10년간 56억 달러를 백신중심으로 투자하는 바이오방어(BioShield) 프로젝트 확정

일본 바이오산업 현황 및 육성전략
일본 바이오산업 현황
  • 2002년 일본의 바이오산업 총 시장규모는 1조 4,330억엔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발효기술을 활용한 응용기반이 튼튼하여 개량제품 개발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음.
    • - 대기업이 산업화를 주도하고 있으나 최근들어 주식시장의 활동과 함께 벤처기업들이 활성화되고 있음.
    < 표 6 > 일본의 바이오산업 총 시장규모
    (단위 : 억엔)
    일본의 바이오산업 총 시장규모
    구분 내용 바이오산업 총 시장규모
    1977 1998 1999 2000 2001 2002
    바이오상품 유전자조작, 세포융합, 세포배양 제품 8,166 9,184 9,767 9,119 9,707 10,381
    바이오관련상품 의약·정밀제품, 식품·센서, 기기시약·생물정보, 기타 2,706 2,378 2,642 3,268 3,624 3,949
    합계 10,872 11,562 12,409 12,387 13,331 14,330

    자료 : 일본BP사(NB Publications, Inc.), 일경바이오연감 2003 외, 2002년 11월 외


일본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 일본 바이오산업 육성정책은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발전기반을 조성하고, 기초연구에서부터 응용 및 상품화단계까지를 집중 추진
    • - 1999년 바이오산업의 창조를 위한 기본전략을 수립하여 2010년까지 시장규모 25조엔, 신규 창업기업 1,000개사 목표 설정
  • 일본은 관 주도로 바이오산업을 육성하고 있는데, 경제산업성이 바이오산업 육성을 리드하면서 1999년부터는 5개 부처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2002년 2,454억엔을 투입하였음.
    • - 경제산업성은 1989년 설치한 제조산업국의 생물화학산업과에서 전문 프로그램 및 연구소 등을 통해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
  • 2002년 12월 6일 일본 바이오테크놀러지전략회의는 바이오테크놀러지 전략을 발표하였음.
    • - 목적은 20세기에 전자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세계를 리드하는데 성공한 일본이 생명공학기술 시대인 21세기에 있어서도 경쟁력을 갖기 위하여 향후 5년~10년 동안 대폭적으로 대응하고자 함.
    • - 전략 1 : 연구개발의 절대적 충실
      • *연구개발 예산의 충실 및 강화,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체제 정비, 일본의 강점을 살린 연구개발, 융합분야 연구개발 목표
    • - 전략 2 : 산업화공정의 근본적 강화
      • *산업화 인센티브의 근본적 개혁, 산업화를 위한 각 주체의 능력 대폭 강화, 사업환경의 정비
    • - 전략 3 : 국민 이해의 철저 침투
      • *정보의 공개와 제공의 충실, 안전ㆍ윤리에 대한 정부의 확고한 자세 국민에게 제시,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 등의 충실

유럽 바이오산업 현황 및 육성전략
유럽 바이오산업 현황
  • 2002년 유럽의 바이오산업은 수입규모 129억 유로, 참여기업 1,878개사, 종업원 수 82,124명 규모
    • - 유럽 대기업들은 미국 바이오벤처기업에 투자하여 우수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생산과 마케팅관련 전략적 제휴가 매우 활발
    < 표 7 > 유럽의 바이오산업 현황
    (단위 : 억엔)
    유럽의 바이오산업 현황
    구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수입(Revenues) 2,725 3,709 6,285 8,679 13,130 12,861
    기술개발비(R&D expenses) 1,910 2,334 3,364 4,977 7,166 7,657
    기업(Number of Companies) 1,036 1,178 1,352 1,734 1,879 1,878
    종업원(Employees) 39,045 45,823 57,589 67,445 87,182 82,124

    자료 : Ernst & Young LLP, Endurance : The European Biotechnology Report 2003

유럽 바이오산업 육성전략
  • 유럽은 유럽연합(EU)에 의한 바이오산업 공동협력 수행 및 협력 프로그램 추진을 통하여 기초연구결과의 산업화연계를 강화하고, 각국별 협력 및 경쟁을 병행하고 있음.
    • - EUREKA, BRIDGE 등 생물공학 공동협력 프로그램 수행 중
    • - 영국, 독일, 프랑스 등 국가별 바이오산업 경쟁도 병행 중
  • 유럽공동체위원회(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는 2002년 1월 생명과학과 생물공학 - 유럽의 전략(Life Sciences and Biotechnology - A Strategy for Europe)을 발표
    • - 유럽이 바이오산업분야의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실행계획의 2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 - Part Ⅰ: 유럽의 전략(A Strategy for Europe)
      • *전략적 도전, 생명과학 및 생물공학의 잠재성 확보,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 관리를 위한 책임정책, 글로벌 도전에의 대응, 정책 통일성 확보, 대화 및 실행을 위한 구조
    • - Part Ⅱ: 실행계획(Action Plan)
      • *10년 생명과학 교육, 취업알선, 연구개발/홍보 및 훈련 지원, 기업 경영자 네트워크 및 법적 능력 개발, 유럽의 지적 재산권 보호 시스템 대응, 자본베이스 강화, 생명공학 및 파이낸스 포럼 강화, 상업적 생물공학 web 포탈 지원, 지역간 협력강화 및 생물공학 클러스터 네트워크, 당사국 네트워크 및 자문그룹 경쟁력 확립. 커뮤니티 규제 안내 등. 클러스터 기업 벤치마크 등, 이해 및 정보교환 대화 증진, 사회경제적 및 윤리문제 연구 지원, 윤리에 대한 유럽그룹의 역할 증진, 윤리문제 분석 등, 전통 및 유기농장의 생존율 측정, 의약 규제에 대한 신속한 적응, 규제 제안 검토, 규제 제안 최종 검토, 법률/방법론 시행, GMO 추진체의 효율성 증진, GMO의 장기적 환경영향 고찰, 국제 지침에서의 리드 역할, 연구협력자 등, 유전자원의 보전 및 지속 이용, 질병연구, 현대 생명공학의 안전성 및 효능 지원 등, 법률 및 정책의 모니터링 등, 정기 발행물 등 30개 Action Plan 구축
  • 유럽의 바이오산업 선두국가 영국은 산업적인 응용 가속화를 통한 바이오산업 발전을 목표로 유럽 바이오산업을 주도
    • - 280개사 이상, 종업원 18,400명 이상 참여
    • - 정부 차원의 산업응용 촉진 Biotechnology Means Business, 정부와 기업 공동출자 연구조합 형태 Club, 정부지원 연구결과 상업화목적 LINK, 지역별 집적지 (Cluster) 정책 추진

기타국가의 바이오산업 동향
캐나다 바이오산업 동향
  • 2002년 캐나다 바이오산업 수입규모는 14억 6,600만 달러, 종업원은 7,785명, 참여기업은 417개사 규모임
    • - 응용분야별 바이오기업 비중은 치료제 58%, 농업ㆍ동물건강ㆍ양식 15%, 유전체ㆍ단백질체ㆍ생물정보학 12%, 기타 15%
    • - 미국 및 유럽에서 승인된 생물의약품 15종

    < 표 8 > 캐나다의 바이오산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개사, 명)
    캐나다의 바이오산업 현황
    구분 2001년 2002년 증가율
    수입(Revenues) 1,021 1,466 44%
    기술개발비(R&D expense) 474 555 17%
    기업수(No. of Companies) 416 417 1%
    종업원수(Employees) 7,005 7,785 11%

    자료 : 미국 Ernst & Young LLP, Resilience : Americas Biotechnology Report 2003 외

호주 바이오산업 동향
  • 2002년 호주 바이오산업 수입규모는 9억 2,050만 달러, 종업원은 6,464명, 참여기업은 214개사 규모
    < 표 9 > 호주의 바이오산업 현황
    (단위 : 억 달러, 개사, 명)
    캐나다의 바이오산업 현황
    구분 2001년 2002년 증가율
    수입(Revenues) 665.8 920.5 38%
    기술개발비(R&D expense) 105.1 125.8 20%
    기업수(No. of Companies) 181 214 24%
    종업원수(Employees) 5,201 6,464 18%

    자료 : Ernst & Young LLP, Beyond Borders : The Global Biotechnology Report 2003

싱가포르 바이오산업 동향
  • 싱가포르는 생물의학분야 계약생산(CMO)을 통한 아시아 글로벌-허브를 목표로 향후 5년간 17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 하에 과학기술부(ASTAR)와 경제기획원 생물의학그룹(EDB BMSG)이 추진하고 있음.
    • - 2002년 생물의약품 제조생산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55억 달러를 달성해 향후 지속적인 경제 성장의 핵심으로 2005년 목표를 70억 달러 설정
  • 싱가포르 정부는 숙련된 노동 인구ㆍ튼튼한 지적재산권ㆍ야심적인 규제시스템ㆍ세계수준의 공공부문연구ㆍ최신 통신시스템ㆍ편리한 입국절차 등의 투자 및 인센티브를 통하여 싱가포르에 연구소를 설치하는 Eli Lilly, Novartis사 등 다국적기업을 유치하고 자국 바이오기업 창업을 지원
중국 바이오산업 동향
  • 중국은 2001년 WTO에 가입을 계기로 지식기반산업인 바이오산업을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음.
    • - 1996~2002년 기간동안 1억 8,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하였으며, 20,000명 이상 인력양성
    • - 2005년 바이오분야에 6억 달러 투자 예정이며 미국의 1/10인 인건비와 시장 성장 가능성이 큰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음.
  • 중국 바이오산업의 핵심은 농업, 수입 백신 및 재조합 인슐린 및 알파 인터페론 같은 단백질 의약품 및 전통 중국의약품
    • - 2001년 수입규모 약 30억 달러
    • - 단백질 의약품과 백신 생산 및 판매부문 특화
    • - 2000년 말 21개 바이오산업제품이 중국에서 판매 허용되었는데, 이중 3개 제품이 중국 자체 개발 제품

     

(5) 바이오산업의 세계적인 성공사례
Amgen Story
  • 1980년 벤처기업으로 설립한 미국의 Amgen사는 특정 단백질 의약품 상업화 전략을 추진하여 2002년 55억 2,300만 달러 수입 및 16억 6,200만 달러 순이익을 바이오산업분야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히고 있음.
  • 7개 생물의약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판매제품은 3개 제품
  • 1989년 빈혈치료제 Erythropoietin(상품명 Epogen)
  • 1991년 항암보조제 G-CSF(상품명 Neupogen)
  • 1998년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Etanercept(상품명 Enbrel)

< 표 10 > 미국 Amgen사의 경영현황

(단위 : 백만 달러)
미국 Amgen사의 경영현황
구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판매액(Product Sales) 2,088 2,220 2,514 3,043 3,202 3,511 4,991
총수입(Total Revenues) 2,240 2,401 2,718 3,340 3,629 4,016 5,523
기술개발비(R&D expense) 528 631 663 823 823 865 1,117
순이익(Net Income) 680 644 644 1,067 1,139 1,277 1,662

자료 : Amgen Inc., Annual Report 종합, 2003년 외

주요 바이오 전문기업의 수익 창출 사례
  • Amgen사를 비롯해 Genentech사, Chiron사, Biogen사, Biovail사 등이 순이익을 내는 바이오 전문기업으로 부상됨.

< 표 11 > 2002년도 주요 바이오 전문기업의 경영현황

(단위 : 백만 달러)
2002년도 주요 바이오 전문기업의 경영현황
구분 수입(Revenues) 기술개발비(R&D Expense) 순이익(Net Income) 종업원(Employees) 시장가치(Market Cap.)
Amgen 5,523 1,117 1,662 10,100 62,217
Genentech 2,618 623 64 5,252 17,067
Chiron 1,172 326 226 4,044 7,073
Biogen 1,148 368 199 2,633 5,972
MedImmune 848 144 81 1,605 6,820
Gilead Sciences 467 135 72 1,250 6,687
Biovail 788 52 256 1,900 4,146

자료 : Amgen Inc., Annual Report 종합, 2003년 외


바이오산업 Blockbuster 제품
  • 매출액이 10억 달러 이상 되는 Blockbuster 제품군은 6개(8개 상품)
    • - 빈혈치료제 Erythropoietin(EPO)의 2002년 세계 매출액이 81억 달러 규모로 세계 생물의약품 매출대비 25% 내외를 점유하여 세계최대의 바이오산업제품으로 성장

< 표 12 > 2002년도 바이오산업 Blockbuster 제품 및 Blockbuster 후보제품

(단위 : 백만 달러)
2002년도 바이오산업 Blockbuster 제품 및 Blockbuster 후보제품
구분 상품명 판매회사 일반명 용도 판매액
Blockbuster 제품 Procrit Johnson & Johnson (J & J) Eportin alfa 빈혈치료제 3,400
Intron-A Shering-Plough Interferon Alpha-2b 항암 및 간염치료 2,700
Epogen Amgen Eportin alfa 빈혈치료제 2,261
Novolin Novo-Nordisk Human Insulin 당뇨병치료 1,829
Neupogen Amgen Filgrastim 항암보조제 1,380
Remicade J & J Infliximab 크론병 /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1,300
Rituxan Genentech Rituximab Non-Hodgkin 림프종 치료 1,163
Humulin Eli Lilly Human Insulin 당뇨병치료 1,060
소계 15,093
Blockbuster 후보제품 Avonex Biogen InterFeron Beta-1a 다발성경화증 치료 830
Enbrel Amagen Etanercept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802
소계 1,632

자료 : Ernst & Young LLP, Resilience : Americas Biotechnology Report 2003, : Amgen 2002 Annual Report 외,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