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시장현황
시장 분석 터키 시장 SWOT 분석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7-03-06 | 조회수 | 682 |
국가정보 | 중동>터키 | ||
원문 | |||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3. 시장 분석
1) 시장 개요
◦중국의 제약시장은 2007년 88억 달러에서 2012년 476억 달러로 크게 증하였으며, 연평균증가율(CAGR) 26.7%를 보였다. 2013년에는 600억 달러, 2015년에는 970억 달러, 2020년에는 3,150억 달러로 예상된다.
[그림 3-5] 중국 제약시장 규모의 변화(2007-2012)
*출처 : Global Data
<표 3-8> 중국 제약시장 규모의 변화(2007-2020)
연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E) |
인구($bn) |
8.8 |
16.8 |
24.3 |
28.7 |
36.7 |
47.6 |
*출처 : Global Data
<표 3-9> 중국 제약시장 규모의 예측(2013-2020)
연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인구($bn) |
60 |
76 |
97 |
122 |
155 |
196 |
249 |
315 |
*출처 : Global Data
2) 공급망
◦공급망은 제조업자, 유통업자, 병원, 약국으로 구성됨
◦약가에는 제조사 가격과 공장도 가격, 도매 및 유통 가격, 소매가격이 포함됨
◦각종 공급망 단계의 가격인상에는 부가가치세(VAT)와 수입세(17-24%)가 붙고, 판매 대리점의 마진(8-10%), 병원 마진(20-25%)이 포함됨
◦전체 약가에서 약 30%는 제조사 비용(공장도가), 55%는 판매 대리점 비용(커미션 및 리베이트), 15%는 소매업자나 병원비용(가격인상)에 귀속됨
◦의약품 제조사와 환자 간 의약품 공급망의 일환으로 의료기관과 의사는 처방약 매출에 대해 중개수수료를 받음
- 제조사는 판매 대리점에 할인된 가격으로 의약품을 판매함
- 판매 대리점은 구입한 의약품을 다시 병원에 판매하는데, 이 경우 의약품 이윤폭을 토대로 의사에게 중개수수료를 지급함
◦필수 의약품(2008년 기준 2,400종)은 대부분 이러한 공급망을 통해 유통 및 판매됨
◦제네릭 의약품의 개선된 공급망
- 제조사는 공동구매로 과정을 통하여 병원에 의약품을 판매함
- 입찰을 토대로 의약품을 제조함
- 판매 대리점은 병원에 의약품을 납품만 하되 판매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서비스 제공업자의 역할만 수행함
- 병원은 처방집 목록의 필수 의약품에 비중을 두고 의약품을 대량으로 구매
◦2011년 5월 상무부가 발표한 지침에 따라 중국은 향후 5년간 의약품 공급 및 마케팅 채널을 개선할 계획
- 2009년 말 중국에는 의약품 도매업이 약 13,000곳, 소매업은 388,000곳이 있었으며 대부분 중소기업 규모였는데, 이를 2015년까지 연매출 154억 달러에 달하는 전국 규모의 판매 대리점을 1-3곳 이상 보유할 목표를 세움
3) 제네릭 의약품
◦중국에 공급 및 판매되는 대다수 의약품은 국내 제약회사가 생산하는 제네릭 의약품임
◦해외 MNC는 주로 브랜드약 생산을 담당하는데, 중국 내 다국적 제약회사의 매출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브랜드 의약품이 곧 특허만료 됨
◦중국에서 필수 의약품 목록(Essential Drug List, EDL)에 포함되는 의약품은 사실상 전부가 제네릭 의약품인데, 이는 EDL의 목적이 대다수 빈곤층에 피해를 주는 광범위 치료 가능 질환에 저가약을 공급하는데 있기 때문임
◦2008년 약 400개 의료기관(3차 진료병원 224곳, 2차 진료병원 95곳, 1차 진료병원 93곳)에서 Xu-Li Ping et al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제네릭 의약품과 브랜드 의약품이 3차 진료병원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각각 34%와 66%, 2차 진료병원은 각각 51.7%와 48.3%, 1차 진료병원은 각각 64.7%와 35.3%로 전문 의약품은 3차 병원의 수요가 높기 때문에 브랜드 의약품의 점유율이 높고, 일반 질환은 1차 진료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므로 제네릭 의약품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제네릭 의약품 점유율은 질환 카테고리에 따라 다른데, 소화기 계통과 항균제 제네릭은 각각 55%와 51%로 시장점유율이 높은 반면, 순환기 및 내분비 계통 관련 질환의 점유율은 낮은 것은 순환기 및 내분비 계통 장애는 전문 의약품 수요가 높아 브랜드 의약품 매출이 많기 때문으로 나타남
◦항암제의 경우에는 브랜드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 시장점유율이 대동소이하지만 판매량은 제네릭 의약품이 월등하게 높은데, 이는 항암제 제네릭이 비교적 저가에 공급되기 때문으로 알려짐
[그림 3-6] 병원 형태별 브랜드 의약품과 제네릭의 시장점유율
[그림 3-7] 질환별 브랜드 의약품과 제네릭의 시장점유율
* 출처 : Global Data
4)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2011년 중국에 등록된 중국 바이오 의약품 회사는 약 200개 이며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최근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냄
◦2009년 업계 총수익은 약 110억 달러로 보고되었으며 2005년 대비 CAGR 31.3%의 성장세를 기록
◦2005-2009년 동안 업계 CAGR은 23.8%였으며, 바이오 의약품 업계 이익 성장률은 29.7%에 달함
◦2010년 바이오산업은 전체 제약시장의 약 10.5%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선진국의 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5) OTC
◦중국의 일반의약품(OTC) 업계는 대규모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2000년 처방약과 OTC약을 구분하기 위해 의약품 분류가 발효된 이후 OTC 의약품 시장은 급속하게 발전
- 2009년 시장의 가치는 147억 달러로 2000년 31억 달러에 비하여 5배 가까이 성장
[그림 3-8] OTC 시장의 성장추이(2005-2010)
* 출처 : Global Data
- 2009년 전체 OTC 시장에서 소매시장은 약 106억 달러를 차지한 반면 병원 OTC 시장은 71억 달러를 차지
- 2009년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OTC 시장으로 등극
◦인구 평균 연령의 증가와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의 제고, 가처분 소득의 증가, 도시생활 수준의 개선 등이 OTC 제약시장의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보고됨
◦의약품 안전성과 규제 강화를 위하여 SFDA는 대다수 의약품의 처방약-OTC 이중 지위를 무효로 하는 규제안을 마련함
6) 주요 치료분야
◦감염성질환(Infectious Diseases)
- 중국에서 사망률과 이환율의 원인 가운데 1위는 감염성 질환임
- 인구 규모가 막대하기 때문에 전 세계 감염성 질환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감염성 질환은 중증도를 토대로 3개 카테고리로 분류됨
∙A급(플라크 및 콜레라에 국한)
∙B급(간염이나 후천성면역결핍성증후군(AIDS), 폐결핵과 같은 25개 질환)
∙C급(인플루엔자, 수족구, 설사와 같은 10개 질환)
- 2010년 중국의 항생제 시장은 약 118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처방약 매출을 과반수의 점유율을 차지함
- 감염병치료제는 국내 최대 의약품 유형으로, 수량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매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데, 그 가운데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은 최대 약물로 감염병치료제 시장의 약 60%를 차지함
- 페니실린은 2010년 중국 감염병치료제 EDL에서 약 23.3%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였고, 퀴놀론(quinolone)(21.3%)과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s)(20.7%), 마크롤라이드(macrolide)(20.3%)가 뒤를 이었으며 기타 항생제는 14.3%를 차지
[그림 3-9] 항감염제 EDL의 시장 점유율
* 출처 : Global Data
◦심혈관질환(Cardiovascular Diseases)
- CVD는 중장년층 사망의 주요 원인에 속함
∙2008년 중국 국립보건연구국이 수행한 조사에 따르면 CVD의 유병률은 1993-2008년 동안 CAGR 8.4%로 증가
∙2011년 중국에서는 약 2억 3000만 명이 CVD 환자로 이 가운데 약 2억 명이 고혈압 진단을 받음
- 중국의 CVD 의약품 시장은 2008년 115억 달러로 평가
- 미국심장협회저널(American Heart Association Journal)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30년까지 중국 CVD 유병률과 사망률은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흡연, 고혈압, 각종 위험 요인으로 인하여 약 73% 증가할 것임
◦암(Cancer)
- 암은 중국에서 대표적인 사망 원인에 속함
∙지난 30년 간, 암 사망률은 80% 증가
∙매년 280만 명에게 암이 발발하며 이 가운데 180만 명이 사망
∙발병률은 대기 및 수질 오염과 흡연, 농약 및 식품 첨가제의 광범위 사용으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
- 2010년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암은 폐암, 간암, 위암, 식도암, 대장암임
∙이 가운데 유병률이 가장 높은 암은 폐암으로 폐암 사망률은 지난 30년간 465% 증가했는데, 폐암의 사망 원인 중 87%가 흡연이 차지함
∙간암과 위암은 중국 농촌 지역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농부의 간암 위험은 세계 평균의 약 3배이며, 위암은 세계 평균의 두 배
- 중국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암 치료에는 면역요법과 혈관생성억제제, 동결절제 최소침습술, 화학치료제, 고강도 초음파 암치료기(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non-invasive surgery, 경동맥화학색전요술(Transcatheter Arterial Chemo Embolization, TACE), 암 줄기세포 표적 치료, 감마 나이프 수술), Traditional Chinese Medicine(TCM)이 포함됨
◦대사 장애(Metabolic Disorders)
- 당뇨병은 중국에서 가장 일반적인 대사 장애로 2010년 20세 이상 인구의 약 9,240만 명이 당뇨병 환자이며, 이 가운데 61%는 진단을 받지 않았음
- 2008년 당뇨병 유병률은 9.7%(남성 10.6%, 여성 8.8%)로 미국의 10.7%에 근접
- 중국 당뇨병 시장은 지난 수년 간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약 10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04년 6억 달러에 비해 CAGR 17.6%로 증가하였음
- 2010년 전체 당뇨병 지출액은 약 250억 달러로 추산됨
- 흡연은 당뇨병 발병 위험을 2-4배 높이는데, 당뇨병 남성의 절반가량은 흡연자임
- 경구혈당강하제는 인슐린(제1형 당뇨병)에 비해 시장 점유율이 훨씬 높으며, 주된 경구 당뇨병치료제에는 Glucophage (메트포민), Yamoli (글리메피리드), Acarbose, Repaglinide가 포함됨
- 중국정부는 당뇨병 예방을 위한 조치로 2010년 중국 전역에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지역사회 의사를 10만 명 교육하기 위한 3개년 프로젝트를 출범시켰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