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및 제약산업 통계
보건의료수준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7-03-06 | 조회수 | 1,036 |
국가정보 | |||
원문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출처 |
-
보건의료수준
-
보건지표
보건지표 |
|
|
기대수명(세) (남/여) |
80/85 |
세 |
15-60세 성인사망률(남/여) (1,000명당) |
68/42 |
명 |
GDP 대비 보건의료 총지출 |
4.7 |
% |
전체 의료비 지출 중 정부지출 분담률 |
37.6 |
% |
전체 의료비 지출 중 민간지출 분담률 |
66.7 |
% |
개인 지출 의료비 중 본인 부담률 |
93.9 |
% |
* 출처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출처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보건의료 현황
◦제약시장 규모의 성장세 지속
- 싱가포르의 제약시장은 2010년 3억 7,500만 달러로 추산되며 2020년에는 약 8억 4,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CARG 5.6%)
* 출처 : Global Data
◦출산율 감소로 인한 인구 노령화 가속
* 출처 : United Nations, UN
- 싱가포르의 인구 피라미드는 중년이상의 인구가 많은 마름모 형태로, 이는 노동 생산성이 악화되고 국가 자산 가치 상승률이 저하되는 등의 고령사회로 진입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짐
* 출처 : 통계청(KOSIS)
- 싱가포르의 출산율 감소로 인해 0-14세 인구가 줄고 65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여, 2050년에는 싱가포르의 노령화 지수가 245.3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만성질환 사망률 심각
- 암, 심혈관계 질환,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80%에 이름
- 2006년 10월 Medisave는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에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뇌졸중을 포함시켰고, 2008년 4월 천식과 COPD, 2009년 10월 정신분열증, 2011년 11월 조울증, 치매를 포함시킴
* 출처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2015년 암,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강세로 예측됨
-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금연 등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만성질환 관련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의약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세를 보임
◦의료관광으로 해외환자 유치
- 해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최신의 고가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보고됨
- 틈새시장의 특성화로 인해 희귀 의약품의 수요가 증가됨
◦높은 의료서비스 수준
- 공중위생을 보호하고, 효율을 높이며 의료기술의 혁신을 허용하는 기준들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의료 환경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음
- 전문가를 관리하는 의료시스템을 통해 환자들은 새로 허가된 치료법 및 의약품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음
- 싱가포르 의료 전문가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의료진들이 최신 기술의 치료법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바이오메디컬 기업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싱가포르 국민의 건강인지도 향상에 따라 비타민, 영양제 등 OTC에 대한 수요가 증가 추세임
◦전체 의료비 지출의 절반 이상(55%)을 본인이 부담함
- 1차 진료는 개인 병원이나 클리닉을 방문함
- 개인병원이나 클리닉 이용자의 90% 이상이 개인 지출함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강하고 처방의약품 판매량이 많음
- 개인병원 및 클리닉의 의사들은 최대한의 마진이 가능한 의약품에 민감하면서도 브랜드 의약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