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산업통상자원부

home 자료실 유관기관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보고서)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시장 한류 조짐 보인다

(보고서)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시장 한류 조짐 보인다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록일 2014-07-10 조회수 4,326
출처 -
원문링크 -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시장 한류 조짐 보인다|업계소식

[KOTRA 해외시장정보_2014.06.23]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시장 한류 조짐 보인다
의료기기, 기능성 화장품, 피부치료제 등 유럽 브랜드 선호 탈피 양상

9개 국립병원 증축·확장 및 병원 신설로 시장수요 확대 불가피

 

□ 유럽, 미국산 브랜드 선호 일변도 변화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쿠웨이트 의료바이오 시장에서는 유럽·미국산 브랜드 선호 양상이 확고해 한국산에 대한 인지도가 크지 않았음. 하지만 코트라 쿠웨이트 무역관이 현지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 수입·유통 바이어 및 병원 구매담당자들을 만나 본 결과, 최근 1~2년간 쿠웨이트 여성 및 의료바이오 유통업계 사이에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유럽·미국 브랜드 일변도에서 한국산을 구매하는 소비자와 바이어가 늘고 있음.

 

- 유럽 화장품 수출업체 일부가 함유성분을 속여 판매한 사실 발각(바이어 A사)
- 한국 의료바이오 기술이 최근 5년간 급속 성장했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성분 기능성 화장품이 많다는 인식이 확대(인삼성분 함유 등)
- IT(핸드폰), 자동차 등 첨단 제조업 강국 이미지 확산으로 의료기기, 의약품 등 첨단기술이 필요한 의료바이오제품의 한국산 신뢰도 동반 상승
- 사우디-한국 간 보건의료 협력이 GCC 내 여타 국가에 벤치마킹 사례로 전파되면서 독일, 영국, 태국 등을 의료관광의 대상지로 고려하던 쿠웨이트 병원, 의료 에이전시들이 한국을 새로운 의료관광처로 본격적으로 인식 시작

 

□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시장 파이가 커지고 있다
쿠웨이트 제약시장 규모는 2012년 기준 7억810만 달러로 매년 6%씩 성장 중이며, 해외 의료관광지원을 위해 매년 수십억 달러 예산을 지출 중. 한편, 자국 의료설비 및 서비스 부족으로 GCC 6개국은 해외 의료관광을 위해 약 120억 달러를 지출 중

 

쿠웨이트 정부는 해외 의료관광 대신 자국 의료산업 육성을 위해 9개 국립병원을 증축·확장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으로 병원이 완공되는 향후 2~3년 후에는 관련 의료기기,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됨.

 

더불어 현재 400만 명 인구가 2030년 700만 명으로 늘고 기대수명 연장, 소비수준 증가는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시장의 규모를 키우는 견인차 역할을 할 전망

 

쿠웨이트 국립병원 프로젝트(확장, 증축) 현황

▲ 자료원: MOH(Ministry of Health), Medica Kuwait, 쿠웨이트 한국대사관 국토관, 코트라 쿠웨이트 무역관 자체 보유자료, 현지 지상사

 

이 쿠웨이트 보건부(MOH)가 추진 중인 국립병원 확장 프로젝트 외에도 쿠웨이트원유공사인 KOC Hospital(350병상), 경찰병원(300병상), 쿠웨이트대학 의과대학 병원(600병상) 등 신축 병원 프로젝트도 잇따르고 있음.

 

□ 쿠웨이트 의료바이오 수입시장 지형도(Int'l Trade Centre 분석 툴 활용)
의료용 진단 전자기기(HS Code 9018류)
쿠웨이트 수입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1억5800만 달러로 톱5 수출국은 독일(23.4%), 미국(21.2%), 네덜란드(13.9%), 벨기에(8.8%), 이탈리아(5.7%) 순. 한국은 일본(2.1%)에 이어 11위를 차지(270만 달러, 1.7%)했으나 최근 4년간 26%의 수출 증가세를 보임.

 

□ 우리나라의 대쿠웨이트 의료바이오제품 수출 동향
최근 3년간 우리나라의 대쿠웨이트 의료바이오제품 수출은 매년 두 자리 수 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의약품, 의료용기기의 경우 2014년 들어 전년 동기 대비 세 자리 수 이상 증가세를 보임.

 

▲ 자료원: KOTIS(2014.6.16. 기준)

 

 

□ 바이어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의료바이오 제품 수출유망품목
병원 확장 프로젝트에 따른 진출 유망 분야

 

▲ 자료원: 쿠웨이트 병원 프로젝트 관계자 및 기업 인터뷰 결과

 

 

쿠웨이트 병원 및 의료바이오제품 유력 수입업체 수요

 

▲ 자료원: 쿠웨이트 의료바이오제품 수입업체 인터뷰 결과

 

 

□ 의료바이오제품 수출 시 유의사항
쿠웨이트 바이어의 경우 의약품, 의료기기 수입 시 CE 및 FDA 인증을 통상 요구하며, FDA 인증이 있는 의료바이오제품은 특히 진출 시 유리

 

제품 포장 겉면(샘플 포함)이나 카탈로그에 한글을 영어와 병기하는 것은 일반 한국인이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이란)를 구분하기 어렵듯이 외국인인 쿠웨이트인에게 한글이 중국어와 비슷하게 인식, 중국산 저가제품이라는 오해를 줘 국내업체 이미지를 깎는 결과를 가져옴(바이어 코멘트).

 

쿠웨이트 자국인은 소득이 높아 유럽, 미국 등 선진국 브랜드를 선호하고 중국산 제품은 거들떠보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영어로만 표기하는 것이 바이어 신뢰감을 얻는 데 효과적

 

바이어 입장에서 최소 1~2년 시장테스트 기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최소주문이나 단기간 내 주문 성과를 바이어에게 요구할 경우 쿠웨이트 시장에서는 실패할 가능성이 크므로 바이어가 요구하는 소량주문에 성실히 응하고 점차 물량을 늘려나가는 식으로 장기간 신뢰관계를 쌓는 전략이 주효

 

쿠웨이트 내 의료제품 구매 중 85%가 쿠웨이트 정부(보건부)의 입찰에 의한 것으로 바이어들은 한 번에 끝나는 거래보다 AS 제공 능력을 매우 중요하게 여김. 통상 의료기기 수출 시에는 쿠웨이트 보건부의 제품 검사가 없으나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경우 인증 및 제품 검사가 요구됨.

 

최근 쿠웨이트 정부와 우리나라 정부(보건부)간 보건협력 약정 체결 움직임이 있으며, 쿠웨이트 의료/병원 기업 사이에서 한국으로의 의료관광 움직임이 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의료바이오 한류세를 활용한 적극적인 시장 공략이 필요한 시점

 

한국 의료바이오시장의 인지도가 늘고 있는 반면, 쿠웨이트 의료바이오 전문전시회나 화장품 전시회에 국내업체 참여가 별로 없음. 앞으로 현지 유력 에이전트 발굴에 이어 쿠웨이트 현지 전시회 및 콘퍼런스 참여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쿠웨이트 보건부, Medica Kuwait, 현지 바이어 방문 및 인터뷰, MEED, Kuwait Times, Arab Times, 코트라 쿠웨이트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작성자]이삼식(쿠웨이트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