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주요 인증제도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주요 인증제도

글자크기

케냐 주요인증제도

케냐 주요인증제도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1-25 조회수 591
국가정보 아프리카>케냐
원문
출처 KOTRA

가. 개요 

 

케냐 인증제도는 케냐표준청(KEBS; Kenya Bureau of Standardization)에서 관할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안전과 보건,환경보호, 제품의 정직함 등을 보장하기 위해 (1)표준인증 (Standardization Mark), (2)수입표준인증 (Import Standardization Mark), (3)다이아몬드 품질인증 (Diamond Mark of Quality), (4) 식품 품질인증 (Food fortification) 제도를 실시한다.

 

케냐 인증제도 총괄

조사항목

조사내용

케냐 인증제도

시행 근거법률

현 케냐의 인증제도는 The Standards Act, Cap 496에 근거함

케냐 강제 및

임의인증 제도의

종류

케냐 인증은 크게 표준인증 (Standardization Mark)과

수입표준인증 (Import Standardization Mark)으로 분류되며 모든 제품에 적용하고 있음

케냐 인증제도별

인증 대상 업종

표준인증은 케냐 내 제조된 제품에 해당되며, 수입표준인증은 수입품에 해당됨.

(수입표준인증은 수입자가 수입품에 대한 선적적 품질적합검사 합격증(Certificate of

Conformaity)를 근거로 케냐표준청 수입승인을 득한 후, 표준청에서 인증 로고를 수령해

모든 수입품에 부착함)

특이사항

수입표준인증은 모든 수입품에 해당되며 특히, 음식류, 전기 제품 및 관련기자재,

기저기 및 위생수건, 장난감에 대해는 해외 표준인증 (CE 등)을 득했다 하더라도

케냐 수입시 케냐표준청의 인증을 거쳐야만 함. (상기 품목별 검색은http://www.kebs.org/index.php?opt=qai&view=ism&CSRF_TOKEN=2348f2432d74c1ddf69316a6e1ed1996127efa3d

의 ‘View/Search Firms’탭에서 온라인 검색 가능함.)

자료원: 케냐표준청

 

나. 주요 인증별 현황

 

1) 강제인증

 

  • 표준인증

     

    가) 인증마크와 인증대상품목

     

 

나) 인증담당기관

 

케냐표준청(KEBS: Kenya Bureau of Standardization)

기관명

Kenya Bureau of Standards (KEBS)

홈페이지

www.kebs.org

담당자 명

RUKARIA JOHN

담당자 부서명

CERTIFICATION DEPARTMENT

전 화

+254 206005634, +254722 202137/8

팩 스

+254 206004031

E-mail

info@kebs.org; rukariaj@kebs.org

시험/인증 품목

- 표준인증: 현지 제조된 전품목

- 수입표준인증: 수입품 전품목

한국진출여부

없음

국내시험인증기관과의 상호인정 체결여부

한국 SGS와 Bureau Veritas

선적전 품질인증 검사 인정

 

 다) 표준인증 절차/소요비용

 

표준인증은 STA/1 지원서와 제품 샘플, 회사등록증명서를 제출해야 하며 기술평가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기술평가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 기술평가 (Scheme of Supervision and Control 지침에 따름)

  •  

    •     - 원자재-제조과정-완제품에 이르는 생산라인 평가

    •     - 제조과정이 기술된 문서 자료

    •     - 해당 제품 테스트

    •     - 제조시 사용된 장비 검사(Calibration)

    •     - 제조설비의 위생검사

    •     - 제품 표기 상태 등

       

 

  • 소요비용

  •  

  •     - 10개 품목 미만인 경우: 연간 20,000실링(U$ 250, 업체등록비) + 품목당 7,500실링(U$ 94)

  •     - 10개 품목 이상인 경우: 연간 20,000실링(U$ 250, 업체등록비) + 품목당 5,000실링(U$ 63)

  •     - 업체등록비의 경우 연간매출액 기준 50만 실링(U$ 6,250) 이상은 20,000실링(U$ 250) /

  •     20만 실링(U$ 2,500) 이상-50만 실링(U$ 6,250) 미만은 10,000실링(U$ 125) /

  •     20만 실링(U$ 2,500)미만은 5,000실링(U$ 63)을 부과

  •  

    라) 유의사항

     

    표준인증은 1년 동안 유효하며, 갱신 신청은 만기 2개월 이전에 완료해야 한다. 표준인증 유효기간 중 케냐 표준청 직원이 제조사를 불시 방문하거나, 시중 판매 제품에 대해 불시 검사를 시행해 케냐표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며, 비 준수 적발 시 인증 취소 또는 효력정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수입표준인증

     

    가) 인증마크와 인증대상품목

       

  •  

  •    

나) 인증담당기관 

 

케냐표준청(KEBS: Kenya Bureau of Standardization) 

 

다) 수입표준인증 절차/소요비용

 

케냐수입표준 인증 적용 대상 품목에 대해서 CoC(품질적합증서, Certificate of Conformity)를 제출하며, 3~4일 소요되며 인증비용은 없다.

 

라) 수입표준마크 QR코드화

 

케냐 통계청은 총 2억 9천만 실링 (한화 약 32억원)을 투입해 2015.9월부터 새로운 ISM 마크를 도입, 수입되는 모든 품목은 동 마크를 부착하도록 시행하고 있다. 단, 이미 수입된 제품에 대해서는 2016년 6월 30일까지 기존 ISM마크로 유통을 허용하나 주어진 기한 내 팔리지 않은 제품에는 새로운 QR코드 ISM 마크를 부착하도록 했다.

 

수입표준마크 비교

   

 

자료원: 케냐표준청

 

종전 ISM 마크의 경우, 수입업자가 수입인증마크를 표준청에 요청하고 소정의 금액을 납부하면, 표준청에서는 인증마크를 수입자가 임으로 인쇄해 부착이 가능하도록 소프트 카피 (DVD나 USB등에 파일형태)로 제공돼 허가 받은 업체들이 자유자재로 사용가능 했다. 그러나 지나친 인증마크 남발과, 표준청 으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제품마저 마크를 부착하고 나오는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표준청은 더 이상 소프트 카피 상태로 제공하지 않고 ISM마크를 표준청에서 자체 생산하기로 했으며, 배포하는 과정을 철저하게 통제하기로 했다. QR코드 마크의 가격은 개당 49센트 (한화 약 5원)로 표준청에서 직접 구매해 사용하면 된다.

 

마) 유의사항

 

상기 수입표준인증에 해당하는 품목 외의 수입품목은 대부분 선적 전 적합성인증절차(pre-shipment Verification of Conformity, PVoC)를 거쳐 인증을 대신한다. 해당 품목의 상세 리스트는 케냐 표준청 웹사이트(http://www.kebs.org/index.php?opt=qai&view=pvoc)를 참조하기 바란다. 수출자가 수출국에서 케냐가 지정한 선적기관을 통해 수출 적합성을 인증받아 수출하고 수입자에게 이 기관이 발행한 수출적합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를 선적서류와 함께 제출해 별도 인증절차 없이 통관할 수 있다. 

 

임의인증

 

가) 인증마크와 인증대상품목

 

  • 다이아몬드 품질인증

     

 

나) 인증담당기관

 

케냐표준청(KEBS: Kenya Bureau of Standardization)

 

다 ) 다이아몬드 품질인증 절차/소요비용

 

다이아몬드 품질인증은 STA/1 지원서와 STA/3 설문지, 회사등록증명서를 제출해야 발급받을 수 있다. 

 

  • 소요비용

  •  

  •     - 국내업체의 경우: 연간 55,000실링(업체등록비) + 품목당 부가세

  •     - 해외업체의 경우: 연간 200,000실링 또는 2,500달러(업체등록비)

     

 

  • 식품 품질인증

     

    가) 인증마크와 인증대상품목

       

     

 

나) 인증담당기관

 

케냐표준청(KEBS: Kenya Bureau of Standardization)

 

다) 케냐표준청 주요 기능

 

  •     - 품질 검사 (Laboratory Testing)

  •     - 품질 표준 입안 및 시행 (Standard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     - 표준 정보자료 센터 운영 (Standards Information Resource Centre)

  •     - 케냐 및 외국 표준규정집 판매 (Sale of Kenya and foreign Standards)

  •     - 품질인증서 발행 (케냐 품질인증은 Diamond Mark임)

  •     - 소비자 불만사례 처리 (Handling of Consumer Complaints)

  •     - 각종 측정기구 표준치 검증 및 관리 (Maintenance of Standards of Measurement)

  •     - 수입품의 품질 검사 (Quality Inspection of Imports at Ports of Entry)

  •     - ISO 9000 및 ISO 14000 인증서 발행

  •     - 품질관리관련 교육 및 기술 지원 서비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