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관세제도

home > 제약글로벌정보센터> 국가별 교역정보> 무역환경> 관세제도

글자크기

러시아 관세제도

러시아 관세제도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8,145
국가정보 러시아/CIS>러시아
출처 KOTRA
원문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55
첨부파일

관세제도

 

개요

 

수입관리제도는 수입관세에 의한 관세조치와 수입허가안전증명수입품 표시의무 등의 비관세조치로 구분된다수입관세에 의한 관세조치는 가장 중요한 수입관리제도로서 과도한 수입으로 인한 국내산업보호와 국가재정수입 확충이라는 두 가지 정책수단으로 활용된다. 2012 8 22일부로 러시아가 WTO에 정식 가입이 되면서 10%의 평균 수입관세율을 2017년까지 7.8%로 낮출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현재 수치가 하향돼 2017년 말 5.1%, 2019년 말 4.9%까지 낮아질 예정이다. CIS를 제외한 다른 국가로부터 수입하는 제품의 평균 관세는 2015 6.1%, 2016 5.3%를 기록했다통관 시에는 제품에 따라 수입관세 소비세와 부가가치세도 함께 납부해야 한다관세 부과기준은 HS Code 상품분류에 의거한 러시아 연방 대외경제상품 코드에 의거해 산정한다또한 러시아 정부는 수입가격의 액면가 조작에 의한 관세포탈을 방지하기 위해 종량세 대상 품목을 도입하고수입관세율로 산정한 금액과 종량세 기준으로 산출한 금액 중 많은 쪽을 적용해 관세를 징수하고 있다한편러시아는 2004년부터 관세절차를 간소하게 바꾸고자 세관신고 검사기간을 3일로 줄이고, 물품에 대한 사전 세관신고 후 나중에 해당 물품을 들여올 수 있게 했고이 밖의 등록 절차에 대해 필요할 경우 세관원은 비공개된 문서 목록을 정부기관에 요구할 수 있도록 개선을 추진했다그러나 이것은 일선 관세당국의 현장에는 적용되지 않아 여전히 통관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외국 수출업체에 피해는 물론 러시아 국가경쟁력을 훼손하는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이에 2012 5 러시아 전략기획청은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기업환경 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관세행정 개선 로드맵을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관세행정 개선 로드맵 주요 내용

 

   목표통관절차 간소화를 통해 투자환경 및 기업환경 개선

  ㅇ 2012년 개선 기반을 마련하고 2013년에 시법을 거쳐 2014~2018년까지 정착

 

구체적인 방안통관 서류 축소 소요기간비용 단축

  

  ㅇ 통관 서류 축소수입 통관절차 시 필요서류를 2012 10개에서 2015 6, 2018 4개로 줄이고수출 시에는 20128개에서 2015 4개로 축소

  ㅇ 통관 소요기간 단축수입 통관 소요기간을 2012 36일에서 2015 15, 2018 7일로 줄이고수출 시에는 201236일에서 2015 15, 2018 7일로 단축

 

  ㅇ 통관 비용 절감수입 통관 시 소요되는 비용을 2012 1,800달러(1컨테이너 평균)에서 2015 1,300달러, 20181,000달러로 줄이고수출 시에는 2012 1,850달러에서 2015 1,200달러, 2018 900달러로 절감

 

  ㅇ 기타통관 간소화 적용대상 기업(기관확대세관원 복지 개선세관규정 위반 행정 처벌 정비

 

수입 관세

 

2012 WTO 가입과 관련해서 러시아는 2016 8월까지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율을 4차례나 낮췄으며,  2016 9월부터 5번째 인하 단계에 들어갔다

 

2015~2019년 연평균 수입 관세율

(단위: %)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관세

6.1

5.3

5.1

5.0

4.9

자료원: Main Directions of the Customs Tariff Policy in 2017 and Plan Period of 2018 and 2019

 

한편유라시아경제위원회는 수요가 많은 일부 품목에 대해 WTO 양허 관세율 인하 계획보다 낮은 수준의 관세율을 적용 중인데, 아래와 같이 가전건설부품의료측정기기화학제품 등이 대상이다. WTO 가입 이후 매년 일부 품목별로 관세율 인하가 발표되고 있으며, 마지막 인하 발표는 2015 9 1일이었다.

 

2016 시행 관세율 인하 목록(일부)

 


품명

HS Code

WTO 가입 당시 관세율

최종 관세율(예정)

밑창과 끝이 가죽으로 신발

6403 20 000 0

켤레당 2유로

켤레당 1.5유로

연마제, 종이나 판지로 그레인

6805 20 000 0

15%

7%

가정용 냉동장치

8418 30 200 1

20%

12%

그레이더와 레벨러

8429 20 009 1

15%

3%

도로 롤러

8429 40 100 0

15%

5%

금속 절삭가공용 선반(터닝센터 포함)

8458 11 200 0

10%

5%

마이크로미터와 캘리퍼스

9017 30 100 0

15%

11%

자료원: Annex I Schedule CLXV to Protocol on the Access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2017 시행 예정 관세율 인하 목록(일부)

 


품명

HS Code

WTO 가입

당시 관세율

최종 관세율

(예정)

천공여부를 불문한 판형지와 판지

4808 10 000 0

20%

10%

코팅이 가황되지 않은 천연 혹은 합성고무로 만든 접착지 판지( 10cm 이하)

4811 41 200 0

15%

5%

합성섬유제의 타포린, 천막 차양

6303 12 000 0

20%

13%

조리기구 액체연료용 가열판의 부분품

7321 90 000 0

15%

10%

중앙난방용 보일러 부분품(8402호의  제외)

8403 90 100 0

8403 90 900 0

15%

10%

가정용 냉장고 냉동고

8418 10 200 1

20%

12%

변압기

8504 31 210 9

8504 31 290 9

20%

8%

자료원: Annex I Schedule CLXV to Protocol on the Accession of the Russian Federation 

 

WTO 가입 이후 관세율 예시



품명

HS Code

연도별 러시아의 총 수입액(전년대비 증감률)

관세율(2017 6 기준)

노트북

8471 30

2017년(1-9):$1,249백만(16.7%)

2016: $1,634백만(-0.9%)

2015: $1,619백만(-39.3%)

2014: $2,665백만(-7.94%)

0%

공기청정기

8421 39

2017년(1-9):$293백만(70.9%)

2016: $249백만(-15.6%)

2015: $295백만(-65.6%)

2014: $856백만(47.86%)

0%, 2%

건설기계부품

8431 49

2017년(1-9):$262백만(28.2%)

2016: $290백만(4.4%)

2015: $278백만(-24.2%)

2014: $367백만(-15.84%)

0%

머시닝센터

8457 10

2017년(1-9):$175백만(18.7%)

2016: $235백만(-33.2%)

2015: $353백만(-30.3%)

2014: $503백만(41.78%)

0%, 5%, 7%

기타 기기

9013 80

2017년(1-9): $42백만(17.1%)

2016: $57백만(64.6%)

2015: $34백만(4.1%)

2014: $33백만(-25.65%)

0%

초음파 영상진단기

9018 12

2017년(1-9):$88백만(-2.6%)

2016: $134백만(-36.9%)

2015: $212백만(-22.9%)

2014: $275백만(-1.19%)

0%

자료원러시아 WTO 가입의정서, KITA, ALTA

 

종가세

 

가장 일반적인 경우로, Invoice 금액(C&F 또는 CIF) 5%, 10%, 15%, 20%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

 

폴리에스터 텍스춰드 원사(5402 33 0000): 관세율 5%

) 전자벽시계(9105 21 0000): 관세율 15%

 

종량세

 

통상 ECU 관세라고 지칭되는 관세 유형으로 상품의 (수량, 중량 또는 부피 ) 따라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

 

면적) 합성 섬유 카펫(5702 42 9000): 관세율 0.25유로/

부피: ) 꼬냑(2208 20 6200): 관세율 1.5유로/liter

 

. 종가 종량 혼합세

 

상품의 금액 (수량, 중량 또는 부피 ) 따라 가지 관세를 모두 부과하거나 가지 많은 금액을 부과하는 방식

) 작은 벨트가 있는 신발(6402 20 0000): 관세율 0.34유로/켤레

담요/이불 (6301 40 1000): 관세율 17.5%, 그러나 0.6유로/ 이상 부과 의무

) 천으로 만든 청소용 걸레 (6307 10 3000): 관세율 13.5%, 그러나 0.46유로/ 이상 부과 의무

 

소비세(EXCISE TAX)

 

소비세는 사치품을 중심으로 소비감소 유도를 목적으로 한 품목에 부과되고 있는데이에는 에틸 알코올 주정주정 용액,알코올제품맥주담배보석휘발유승용차 등 8가지 상품이 포함된다. 소비세는 상품의 양(수량, 중량 또는 부피 등)에 따라 루블화로 산출된다.


)

품목

소비세율표

기간

2016.4.1~12.31

2017.1.1~12.31

에틸 알코올

리터당 102루블

리터당 107루블

와인

리터당 9루블

리터당 10루블

맥주(에틸알코올 0.8%-8.6%)

리터당 20루블

리터당 21루블

시가

개당 141루블

개당 155루블

승용차(90마력~150마력)

마력당(0.75kWt) 41루블

마력당(0.75kWt) 43루블

승용차(150마력 이상)

마력당(0.75kWt) 402루블

마력당(0.75kWt) 420루블

모터바이크(150마력 이상)

마력당(0.75kWt) 402루블

마력당(0.75kWt) 420루블

: 67.5kWt(90마력) 이하 엔진의 승용차는 RUB 0 per 0.75kWt(1마력) 세율이 적용된다.

 

부가가치세

 

러시아의 부가가치세율은 18%이며식품류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10%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한편 향후 부가세를 15% 수준까지 낮출 예정이나, 정부 재정수입의 감소로 인해 아직까지 재무부와 경제통상개발부 사이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 Invoice 금액 강제 Correction 제도

 

현재 러시아 중앙세관 데이터베이스에는 일체의 세관신고 내용이 상세히 저장돼 있으며, HS Code와 상품별로 기준 상품가를 책정하고이에 미달된 상품가를 세관 신고하는 경우 강제로 기준 상품가 이상으로 Invoice 금액을 조정해 관세 및 부가세를 징수한다.

 

러시아 HS Code별 관세율 확인 방법

 

확인 방법

 

  ㅇ HS Code 주요 정보 검색사이트(영문

    - 접속 http://www.alta.ru/taksa-online/en/


수출국 선택 후 책 모양 아이콘 클릭

external_image


새 창에서 해당 수출국의  HS Code를 찾을 수 있음

 external_image


해당 품목의  HS Code를 클릭하면 정보 확인 가능(굵은체로 진하게 표시된 부분 클릭)

 external_image

 

Good information’을 클릭하면 수입관세율 및 부가가치세간접세 등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external_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