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글자크기

칠레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칠레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1-24 조회수 1,927
국가정보 남 아메리카>칠레
원문
출처 KOTRA

가. 한-칠레 교역현황

우리나라와 칠레의 교역관계는 2004년 양국 간 FTA 발효를 계기로 활성화되기 시작해 자동차, 전자 등 여러 상품시장에서 한국산의 점유율이 대폭 증가했다. 한-칠레 FTA는 1999년 12월에 협상을 시작해 2003년 2월 15일 협정을 체결했고 2004년 4월 1일부터 발효됐다. 칠레는 중남미 국가 중에서 브라질, 멕시코에 이어 제3위의 교역대상국이다. 칠레는 2015년 기준 39위 수출대상국이자 21위 수입대상국이다.

 

우리나라의 대 중남미 국가별 교역 현황

(단위: US$ 백만, %)

순위

국명

2014년

2015년

수출

수입

교역액

수출

수입

교역액

총계

 

  1. 35,897

 

  1. 18,294

 

  1. 54,191

 

  1. 30,676

 

  1. 15,970

 

  1. 46,646

1

멕시코

 

  1. 10,846

 

  1. 3,268

 

  1. 14,114

 

  1. 10,891

 

  1. 3.464

 

  1. 14,355

2

브라질

 

  1. 8,922

 

  1. 4,907

 

  1. 13,829

 

  1. 5,494

4,058

 

  1. 9,552

3

칠레

 

  1. 2,083

 

  1. 4,810

 

  1. 6,893

 

  1. 1,742

 

  1. 4,402

 

  1. 6,144

4

파나마

 

  1. 2,764

 

  1. 495

 

  1. 3,259

 

  1. 2,230

 

  1. 390

 

  1. 2,620

5

페루

 

  1. 1,391

 

  1. 1,432

 

  1. 2,823

 

  1. 1,217

 

  1. 1,135

 

  1. 2,352

주: 국가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수출에서 대칠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기준 멕시코 브라질, 파나마, 버뮤다에 이어 5번째로 높다.

 

우리나라의 대 중남미 국가별 수출 현황

(단위: US$ 백만, %)

순위

국명

2014년

2015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멕시코

10,846

11.5

10,891

0.4

2

브라질

8,922

-7.9

5,494

-38.4

3

파나마

2,764

-20.7

2,230

-19.3

4

버뮤다

2,038

27.3

2,032

-0.3

5

칠레

2,083

-15.2

1,742

-16.4

6

페루

1,391

-3.4

1,217

-12.5

7

콜롬비아

1,509

12.4

1,128

-25.2

8

아르헨티나

753

-29.9

1,046

38.9

9

바하마

834

-17.6

778

-6.7

10

에콰도르

811

-11.8

641

-21

주: 국가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대중남미 수입에서 대칠레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기준 가장 높다.

 

우리나라의 대 중남미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US$백만, %)

순위

국명

2014년

2015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칠레

4,810

3.3

4,402

-8.5

2

브라질

4,907

-12

4,058

-17.3

3

멕시코

3,268

42.1

3,464

6

4

페루

1,432

-27.7

1,135

-20.7

5

아르헨티나

501

-58.1

698

39.4

6

파나마

495

-4.1

390

-21.1

7

콜롬비아

607

194.1

323

-46.8

8

에콰도르

342

607.6

245

-28.3

9

볼리비아

299

3.2

244

-18.3

10

푸에르토리코

256

1.4

185

-27.6

주: 국가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나. 한-칠레 무역통계 총괄

 

한국의 대칠레 수출은 2011년 전년 대비 증감률 -19.2%를 보이며 24억 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그 후 2012년에 3.7%의 성장세를 보였지만, 2013년 -0.5%, 2014년 -15.2%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대칠레 수출금액은 2015년 기준 17억 4,200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4% 하락했다. 반면, 2014년 한국의 대칠레 수입시장은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2015년에는 한국 내수경기 위축으로 8.5% 하락세로 전환했다.

 

한-칠레 수출입 총괄

(단위: US$ 백만, %)

연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5년

1,742

-16.4

4,402

-8.5

-2,660

2014년

2,083

-15.2

4,812

3.3

-2,729

2013년

2,458

-0.5

4,658

-0.4

-2,200

2012년

2,469

3.7

4,676

-3.7

-2,207

2011년

2,381

-19.2

4,858

15.1

-2,477

2010년

2,947

32.2

4,221

36

-1,274

2009년

2,229

-26.5

3,103

-24.8

-874

2008년

3,032

-2.7

4,127

-1.3

-1,095

2007년

3,115

98.9

4,184

9.7

-1,069

2006년

1,566

36.1

3,813

67.3

-2,247

2005년

1,151

62.5

2,279

17.9

-1,128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2011년과 2012년 중 대칠레 수출 감소는 경유 수출 감소에서 기인하는데 그 동안 칠레로 수출하던 10억 달러 상당의 수출 물량이 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일본의 경유 수요가 증가하자 일본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2013년 대칠레 경유(HS코드: 2710.19 기준)수출은 전년 대비 약 128% 증가한 2억 1,2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칠레 경유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뒤를 이어 2위국을 차지했다. 칠레의 경유 수급의 90%이상은 미국이 차지하고 있는데, GTI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칠레 경유 수급의 2012년 90%, 2013년 92%, 2014년 90%를, 2015년 84.51%를 차지했다고 한다. 반면, 한국의 대칠레 경유 수출은 2015년 12월 기준 44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칠레의 경유수급 국가 중 3위를 차지했다.

 

칠레의 경유 수입 현황(HS Code 2710.19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13년

2014년

2015년

   증감률

2015/2014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총계

 

  1. 4,986

 

100

 

4,688

 

1000

 

3,101

 

100

 

-33.85

 

  1. 1

 

  1. 미국

 

4,571

 

91.68

 

4,328

 

92.32

 

2,621

 

84.51

 

-39.44

 

  1. 2

 

  1. 일본

 

73

 

1.48

 

237

 

5.07

 

328

 

10.58

 

37.92

 

  1. 3

 

  1. 한국

 

211

 

4.25

 

34

 

0.74

 

72

 

2.32

 

107.36

 

  1. 4

 

  1. 아르헨티나

 

35

 

0.72

 

36

 

0.79

 

31

 

1.01

 

-15.20

 

  1. 5

 

  1. 독일

 

15

 

0.31

 

12

 

0.27

 

10

 

0.35

 

-15.40

주1: 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01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대칠레 무역적자의 대부분은 구리(銅) 국제가격의 급등에 기인한다. 우리나라의 대칠레 교역은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아 전통적으로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대칠레 수입의 90% 이상이 구리, 아연광, 펄프 등 원자재 수입에 한정돼 있어 우려할 만한 사항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칠레로부터 구리, 아연, 철광석, 몰리브덴, 포도주, 돼지고기 등 원자재와 1차 상품을 수입하고,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전자제품, 타이어 등을 수출하고 있어 상호보완적 교역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 한국과의 무역통계 특징 

 

한-칠레 양국의 최근 수출입을 FTA 체결직전인 2003년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의 대칠레 수출은 2004년 7억 800만 달러에서 2015년 17억 4,800만 달러로 146% 증가했고 수입은 2004년 19억 3,400만 달러에서 2015년 44억 200만 달러로 127.61% 증가했다.

 

한-칠레 수출입 동향 단위

(단위: US$ 백만 )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수출

2,947

2,381

2,469

2,458

2,083

1,742

수입

4,221

4,858

4,676

4,658

4,810

4,402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대칠레 주요 수출품목은 자동차 및 부품, 합성수지, 건설중장비, 타이어, 시멘트, 휴대폰, 등유, 경유 등이다. 2015년에는 전반적인 칠레수입액 하락으로 대한국 수입액도 감소했는데 기타플라스틱제품, 기타정밀화학원료의 하락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화물자동차, 축전지, 시멘트, 기타산업기계, 기타석유화학제품, 밸브, 철구조물, 냉장고, 가열난방기 제외 주요수출품의 수입액이 모두 하락했다. 무역협회 통계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의 대칠레 주요 수출품목은 승용차, 화물자동차, 합성수지, 자동차 부품, 무선 전화기, 축전지, 제트유 및 등유, 시멘트 순이다.

 

한국의 대칠레 주요 수출품목

(단위: US$천, %)

순위

품목코드

품목명

2014년

2015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2,083,323

-15.2

1,742,342

-16.4

1

7411

승용차

873,469

-16.6

652,358

-25.3

2

7412

화물자동차

185,770

-18.7

204,381

10

3

2140

합성수지

164,758

-1.3

118,390

-28.1

4

7420

자동차부품

64,909

-15.9

61,093

-5.9

5

8121

무선전화기

58,220

-19.3

44,190

-24.1

6

8352

축전지

34,250

13.1

39,478

15.3

7

1333

제트유및등유

0

-100

38,714

0

8

2410

시멘트

31,641

-0.6

33,454

5.7

9

7251

건설중장비

30,542

-39

29,810

-2.4

10

3203

타이어

39,689

-14.1

26,349

-33.6

11

7290

기타산업기계

15,096

470.5

23,083

52.9

12

2190

기타석유화학 제품

20,022

22.9

20,200

0.9

13

7512

밸브

12,894

26.7

18,407

42.8

14

6134

아연도강판

19,272

-45.1

17,785

-7.7

15

6152

철구조물

15,937

217.7

17,735

11.3

16

7461

선박

0

0

16,521

0

17

3109

기타 플라스틱제품

15,289

-12.5

15,183

-0.7

18

8230

냉장고

12,386

-12.2

14,674

18.5

19

2289

기타정밀화학원료

14,353

-12.5

14,313

-0.3

20

7133

가열난방기

7,971

73.7

13,143

64.9

주: MIT 4 단위 기준, 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반면, 우리나라의 대칠레 주요 수입 품목은 구리, 펄프, 돼지고기, 과일, 아연, 제재목, 포도주, 어류 등이다. 2015년 대칠레 주요 수입 품목은 동괴 및 스크랩, 동광, 금속광물, 펄프 과실류, 정밀화학원료 등 이다. 이 중 수입 증가 품목은 기타금속광물(30.4.9%), 펄프(10.8%), 과실류(9.2%), 기타정밀화학원료(34.9%), 가축육류(30.4%), 아연광(23.3%), 철광(194.2%) 등이 있다.

 

한국의 대칠레 주요 수입품목

(단위: US$천, %)

순위

품목코드

품목명

2014년

2015년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4,810,134

3.3

4,402,094

-8.5

1

6221

동괴및스크랩

1,773,306

9.5

1,478,493

-16.6

2

1130

동광

1,394,616

-13.9

1,111,382

-20.3

3

1190

기타금속광물

305,976

56.8

398,968

30.4

4

2511

펄프

255,369

-13.2

283,017

10.8

5

0116

과실류

205,475

7

224,373

9.2

6

2289

기타정밀화학원료

105,171

1.1

141,845

34.9

7

0221

가축육류

96,653

-7.2

126,054

30.4

8

0312

제재목

123,029

38

119,065

-3.2

9

1160

아연광

81,368

98.6

100,294

23.3

10

1120

철광

25,388

0

74,701

194.2

11

0419

기타어류

61,369

12

69,607

13.4

12

1112

55,163

-23.8

48,337

-12.4

13

0469

기타 수산가공품

47,540

45.1

47,195

-0.7

14

0157

주류

37,970

4.1

41,721

9.9

15

6222

동조가공품

51,916

67.9

23,903

-54

16

0159

음료

26,123

-13.4

23,212

-11.1

17

0431

오징어

35,858

37.9

18,950

-47.2

18

0125

견과류

26,464

98.7

12,407

-53.1

19

0314

단판

4,759

905.3

9,569

101.1

20

0170

종자류

3,690

-17.9

6,922

87.6

주1: MIT 4 단위 기준

주2: 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KOTIS 무역통계 2015년 12월 기준

 

라. 당해년 한국의 주요 수출입 특징

 

주요 수출품목 동향

 

  •   - 에너지

     

    칠레는 아르헨티나산 천연가스 공급 불안정으로 에너지난을 겪게 되자, 칠레에서 대체 에너지원으로 비상발전용 디젤 수요가 급증했고 이에 따라 난방용 등유의 수입도 증가하고 있다. 칠레는 원유,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경유는 칠레 수입 1위 품목으로 미국, 브라질, 에콰도르가 주 수입대상국이다. 2011년 일본 대지진 영향으로 일본 내 경유 수요 증가로 우리나라의 대칠레 경유 수출물량이 일본으로 수출되면서 대칠레 수출물량은 급감했다. 2012년 칠레의 경유 수입은 약 56억 8,648만 9,847달러로 전년 대비 12.7%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산은 수입이 급감하고 미국산이 수입시장을 장악했다. 2013년에는 한국이 미국의 뒤를 이어 2위를 차지 했지만, GTI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4년에는 일본과 아르헨티나에 밀려 4위를 차지했고, 2015년에는 3위 지위를 회복했다.

     

 

  •   - 자동차

     

    우리나라의 2015년 칠레 자동차시장 점유율은 약 24.8%로 2007년 이후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15년도 한국산 브랜드의 판매순위 및 점유율은 기아(2위, 10.1%), 현대(3위, 9.1%), 르노(11위, 3.1%), 쌍용(12위, 2.5%) 등이다. 최근칠레 시장 내 중국산 자동차 점유율 증가, 엔저현상으로 인한 일본산 자동차 가격경쟁력 강화, 유럽산 자동차 선호도 증가 등이 최근 한국산 점유율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낮은 가격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었던 중국산 자동차가 최근엔 디자인, 기능 등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칠레의 국가별 승용차(HS코드 8703) 수입현황

    (단위: US$ 백만,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합계

3,264

3,236

3,853

3,173

2,754

한국

금액

983

1,005

1,059

917

649

비중

30.1

32.5

27.5

28.9

23.59

일본

금액

674

558

675

471

467

비중

20.64

17.2

17.5

14.84

16.98

미국

금액

287

303

442

361

314

비중

8.8

9.3

11.4

11.39

11.42

중국

금액

241

288

396

228

210

비중

7.3

8.9

10.2

7.22

7.66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015년 12월 기준

 

  • 주요 수입품목 동향

     

    우리나라 대칠레 최대 수입품목인 전기동의 톤당 수입가격은 2003년 1,710달러에서 2011년 9,040달러로 5.3배나 인상됐다. 우리나라의 전기동 수입량은 2011년 197,000톤으로 2003년 254,000톤보다 감소했으나 2011년도 수입액은 17억 8,500만 달러로 2003년 대비 13억 5,000달러나 증가했다. 그러나 구리공급 과잉 및 거대 경제권의 경기 위축에 따라 2012년, 2013년, 2014년 3개년 연속으로 칠레의 전기동 수출은 감소했다. 2015년 한국 대칠레 전기동 수입은 칠레가 -14.91%의 감소추세를 보이며 11억 5,624만 6,141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의 전기동 수입국가 중 56.09%를 차지하는 수치이다.

     

    칠레 전기동(HS코드 740311.10) 수출 평균가격 현황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015년 12월 기준

     

 

  •   - 삼겹살과 포도주

     

    2015년 칠레는 한국의 삼겹살 수입 국가 중, 미국, 독일과 스페인에 이어 4위 수입대상국이고 포도주의 경우도 프랑스에 이어 2위 수입대상국이다.

     

    한국의 삼겹살(HSK코드 0203291000 기준) 수입 국가 점유율 현황

  • (단위: US$ 백만 , %)

순위

국명

2013년

2014년

2015년

금액

증감률

점유율

금액

증감률

점유율

금액

증감률

점유율

합계

761

-25.89

100

1,074

41.05

100

1,234

14.95

100

1

미국

241

-22.46

31.67

313

29.98

29.19

375

19.89

30.44

2

독일

112

215.19

14.83

217

92.29

20.22

231

6.75

18.77

3

스페인

41

-26.88

5.48

112

168.7

10.44

163

45.96

13.26

4

칠레

90

-19.51

11.83

80

-10.1

7.54

110

36.25

8.94

5

캐나다

60

-34.73

7.96

63

5.15

5.93

66

4.49

5.39

주: 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015년 12월 기준

 

우리나라의 포도주(MTI 015740 기준) 수입시장 점유율 현황  

(단위:  US$ 백만, %)

순위

국명

2013년

2014년

2015년

금액

증감률

점유율

금액

증감률

점유율

금액

증감률

점유율

합계

171

16.69

100

182

6.02

100

189

4.19

100

1

프랑스

53

14

30.88

55

4.87

30.55

56

2.12

29.94

2

칠레

36

19.58

21.22

37

4.12

20.84

41

9.87

21.97

3

이탈리아

28

16.28

16.64

30

6.11

16.66

27

-8.27

14.67

4

미국

19

14.66

11.46

21

7.7

11.64

23

8.85

12.16

5

스페인

13

37.56

7.98

13

0.71

7.58

14

7.05

7.79

주: 순위는 2015년 기준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015년 12월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