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캄보디아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6-11-24 | 조회수 | 581 |
국가정보 | 아시아>캄보디아 | ||
원문 | |||
출처 | KOTRA |
가. 개 황
한국의 대 캄보디아 수출은 지난 2001년 최초로 1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매년 평균 20% 정도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2003년 수출은 이라크 사태 및 SARS 등 대외적인 영향으로 인해 8.4%가 감소하였으나, 2004년 이후에는 다시 증가세로 반전되어 2005년에 14.2%의 수출 증가율을 기록한 데 이어 2006년에도 수출 증가 추세가 지속되어 42.1% 증가율을 기록하였다.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교역규모는 2009년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지속했다.
- 대 캄보디아 수입은 2006년의 경우 540만 달러를 기록 하였는데, 이는 캄보디아의 수출 산업이 절대적으로 열악하여 수출 상품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2008년에는 대 캄보디아 수입이 1,437.8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천만 달러를 돌파하기도 했다.
- 2011년 우리나라의 대 캄보디아 수출은 전년 대비 35.4% 증가한 4억 507만 달러, 수입은 전년 대비 100.9% 증가한 8,727만 달러 달러를 기록해 3억 6,345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2012년도 대 캄보디아 수출은 전년 대비 34.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 대 캄보디아 수출은 2009년 이후 연속 성장세를 보이며 빠른 경기회복을 나타냈다. 수입 역시 수출에 비해 총 금액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2010년부터 2년간 100%를 넘는 증가율을 보였으며 2012년에도 44.7%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0년도부터2014년도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작년에는 약 0.3% 감소하면서 정체기를 겪었다.
2014년 대 캄보디아 수출은 2009년 이후 6년 연속 성장세를 보였으며, 수입 역시 수출에 비해 비록 총 금액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2007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였다. 2014년 대 캄보디아 무역수지는 약 4억 6천만 달러로 2013년 대비 3.78%의 감소율을 보이며 2010년~2013년 까지 4년 연속 성장세를 보이다가 2014년에 소폭 감소하였다.
- 2015년의 경우 수출은 2014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수입이 약 11.6%가 늘어 무역수지가 전년대비 다소 감소한 4억3623만 달러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對 캄보디아 수출입 추이
(단위: US$ 천)
연 도 |
수 출 |
수 입 |
무 역 수 지 |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금액 | |
2007 |
281,426 |
37.2 |
8,873 |
62.5 |
272,553 |
2008 |
294,383 |
4.6 |
14,378 |
62.1 |
280,005 |
2009 |
273,323 |
-7.1 |
18,202 |
26.6 |
255,121 |
2010 |
332,998 |
21.8 |
43,445 |
138.7 |
289,553 |
2011 |
450,780 |
35.4 |
87,343 |
101.0 |
363,438 |
2012 |
593,295 |
31.6 |
126,359 |
44.7 |
466,936 |
2013 |
614,644 |
3.6 |
136,313 |
7.9 |
478,331 |
2014 |
654,419 |
6.5 |
193,994 |
42.3 |
460,425 |
2015 |
652,765 |
-0.3 |
216,527 |
11.6 |
436,238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통계
나. 대 캄보디아 수출
- 캄보디아 주력 산업인 봉제업, 농업 관광업, 건설업이 지속적인 성장기조를 이어나가고 한국 제품에 대한 수요 역시 직물류, 수송기계류를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 대 캄보디아 수출품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직물제품의 수출은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증가추세에 있었으나 최근 수출이 다소 감소하였다.
최근 전자기기와 기타 섬유제품의 수출량이 줄었지만 작년과 동일하게 국산담배와 음료 브랜드가 캄보디아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품목별 對 캄보디아 수출
(단위: US$ 천, %)
순위 |
품 목 |
2014 |
2015 |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1 |
편직물 |
143,391 |
-6.9 |
144,850 |
1.0 |
2 |
철도용 차량 |
113,239 |
12.2 |
123,334 |
8.9 |
3 |
전자기기 |
62,619 |
59.2 |
51,048 |
-18.5 |
4 |
기타 섬유제품 |
61,613 |
43.6 |
50,505 |
-18 |
5 |
알루미늄 및 가공품 |
50,906 |
-26.8 |
55,862 |
9.7 |
6 |
음료, 주류, 식초 |
35,729 |
26.2 |
46,600 |
30.4 |
7 |
원자로, 보일러, 기계류 |
30,269 |
0.1 |
28,835 |
-4.7 |
8 |
편직제 의류 |
17,373 |
14.0 |
14,960 |
-13.9 |
9 |
연초류 |
15,131 |
10.8 |
20,592 |
36.1 |
10 |
의료용품 |
10,407 |
-21.9 |
11,506 |
10.6 |
11 |
직물제 의류 |
10,120 |
-4.9 |
11,738 |
16 |
12 |
고무 및 가공품 |
9,225 |
13.1 |
6,871 |
-25.5 |
13 |
플라스틱 및 가공품 |
8,678 |
4.8 |
8,266 |
-4.8 |
14 |
인조장섬유 |
8,067 |
0.1 |
7,569 |
-6.2 |
15 |
특수직물 |
7,796 |
-18.3 |
7,559 |
-3.0 |
16 |
인조단섬유 |
7,328 |
-3.4 |
4,774 |
-34.9 |
총 계 |
654,419 |
6.5 |
594,869 |
-10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통계
다. 대 캄보디아 수입
대 캄보디아 수입품 중 의류 관련 제품들은 매해 성장하고 있는추세이며 이는 한국섬유 기업들의 현지 생산기지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류가 확대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품목별 對 캄보디아 수입
(단위: US$ 천, %)
순번 |
코드 |
품목명 |
2014년 |
2015년 | ||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수입금액 |
수입증감률 | |||
1 |
61 |
|
74,662 |
13.4 |
91,281 |
22.3 |
2 |
85 |
전기기기와 그 부분품 |
35,933 |
197.2 |
38,020 |
5.8 |
3 |
62 |
의류와 그 부속품 (메리야스 및 뜨게질편물의 것은제외 ) |
24,664 |
21.0 |
27,056 |
9.7 |
4 |
22 |
음료 ,알코올 ,식초 |
10,668 |
369.8 |
3,402 |
-68.1 |
5 |
76 |
알루미늄과 그 제품 |
10,003 |
34.5 |
10,381 |
3.8 |
6 |
64 |
신발류 .모자류 .산류 .지팡이 .시트스틱.채찍 및 이들의 부분품 |
9,889 |
44.5 |
16,399 |
65.8 |
7 |
40 |
고무와 그 제품 |
7,039 |
-2.8 |
5,253 |
-25.4 |
8 |
42 |
|
4,679 |
561.8 |
11,628 |
148.5 |
9 |
15 |
|
3,320 |
16,601,885.0 |
835 |
-74.9 |
10 |
30 |
의료용품 |
3,029 |
28.9 |
2,677 |
11.6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