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글자크기

크로아티아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크로아티아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1-24 조회수 778
국가정보 유럽>크로아티아
원문
출처 KOTRA

가. 한-크로아티아 교역현황

 

'World trade atlas'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의 대 크로아티아 수출은 3억 달러, 수입은 999만 달러이다. 수출의 경우 전년대비 220%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고, 수입은 34.8% 감소한 수치이다. 한국은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유통업체들이 인근 유럽 국가로부터 약 5억 달러 규모의 간접 수입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 크로아티아 주요 수출 품목은 선박, 의약품, 폴리에스테르수지, 철구조물, 에틸렌, 선박용엔진, 승용차 등에집중되어 있으며 동 품목의 수출이 우리나라의 대 크로아티아 수출액에서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인근 유럽국가에서생산되거나 유럽 내 물류 창고를 통해 크로아티아로 수입되는 한국 대기업 가전 제품 및 자동차의 간접 수입도 활발하여 실제우리나라 제품의 크로아티아 시장 진출은 의약품 외에 대기업 제품 위주로 확대되고 있다.

 

나. 한국과의 무역 통계 총괄표(수출, 수입, 수지)

한국의 對크로아티아 수출입 추이

(단위: US$ 백만, %)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수출

108

62

118

79

50

46

94

300

증가율

-39.4

-42.5

90.1

-32.6

-37.3

-7

102

220

수입

10

13

19

20

21

17

15

10

증가율

-54.4

35.2

46.6

4.9

2.0

-20

-7.7

-34.8

무역수지

98

49

98

59

29

30

78

290

자료원: South Korea trade statistics with Croatia, Global Trade Atlas

 

다. 한국과의 무역통계 특징

 

크로아티아 소비자들은 한국산 자동차, 가전제품, 휴대폰 등에 대하여 품질, 디자인 등의 측면에서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한국에 대하여 좋은 이미지를 갖고 있어, 향후 한국산 제품의 크로아티아 시장 진출은 계속 확대될 전망이다. 단, 현재 한국산제품의 대 크로아티아 수출이 대기업 제품 위주로 편중되어 있는 관계로 중소기업 제품의 시장 진출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중소기업 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유럽 내 물류 기지 공동 사용을 통한 신속한 배송 체재 구축, CE Mark 획득, A/S 지원등에서 유럽 공급업체들과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 중소기업 수출 유망 분야로는 의약품, 철강제품, 보안 장비, 폐수 처리 시설, 의료기기, 건설 중장비, 헬스케어 제품, PC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조선 기자재, 문구 및 선물용품, 플라스틱 원료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대 크로아티아 수출은 수입에 비해 훨씬 크지만 크로아티아 대 한국 수입액은 아직도 크로아티아 전체 수입의 1%미만을 차지하고 있어 우리 업계가 노력한다면 향후 수출 확대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프라 건설 및 민간 기업의투자 수요 증대에 따라 건설 중장비, 기계 및 설비의 수출 확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배송, A/S지원 등에 있어서 유럽공급업체에 비해 불리한 여건을 극복해야 한다. 크로아티아로부터의 주종 수입 품목은 선박, 의약품,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이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철구조물, 에틸렌, 선박용엔진 등이 소량 수입되고 있다.

 

크로아티아 업계에서는 가변식축전기, 방송용 통신기기, 전기로 부품 등을 중심으로 한국으로의 수출을 추진해왔고, 여타산업으로의 수출품목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나, 낮은 인지도, 취약한 제조업 기반 등으로 인해 여의치 못한 실정이다. 다만,크로아티아가 생산하는 포도주, 송로버섯, 올리브 오일 등의 틈새품목의 우리나라 시장진출 여지는 꽤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크로아티아 시장은 제조업이 점점 위축되면서 일부 소비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을 수입으로 충당하고 있어 우리나라 제품의시장 확대가 예상된다. 다만 기존 유럽 공급 업체와의 오랜 거래 관계를 통한 소량 다품종 주문, 외상 거래, 적극적인 마케팅 및AS 지원 등을 받고 있어 우리나라 기업이 유럽에 물류 창고나 지사가 없고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에서 큰 장점이 없는 한공급선을 전환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최근 크로아티아가 EU 회원국이 된 것을 감안한다면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거나 물류기지를 구축함으로써, 크로아티아를 구유고 시장뿐 아니라 EU 시장 진출을 위한 전초기지로 삼고 점차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방안을 검토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라. 최근 7년 간 교역추이

한국의 對크로아티아 무역 통계

           (단위: US$ 천)

구 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수출 금액

61,962

117,762

79,404

49,784

46,307

93,728

299,912

수입 금액

13,200

19,352

20,296

20,702

16,603

15,328

9,987

수지

48,763

98,410

59,108

29,082

29,704

78,400

289,925

자료원: South Korea trade statistics with Croatia, Global Trade Atlas

 

마. 對크로아티아 수출 및 수입 상위 10개 품목

한국의 품목별 對크로아티아 수출현황

(단위: US$ 천)

순위

MTI

품목

2013

2014

2015

1

7461

선박

0

0

161,084

2

2262

의약품

8,781

56,672

87,211

3

2140

합성수지

8,101

9,124

16,691

4

6152

철 구조물

0

18

4,765

5

7411

승용차

7,664

3,580

4,384

6

7463

선박용 엔진 및 그 부품

379

1,756

3,480

7

7331

의료용기기

702

964

1,528

8

8412

전동기

261

218

1,055

9

7515

전동축 및 기어

223

223

1,038

10

2289

기타정밀화학원료

1,636

1,376

998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한국의 품목별 對크로아티아 수입현황

(단위: US$ 천)

순위

MTI

품목

2013

2014

2015

1

8333

축전기

1,038

1,148

1,253

2

4411

편직제의류

630

779

1,122

3

8122

방송용통신기기

1,340

3,053

1,025

4

8425

원자로 및 전기로

0

0

681

5

4412

직물제의류

464

559

563

6

8151

계측기

0

599

550

7

0411

참치

885

1,443

513

8

0451

어육

455

823

511

9

8311

집적회로반도체

27

247

331

10

8500

전선

239

88

288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바. 한국의 對크로아티아 주요 수출품목

2015년에는 선박, 의약품, 합성수지, 철 구조물, 승용차, 선박용 엔진 및 그 부품, 의료용기기, 전동기, 전동축 및 기어, 기타정밀화학원료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사. 한국의 對크로아티아 주요 수입품목

2015년에는 축전기, 편직제의류, 방송용통신기기, 원자로 및 전기로, 직물제의류, 계측기, 참치, 어육, 집적회로반도체, 전선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