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교역동향 및 특징

home > 제약글로벌정보센터> 국가별 교역정보> 무역환경> 교역동향 및 특징

글자크기

러시아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러시아 -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출처,원문,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04-08 조회수 22,789
국가정보 러시아/CIS>러시아
출처 KOTRA
원문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userNationBasicView.do?nationIdx=155
첨부파일

한국과의 교역동향 및 특징

 

-러 교역 현황

 

1992 1 9,000만 달러로 시작한 양국 간의 교역량은 20년이 지난 2012년 약 100배가 늘어난 224억 달러의 규모로 확대됐다대러 수출 역시 2008년 하반기 전 세계를 강타한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2009년에 전년대비 57%가 감소한 41억 달러를 기록하는 위기가 있었으나, 2010년부터 회복되기 시작해 2011년에는 사상 최초로 대러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2013년 한국과 러시아 총 교역액은 전년대비 0.9% 증가한 2265000만 달러를 달성했다전년대비 수출은 0.5% 증가한 1115000만 달러수입은 1.3% 증가한 1149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는 약 35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소폭(8900만 달러확대됐다특히교역액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2년도보다 수출과 수입액 모두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새롭게 경신했다.

 

그러나,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및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EU와 미국 등 서방의 대러 경제제재와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루블화 가치를 비롯한 경제지표의 전반적인 하락세로 대러 수출은 하락세로 돌아섰으며수입은 큰 폭으로 증가해 교역수지 적자가 55억 달러에 달했다.

 

2015년 기록적인 루블화 가치 하락과 서방의 경제제재의 연장으로 2015년 대러 수출은 전년대비 53.7%, 수입은 27.8% 감소됐으며,  6,622백만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가 나타났다

 

2016양국간 교역 규모는 다소 감소하여 대러 수입은 86억 달러대러 수출은 48억달러를 기록했다. 2016년 기준 러시아는 한국의 22위 수출국, 10 수입국이었으며, 한국은 러시아의 8위 수입국, 18위 수출국이었다.

 

2017 기준, 대 러시아 수출은 69억 달러(44.8%), 수입은 120억 달러(39.3%) 기록하여 총 51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시현했으며, 교역 규모 기준, 러시아는 한국의 18위 수출국, 10위 수입국을 점유했다.


 


한국의 대러 교역액 및 교역수지 현황

(단위: 십억 달러,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수출

(증감률)

11.09

(7.7)

11.15

(0.5)

10.12

(9.1)

4.68

(53.7)

4.8

(1.8)

6.9

(44.8)

수입

(증감률)

11.35

(4.6)

11.49

(1.2)

15.66

(36.3)

11.30

(27.8)

8.6

(23.6)

12.0

(39.3)

무역수지

0.26

0.34

5.54

6.62

3.8

5.1

자료원: 무역협회, MIT 기준


 

. 한-러 주요 품목별 수출입 동향

 

우리나라의 대러 주력 품목은 승용차, 자동차부품합성수지기타 플라스틱제품 등으로 이 중 승용차 및 자동차부품은 2014년 기준 38억 달러를 수출해 전체 수출에서 37.6%를 차지했다이 외, 컬러TV와 아연도 강판타이어 등이 뒤를 잇고 있으나, 2014년 하반기 이후 전반적인 수출 감소로 인해 순위의 의미가 상실된 상태였다.

 

2014년 전통적인 강세 품목인 승용차자동차부품 등의 수출이 부진했던 반면기술적으로 세계 최정상권인 컬러TV의 수출 증가가 눈에 띄게 증가했으나이마저도 2015년 들어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수입품 가격 상승에 따라 부진한 상태이다.

 

2015년에는 여러 악조건 속에 거의 모든 분야의 수출이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10위권 내의 품목 중 기타 기계류만이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장려 정책 속에 작년에 이어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기타 기계류는 2015년에 이어 2016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지으며 철구조물, 건설중장비의 수출은 증가했다컬러TV, 자동차부품의 수출액은 감소했으며, 전체적인 대러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1.8% 증가로 큰 차이가 없었다.

 

2017년 기준, 대러시아 한국의 수출 품목은 전체적인 수출액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대러 수출 1,2위 품목인 승용차 및 차량부품의 수출 비중이 약 40%를 차지한다. 승용차 및 차량 부품 다음으로 선박 및 해상구조물, 합성수지, 철 구조물, 건설 중장비, 음료 및 주류 등의 수출 비중이 높다. 휴대폰과 가전 제품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휴대폰이 약 40%를 차지하며, TV의 경우 7~80%를 점유한다. 자동차의 경우, 현대 기아차가 전체 신차시장의 약 15%를 차지한다.

 

한국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품목

 (단위백만 달러, %)


순번

품목명

2016

2017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총계

4,769

1.8

6,906

44.8

1

승용차

925

1.5

1,380

49.2

2

자동차부품

727

-13.2

1,060

45.8

3

선박

6

83.5

448

6,947.7

4

합성수지

212

-12.0

252

18.8

5

철구조물

114

309.7

251

120.2

6

건설중장비

109

82.5

245

124.8

7

타이어

98

28.5

139

40.8

8

기타플라스틱제품

105

-0.7

122

15.8

9

의자

72

22.6

113

56.5

10

아연도강판

90

-10.2

112

24.0

자료원: 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

 

수입의 경우 원유천연가스금속류 등 러시아의 전통적인 자원품목이 상위권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이어진 대러 경제제재의 영향으로 천연가스알루미늄괴 및 스트랩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원 수입이 감소 추세에 있으며, 자원 시장의 침체와도 무관하지 않다. 특히 천연가스 수입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5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도 주요 10대 수입품목 대부분이 원자재로러시아는 대표적인 자원중심의 수입대상국이라는 특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2017년 러시아의 주요 수입품목은 원유, 나프타 등의 석유 제품과 천연가스, 유연탄, 무연탄 등의 자원중심으로 품목이 구성되어 있으며, 러시아의 경제 회복세에 힘입어 수입 증감률이 대폭 상승한 모습을 나타냈다.

 


한국의 대러시아 주요 수입품목

 (단위백만 달러, %)


순번

품목명

2016

2017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8,641

-23.6

12,040

39.3

1

원유

1,951

-44.2

2,918

49.6

2

나프타

1,827

-12.8

2,354

28.9

3

유연탄

1,433

0.9

2,256

57.5

4

천연가스

582

-54.6

711

22.2

5

알루미늄괴및스크랩

284

-27.4

401

41.2

6

무연탄

284

19.6

389

37.2

7

고철

228

3.5

299

31.0

8

204

-0.1

298

46.0

9

우라늄

234

-21.9

256

9.2

10

중유

36

-74.7

211

486.9

자료원: 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