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수출입현황

home > 국가별 정보> 무역환경> 수출입현황

글자크기

카타르 수출입현황

카타르 수출입현황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원문,출처,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1-23 조회수 735
국가정보 중동>카타르
원문
출처 KOTRA

가. 개요

 

수출입 동향 및 성장률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2012[a]*

2013[a]*

2014[b]*

2015[b]*

2016[c]*

2017[c]*

수출

132,954

133,336

126,955

77,205

62,375

76,761

수입

-30,787

-31,475

-31,145

-35,911

-36,126

-39,240

총 무역수지

102,167

101,861

95,809

41,294

26,249

37,360

주: 2016년 6월 확인자료

자료원: EIU

주*: [a] Actual, [b] Economist Intelligence Unit estimates, [c] Economist Intelligence Unit forecasts.

 

막대한 천연자원과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천연가스 수출국인 카타르는 1995년 하마드 전 국왕의 즉위 이후 진행된 원유, 가스,석유화학 등의 여러 프로젝트의 추진으로 인해 급격한 수출 신장을 일궈내게 되었다. 또한 하마드 전 국왕은 집권 이래 북부가스전 개발을 통해 액화천연가스 생산에 본격적으로 착수하였으며, 천연가스는 2008년부터 석유를 제치고 국가 주요 수입원으로 대두하였다. 2014년에는 천연가스 수출이 원유수출의 4배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카타르는 원유 및 천연가스와 같은 에너지 자원의 수출과 함께 매년 높은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나, 2014년 7월 이후 세계적인 유가하락으로 원유 및 천연가스의 국제가격 하락세 지속으로 인해 무역수지는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2015년 들어서는 전년대비 56% 감소하여 근래 들어 최고의 하락폭을 보인 바 있다. 이러한 추세는 2015년에도 지속되어2016년 무역수지도 큰 폭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주요 수출품목이 고부가가치의 성격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무역수지 흑자는 꾸준히 유지될 전망이다. 

 

나. 수출

 

주요 수출 품목

(단위: 백만 QR, %)

No.

구분

2013

2014

2015

2016 1분기

Y-o-Y

1

석유가스와 기타 가스상 탄화수소

(HS Code: 2711)

318,640

313,182

184,007

31,589

-41.2

2

석유 및 역청유(원유에 한정)

(HS Code: 2709)

90,555

78,203

39,553

6,091

-49.4

3

석유 및 역청유(원유 제외)

(HS Code: 2710)

27,450

23,182

12,486

2,191

-46.1

4

에틸렌의 중합체(1차 제품에 한정)

(HS Code: 3901)

12,680

12,769

9,505

2,196

-25.5

5

광물 또는 화학 비료, 질소

(HS Code: 3102)

7,043

5,318

6,347

1,355

19.3

6

알루미늄괴

(HS Code: 7601)

5,376

5,387

5,015

940

-6.9

7

에테르, 에테르 알코올, 에테르 페놀,에테르 알코올 페놀, 알코올 과산화물,에테르 과산화물, 케톤 과산화물(화학적으로 단일 한 것인지의 여부를 불문)과 그들의 할로겐화, 술폰화, 니트로 또는 니트로화한 소화 유도체

(HS Code: 2909)

2,778

1,767

1,939

350

9.7

8

수소, 불활성 가스 및 기타 비 금속

(HS Code: 2804)

506

1,559

1,756

419

12.6

9

단조, 열간 압연(Hot-rolled), 압출한 바, 철또는 비 합금강의 봉

(HS Code: 7214)

1,455

1,615

1,184

257

-26.6

10

시트 말뚝, 용접 각도, 모양 등 철강제

(HS Code: 7301)

1,283

1,627

1,003

168

-38.3

11

기타

17,577

17,506

19,629

4,925

12.1

총 수출액

485,343

462,115

282,424

50,481

-38.9

주 : Y-O-Y (2015년 성장률 기준)

자료원: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

 

2014년 기준, 카타르의 주요 수출품은 천연가스, 원유, 에틸렌, 알루미늄으로 천연자원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014년 천연가스, 원유의 수출액 비중은 전체 수출의 약 84%를 차지하며 에너지 의존 경제구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2015년 이 비중을 약 66%까지 내리며 에너지 의존 경제구조가 완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편, 세계적인 유가하락의 영향으로2015년 전체 수출액 규모는 전년도 4,621억 리얄에서 2,824억 리얄로 38% 감소하였다. 

 

주요 수출국

(단위: 백만 QR,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일본

120,914

26.6

2

대한민국

88,279

19.4

3

인도

58,169

12.8

4

중국

34,096

7.5

5

싱가포르

28,685

6.3

6

아랍에미레이트

18,338

4.0

7

타이완

15,223

3.4

8

태국

12,081

2.7

9

영국

11,738

2.6

10

이탈리아

6,523

1.4

주: 2016년 6월 확인자료

자료원: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Foreign Trade Statistics 2014)

 

초기에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이탈리아 및 프랑스 등의 국가들이 주요 무역 상대국이었으나, LNG 및 석유화학제품 수출 증가에 따라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역관계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 한국, 인도, 중국, 싱가포르가 카타르의 주요 무역 상대국들이며, 그 중에서도 일본은 수년간 카타르의 1위 수출국으로 자리 메김하고 있다. 이에 이어 우리나라도 카타르의 두 번째 주요수출국으로 수년간 자리를 지키고 있다. 다만, 카타르의 수출국 다변화 정책으로 인하여 인도, 중국 등에 대한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해당국의 성장률과도 무관하지 않다. 아랍에미레이트의 경우 천연자원보다는 다양한 품목을 카타르로부터 수입하고 있고, 이 중 중개무역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 수입

 

주요 수입 품목

(단위: 백만 QR, %)

No.

구분

2013

2014

2015

2016 1분기

Y-o-Y

1

자동차 및 기타 수송용 차량

(HS Code: 8703)

9,226

9,556

10,851

2,492

13.5

2

항공 및 우주선 부품

(HS Code: 8803)

5,226

6,440

6,905

1,674

7.2

3

전화선, 전신, 전화 세트를 위한 전기장치

(HS Code: 8517)

2,424

2,864

3,201

846

11.7

4

절연 전선, 케이블(동축 케이블 포함),광섬유 케이블

(HS Code: 8544)

1,638

2,299

2,399

375

4.3

5

자동 데이터 처리 시스템, 자기 판독기,컴퓨터 하드웨어

(HS Code: 8471)

1,513

1,589

1,852

367

16.5

6

황철광을 포함한 철광석과 농축물

(HS Code: 2601)

2,162

1,674

1,831

253

9.3

7

화물 운송용 차량

(HS Code: 8704)

1,613

1,872

1,754

408

-6.3

8

보석 제품 및 부품, 귀금속 또는 금속클래드

(HS Code: 7113)

1,417

1,614

1,418

839

-12.1

9

터보 제트기, 터보 프로펠러 및 기타 가스 터빈 부품

(HS Code: 8411)

811

1,593

1,360

836

-14.6

10

등대선, 소방선, 준설선

(HS Code: 8905)

2,469

1,929

-

848

-

11

기타

69,291

79,379

56,911

6,619

-28.3

총 수입액

97,790

110,809

118,704

8,515

7.1

주: Y-O-Y (2015년 성장률 기준)

자료원: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

 

카타르는 제조기반산업이 취약함에 따라 대부분의 품목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입품목은 카타르 정부가 발주하는 프로젝트의 영향을 크게 받는 편이다. 카타르가 꾸준히 수입하고 있는 품목은 산업기자재로 이 중 많은 부분이 카타르의 주력산업인 오일&가스 생산시설에 필요한 부품들과 건설자재다. 새로운 프로젝트의 발주 정도는 감소하였지만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와 신규 프로젝트로 인한 부품의 수입은 계속되고 있다. 더불어 카타르는 국가 규모에 비해 자동차 수입도 많은 편이다.

 

2015년 기준 카타르의 자동차 수입액은 108억으로 전체 수입액 1,187억 리얄의 약 10%에 달하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카타르 내 꾸준한 인구유입으로 자동차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전체 수입의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항공 및 우주선 부품의 경우, 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항공이 사세를 지속적으로 확장 중임에 따라 항공기 주문과 함께 전체 수입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총 수입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5년 총 수입은 1,187억 리얄로 전년도 1,110억 리얄 대비 7.1% 상승하였다.

 

주요 수입국

(단위: 백만 QR, %)

순위

국가

금액

비중

1

미국

12,646

11.4

2

중국

11,692

10.6

3

아랍에미레이트

9,073

8.2

4

독일

7,903

7.1

5

일본

7,113

6.4

6

영국

6,037

5.4

7

이탈리아

5,430

4.9

8

사우디아라비아

5,060

4.6

9

인도

4,253

3.8

10

대한민국

3,753

3.4

주: 2016년 6월 확인자료

자료원: Ministry of Development Planning and Statistics(Foreign Trade Statistics 2014)

 

카타르의 주요 수입국은 미국과 중국으로 2014년 기준 두 국가로부터 수입은 전체 수입의 약 20%를 차지하였다. 인근 국가인 아랍에미레이트는 카타르와 지리적으로 매우 인접해 있으며, 동시에 카타르의 주요 중개무역 대상국가이기 때문에 전체 수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카타르의 10위 수입국에 등극해 있는데, 카타르는 한국으로부터 주로 자동차·전자제품·소비재를 수입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