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황
폴란드 국가개황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6-11-25 | 조회수 | 452 |
국가정보 | 유럽>폴란드 | ||
원문 | |||
출처 | KOTRA |
자료원: CIA
가. 일반 사항
국명 |
폴란드(Rzeczpospolita Polska; The Republic of Poland) |
---|---|
위치 |
중부 유럽(독일, 체코,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러시아와 접경) |
면적 |
312,685㎢(한반도의 1.4배) |
기후 |
대륙성 기후(동부), 해양성 기후(서부), 연평균 기온 7~10℃ |
수도 |
바르샤바(Warszawa; Warsaw) |
인구 |
약 3,840만 명(2015년 기준) |
주요 도시 |
Warszawa(172만 명), Łód?(74만 명), Kraków(76만 명), Wrocław(63만 명), Pozna?(55만 명), Gdansk(46만 명), Katowice(31만 명) 등 |
민족 |
폴란드인(93.7%), 기타 독일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등 |
언어 |
폴란드어(서슬라브어) |
종교 |
가톨릭(90%), 신교·러시아정교 등 기타(10%) |
건국(독립)일 |
1918년 11월 11일(독일, 오스트리아, 러시아의 3국 분할 종료) |
정부 형태 |
의회공화제(Parliamentary republic): 대통령제 + 내각책임제 |
국가 원수 |
대통령: 안제이 두다 (Andrzej Duda) / 취임일 : 2015년 8월 6일 총리: 베아타 시드워(Beata Szydło) / 취임일: 2015년 11월 16일 |
자료원: 폴란드 통계청, IMF 등
나. 경제 지표
GDP (명목) |
US$ 4,745억(2015년e), US$ 5,451억(2014년), US$ 5,241억(2013년) |
---|---|
실질 경제성장률 |
3.6%(2015년e), 3.3%(2014년), 1.3%(2013년) |
1인당 GDP(PPP기준) |
US$ 26,183 (2015년e), US$ 24,946 (2014년), US$ 24,157 (2013년) |
실업률 |
10.5%(2015년e), 12.3%(2014년), 13.5%(2013년) |
물가 상승률(HICP기준) |
-0.7%(2015년), 0.1%(2014년), 0.8%(2013년) |
화폐 단위 |
Złoty(즈워티, 약자는 zl 또는 PLN) |
연평균 환율 |
2015년: EURPLN=4.18, USDPLN=3.77 2014년: EURPLN=4.18, USDPLN=3.15 |
외채 |
US$ 3,301.17억(2015년 말 기준) |
외환보유고 |
US$ 949.1억(2015년 말 기준) |
산업 구조 |
농업 3.3%, 공업 41.1%, 서비스업 55.6%(2015년 말 기준, 예상치) |
교역 규모 |
2015년: US$ 1,907.54억(수출), US$ 1,883.66억(수입) 2014년: US$ 2,106.62억(수출), US$ 2,149.78억(수입) 2013년: US$ 1,981.07억(수출), US$ 1,975.44억(수입) |
교역품 |
수입: 기계, 전자제품 부품,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철강, 알루미늄, 광물성 연료, 석유, 광학 및 의료기기, 의약품 및 유기화학물 |
자료원: 폴란드 통계청(GUS), 폴란드 중앙은행(NBP), EIU, WTA, IMF 등
다. 한-폴란드 관계
양국 관계 |
2013년 10월 22일, ‘전략적 동반자관계’ 수립
2004년 양국 간 미래지향적 동반자관계(Future-oriented partnership)수립 이후, 폴란드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의 방한을 통해 ‘전략적 동반자관계’ (Strategic Partnership)로 양국 간 관계 격상 |
---|---|
체결 협정 |
투자 보장 협정(1989년 11월/1990년 2월 2일) 무역 협정(1989년 1월 1일/1990년 2월 2일) 항공 협정(1991년 10월) 이중과세 방지 협정(1992년 1월/1992년 2월 21일)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차관공여 교환각서(1993년 2월) 문화 협정 및 과학기술협력 협정(1993년 6월) 비자 면제 협정(1993년 1월 1일/1994년 10월 3일) 외무부간 협력의정서(1997년 3월) 표준화협력 양해각서(1998년 9월) 운전면허 상호인정 협정(1999년 3월) 세관협력 협정(1999년 6월) 경제 협력 협정(2004년 12월) 관광 협력 협정(2004년 12월) 청소년교류 양해각서(2004년 12월) 사회보장협정(2009년 2월)
한-EU 자유무역협정(2011년 7월 1일) |
교역 규모 |
수출: US$ 38.5억(2014년), US$ 36.0억(2013년) 수입: US$ 7.7억(2014년), US$ 7.8억(2013년) |
교역품 |
10대 수출 품목(2014년) ① 평판디스플레이 ② 칼라TV ③ 기타조명기기 ④ 아연도강판 ⑤ 자동차부품 ⑥ 합성수지 ⑦광학기기부품 ⑧ 승용차 ⑨ 냉장고⑩ 무선전화기 10대 수입 품목(2014년) ① 원동기 ② 선박용 부품 ③ 운반하역기계 ④ 주철 ⑤ 자동차부품 ⑥ 가열난방기 ⑦ 의약품 ⑧철구조물 ⑨ 건설중장비 ⑩ 가축육류 |
투자 교류 |
우리나라의 대 폴란드 투자: 누계액 US$ 19억 2천만 달러, 171개 회사(2015년 1분기 기준) 폴란드의 대 한국 투자: 누계액 약 US$ 731만 5천 달러, 3개사(2015년 1분기 기준) |
교민 |
약 1,156명으로 78%가 주재 상사원이며, 장기체류허가 교민은 약 300여 명. 바르샤바 504명, 브로츠와프 448명, 크라쿠프 37명, 기타 167명 |
자료원: 폴란드 통계청(GUS), 한국무역협회, 주 폴란드 한국대사관 등
- 이전글 프랑스 국가개황
- 다음글 크로아티아 국가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