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황
카자흐스탄 국가개황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6-11-25 | 조회수 | 4,185 |
국가정보 | 러시아/CIS>카자흐스탄 | ||
원문 | KOTRA | ||
출처 |
자료원: CIA
가. 일반사항
국명 |
카자흐스탄 공화국(Republic of Kazakhstan) |
---|---|
위치 |
|
면적 |
|
기후 |
|
수도 |
|
인구 |
|
주요 도시 |
|
인종 |
|
언어 |
|
종교 |
|
독립일 |
|
정부 형태 |
|
국가 원수 |
|
입법부 |
|
가입현황 |
|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카자흐스탄 국회, 카자흐스탄 정부 및 대통령 비서실
나. 경제지표
GDP |
1,950억 달러(2015년 기준)/ 1,732억 달러(2016년 추정) |
---|---|
실질경제 성장률 |
1.0%(2015년 기준)/ -1.1%(2016년 추정) |
1인당 GDP |
11,028달러(2015년 기준) |
실업률 |
5.0%(2015년 기준)/ 5.7%(2016년 추정) |
물가 상승률 |
13.3%(2015년 12월 기준)/ 2015년 평균 6.5% |
화폐 단위 |
KZT - Tenge(텡게) |
환율 |
1달러 = 337.5 KZT(2016년 7월 평균) ※2014년 2월, 2015년 8월 텡게 절하 |
외채 |
1,689억 달러(2015년)/ 1,813억 달러(2016년 추정치) |
외환 보유고 |
2조 8,584억 달러(2015년)/ 2조 7,157억 달러(2016년 추정치) |
주요 산업 |
석유, 가스 등 에너지산업, 철, 비철금속 등 채굴 및 가공 |
주요 자원 |
석유, 천연가스, 석탄, 금, 구리, 아연, 망간, 납, 알루미늄, 크롬, 니켈 등 |
교역 규모 |
수출: 462억 9,400만 달러(2015년)/ 364억 300만 달러(2016년 추정치) |
교역품 |
수출: 석유 및 광물 자원, 비금속, 철강 등 |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WTA, WORLD BANK, EIU, KITA
다. 한-카 관계
체결 협정 |
1992년 7월: 무역협정
1995년 5월: 과학·기술협정, 문화협정
1996년 3월: 투자보장협정
1999년 4월: 이중과세방지협정
2003년 11월: 형사사법공조조약, 범죄인 인도조약 카자흐 측 발효절차 진행 중
2004년 9월: 원자력 협력협정 카자흐 측 발효절차 진행 중
2005년 4월: 서울에서 개최된 2차 자원공동위에서 양측은 우라늄 공동 개발 사업을 위한 합작기업(J/V) 설립을 조속한 시일 내에 추진키로 하고, 발전용 연료(석탄 및 가스) 분야를 포함한 양국 간 전력 분야 협력을 강화 키로 합의
2005년 10월: 카자흐스탄 WTO 가입 관련 양자협상 타결
2006년 9월: 해외봉사단 파견협정
2007년 4월: 항공협정체결
- 인천-알마티 간 정기전세기 노선이 주2회(아시아나 , 아스타나 항공 각 1회) 운항하고 있으며, 항공협정이 체결될 경우 정기 노선으로 승격
2007년 6월: 외교관·관용 여권 사증면제협정 체결
2008년 5월: 한승수 총리 에너지 자원외교 방카
- 에너지분야, 건설분야, 도시 계획수립 관련, 섬유 산업 분야 상호협력 MOU 체결
2009년 5월: 이명박 대통령 카자흐스탄 국빈방문
- 에너지, IT, 수송 등 3개 벨트중심으로 양국 간 협력강화 목적
2010년 4월: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 한국 국빈방문
- 에너지, 자원, 건설인프라, 농업, IT 분야 등 세일즈 외교목적
2011년 5월: 한-카 관광협력 협정
2012년 1월: 한-카 범인 인도 협정 비준
2012년 3월: 한국 전경련?카자흐스탄 상공회의소 간 비즈니스 포럼
- 양국 기업과 정부 간에 협력증진과 투자협력에 관한 MOU 2012년 5월: 한-카 관세청 직원 능력 배양을 위한 협력 협정
2012년 6월: 한-카 해운물류?항만개발 협정
2012년 7월: 한-중앙아 투자포럼
2012년 9월: 이명박 대통령 카자흐스탄 국빈방문
- 발하쉬 발전소 착공식 참석 및 양국 간 협력강화 목적
2014년 6월: 박근혜 대통령 카자흐스탄 국빈방문
- 한-카자흐스탄 간 일반여권 사증 면제에 관한 협정, 법제협력 MOU, 과학기술 정보관리 체계구축 협력 MOU, 산림협력 MOU, 발하쉬 석탄화력발전소 용량 구매계약 등 5건의 협정 및 MOU가 체결
2014년 9월: 한-카 외교장관회담, 한시적 근로협정 체결
2014년 11월: 한-카 사증면제협정 발효 |
---|---|
한-카 교역 규모 |
|
교역품 |
수출: 승용차, 석유화학제품, 가전, 휴대폰, 산업기계, 플라스틱, 철강 수입: 합금철, 금, 열연강판, 은, 아연괴 및 스크랩, 냉연강판, 귀금속 장식품, 기타 정밀화학원료, 면사, 백금 |
투자 교류 |
우리나라의 對카자흐스탄 투자규모 2003년: 6건, 1,382만 달러 2004년: 20건, 2,252만 7,000달러 2005년: 26건, 2,556만 달러 2006년: 53건, 2억 4,929만 3000달러 2007년: 105건, 2억 8,662만 달러 2008년: 58건, 8억 2,261만 8000달러 2009년: 61건, 1억 5,301만 4000달러 2010년: 50건, 1억 3,118만 2000달러 2011년: 51건, 1억 168만 8000달러 2012년: 45건, 1억 9,299만 7000달러 2013년: 43건, 1억 7,405만 5000달러 2014년: 47건, 1억 5,883만 5000달러 2015년: 68건, 6,942만 5000달러 2016년 1분기 : 11건, 41만 6000달러 투자누계금액: 695건, 25억 1,946만 달러 |
교민 |
총 교민 수 약 2,500명 (2013년 기준, 알마티 무역관 추정) |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협회, 한국관세청, 카자흐스탄 통계청, 카자흐스탄 중앙은행
- 이전글 가나 국가개항
- 다음글 우크라이나 국가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