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황
아제르바이잔 국가개황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6-11-25 | 조회수 | 4,638 |
국가정보 | 러시아/CIS>아제르바이잔 | ||
원문 | KOTRA | ||
출처 |
자료원: CIA
가. 일반사항
국명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Republic of Azerbaijan) ‘아제르바이잔’은 페르시아어 ‘아자르(Adhar:불)’와 아랍어 ‘바이잔Beyqan)’에서 유래한 것으로 ‘불의 나라’라는 의미를 가짐. 고대부터 천연가스가 많아 지표면으로부터 가스가 분출되어 불이 솟구쳐 올라왔으며, 불을 숭상하는 조로아스터교(배화교)가 과거에 성행 |
---|---|
위치 |
카스피해 연안에 위치 아르메니아(1,007km), 조지아(480km), 이란(756km), 러시아(390km), 터키(15km)와 접경. 북위 38~42도 |
면적 |
8만 6,600㎢(한반도의 약 40%, 남한의 87%) |
기후 |
아열대(수도권 지역), 건조 온대초원 기후 등 다양한 기후대 분포 |
수도 |
바쿠 Baku(215만 명) ‘바쿠’는 페르시아어 ‘바트쿠베’, 즉 바람을 뜻하는 “바드(Bard)와 분다라는 의미를 지닌 “쿠베(kube)”의 합성어로 “바람이 부는 도시”라는 뜻이다. |
인구 |
959만 명(2015년 6월, 2005년 기준 매년 1.2% 증가 ) - 인구성비: 남성 49.7%, 여성 50.3%, - 인구 지역비: 도시 53.1%, 지방 46.9% - 평균수명: 72.2세(남성 69.4세, 여성 75세) - 인구평균연령: 32.6세 |
주요 도시 |
갠자(약 32만 명), 숨가이트(약 31만 명) 등 11개 시 |
민족 |
아제르바이잔인(91.6%), 레즈기인(2%), 러시아인(1.3%) 등 |
언어 |
아제르바이잔어(터키어와 유사, 러시아어 통용) ※ 아제리어는 터키어와 70~80% 유사하여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이며 1990년대 이후 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는 대개 러시아어를 구사하지 못함 |
종교 |
이슬람교 96%(시아 85%, 수니15%), 러시아정교(2.5%) 등. *헌법상 정교분리 |
시차 |
한국시간 – 5 2016년부터 섬머타임 미적용 |
건국일 |
1991년 10월 18일 |
정부 형태 |
대통령중심제(2018년 10월, 세번째 수요일 차기 대선 예정 ) |
의회 구성 |
임기 5년의 단원제(직선 125석)(2015년 11월 총선) - 여당: 신아제르바이잔당(YAP) 71석 - 무소속: 42석(친여) - 야당: Civic Solidarity당 2석 등 12석 |
주요 지도자 |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대통령: 2013년 10월 19일 취임, 3선 - 총리 : 알투르 라시자데(Artur Rasizade) |
행정조직 |
중앙행정조직: 대통령, 총리, 부총리(6명), 20개 부처로 구성 지방행정조직: 행정구역: 66개 지역, 77개 시, 1개 자치공화국(나흐치반 자치공화국) - 주요 도시: 숨가이트, 갠자, 쉐키, 샤마흐 |
자료원: 아제르바이잔 국가통계위원회, EIU Country Report 등
주: 2016년 6월
나. 경제지표
GDP |
530억 달러 |
---|---|
실질경제성장률 |
1.0% |
1인당 GDP |
5,413달러 |
실업률 |
5.4%(2011년), 5.2%(2012년), 5.0%(2013년), 5.4%(2014년), 5.3%(2015년) |
물가상승률 |
5.6%(2011년), -0.3%(2012년), 3.7%(2013년), -0.1%(2014년), 7.8%(2015년) |
화폐단위 |
마나트(Manat, ‘AZN’으로 표기) |
환율 |
1.559(단위: US$1)(2015년 12월) |
외채 |
123억 달러(2015년 2월) |
주요 자원 |
석유, 천연가스, 철광석, 구리, 금 |
외환보유고 |
약 42억 8,000만 달러(2016년 6월 기준) |
산업구조 |
농업 6.2%, 2차 산업 63% 서비스업 30.8% |
교역규모 |
교역액: 254억 달러, (수출)156억 달러, (수입)98억 달러(2015년 12월) |
교역품 |
수출: 원유 및 천연가스 (총수출의 약 94%), 기계, 면화 등 수입: 기계장비, 식료품, 금속, 석유화학제품, 운송장비 등 |
교역국 |
주요 수출국 : 이탈리아(25%), 인도네시아(11.6%), 태국(7%), 독일(5.6%), 이스라엘(5.3%), 프랑스(4.7%), 인도(4.6%),러시아(4.5%), 미국(4.1%) 주요 수입국 : 러시아(14.1%), 터키(13.7%), 영국(12.5%), 독일(7.7%), 우크라이나(5.5%), 중국(5.3%), 프랑스(4%) |
자료원: EIU Country Report 등
주: 2016년 6월
다. 한-아제르바이잔 관계
수교 |
한국과의 수교(1992년 3월 23일) 북한과의 수교(1992년 1월) |
---|---|
체결협정 |
문화협정(2006년 5월) 항공협정(2006년 5월) 항공협정개정의정서(2007년 4월) 투자보장협정(2007년 4월) 이중과세방지협정(2008년 5월) 외교관·관용여권비자면제협정(2008년 5월) 경제협력협정(2012년 8월) EDCF 기본협정(2013년 6월) 운전면허 상호인정 협정(2013년 10월) * 체결 진행 중인 협정: 한-아제르바이잔 무상원조 기본협정(협의중) * 형사사법공조조약(2010년 9월 가서명)은 양국 모두 유럽형사사법공조조약에 가입함에 따라 체결 필요성이 없어짐에 따라 불추진 |
교역규모 |
1억2,320만 달러, (수출)1억 2,290만 달러(자동차, 화학기계, 밸브, 주철 등), (수입)30만 달러(포도주, 양가죽 등)(2015년) |
교역품 |
우리나라 수출: 자동차, 화학기계, 밸브, 주철, 기타정밀화학원료 등 우리나라 수입: 포도주, 가솔린유 등 |
투자교류 |
2007~2015년 신고기준 한국의 對아제르바이잔 누적 투자액은 3,380만 달러 |
교 민 |
약 185명(2016년 6월 기준) - 일반: 100명(주로 선교사 가족) - 상사원: 50명 (삼성엔지니어링, 평화엔지니어링, SK, 한라 등) - 유학생: 5명/정부파견: 5명/공관원: 25명 ※ 20여 명의 고려인 가족 거주 주재국 진출기업 취업, 여행사 등 생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2012년 5월 유로비전 준비와 같은 주재국 정부의 프로젝트를 수주한 사례도 있음. |
자료원: 수출입은행,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 이전글 우즈베키스탄 국가개황
- 다음글 벨라루스 국가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