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개황
사우디아라비아 국가개황
작성자 | 관리자 | ||
---|---|---|---|
작성일 | 2016-11-25 | 조회수 | 3,420 |
국가정보 | 중동>사우디아라비아 | ||
원문 | KOTRA | ||
출처 |
자료원: CIA
가. 일반 사항
국명 |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Kingdom of Saudi Arabia) |
---|---|
위치 |
아라비아 반도 |
면적 |
215만 km²(아라비아반도의 4/5 차지, 한반도의 10배) |
기후 |
리야드 등 내륙 지역: 일반적으로 고온 건조 젯다 등 홍해연안과 담맘 등 걸프연안: 고온 다습(평균 섭씨 32~34 도, 최고 54도, 최저 0도) |
수도 |
리야드(Riyadh) |
인구 |
총 3,150만 명(사우디인 2,110만 명, 외국인 1,040만 명)(2015년) |
주요 도시 |
리야드(583만 명), 제다(350만 명), 메카(160만 명), 메디나(110만 명), 담맘(80만 명) |
민족 |
아랍족(아랍 90%, 아프리카 아랍 10%) |
언어 |
아랍어 |
종교 |
이슬람교(수니파 90%, 시아파 10%) |
건국(독립)일 |
9월 23일(사우디 왕국 선포일) |
정부형태 |
전제 군주제(정교 일치) |
국가원수 (실권자) |
살만 왕: Salman bin abdulaziz al-saud(2015년 1월 23일 취임) 성스러운 두 사원의 수호자(the 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로 칭함 |
입법부 |
없음(국왕의 자문기구인 슈라 위원회(Shoura Council)가 정부 법안을 심의함으로써 입법부의 기능을 가짐. 슈라 위원회의 위원은 총 150명으로 국왕이 임명, 20%인 30명을 여성으로 임명) |
정당 |
없음 |
정부성향 |
대외적: 친서방, 온건 노선
국내적: 정교 일치의 보수 이슬람 |
주: 통계는 2016년 5월 기준, 확인 가능한 최신 통계
자료원: EIU, 사우디 중앙통계국, 사우디 경제기획부 Economy Indicators 2016
나. 경제 지표
명목 GDP |
5,268억 달러(2010년), 6,695억 달러(2011년), 7,340억 달러(2012년), 7,453억 달러(2013년), 7,850억 달러(2014년), 6,440억 달러(2015년 예상) |
---|---|
실질 경제성장률 |
7.4%(2010년), 8.6%(2011년), 5.8%(2012년) 3.8%(2013년), 3.6%(2014년), 2.8%(2015년 예상) |
1인당 GDP |
1만 9,113달러(2010년), 2만 3,599달러(2011년), 2만 5,139달러(2012년), 2만 4,247달러(2013년), 2만 4,545달러(2014년), 2만 753달러(2015년) |
실업률 |
전체 실업률 11.8%(사우디인 기준, 2015년) ※ 실제 실업률은 15~20%로 추산. 자국민 취업확대를 위해 자국민 우선고용 정책인 Saudization을 강화 중 |
물가상승률 |
3.8%(2010년) 3.7%(2011년) 2.9%(2012년) 3.5%(2013년) 2.9%(2014년) 2.3%(2015년 예상) |
화폐단위 |
Saudi Arabian Riyal(SAR) |
환율 |
US$ 1 = SR 3.750(고정환율) |
외채 |
917억 달러(2010년), 1,137억 달러(2011년), 1,363억 달러(2012년), 1,494억 달러(2013년) |
외환보유고 |
4,548억 달러(2010년), 5,888억 달러(2011년), 6,627억 달러(2012년), 7,303억 달러(2013년), 7,446억 달러(2014년), 6,800억 달러(2015년) |
GDP 구조 |
광업 39.9%, 금융 및 부동산 9.3%, 제조업 11.3%(석유정제 2.9%, 기타 8.5%), 도소매유통업 9.3%, 수송 및 통신 5.6%, 건설업 4.9%(2014년 기준) |
교역규모(fob) |
수출: 2,511억 달러(2010년), 3,647억 달러(2011년), 3,884억 달러(2012년), 3,759억 달러(2013년), 3,424억 달러(2014년), 3,759억 달러(2013년), 2,020억 달러(2015년) 수입: 1,069억 달러(2010년), 1,316억 달러(2011년), 1,556억 달러(2012년), 1,682억 달러(2013년), 1,538억 달러(2014년), 1,720억 달러(2015년) |
무역수지 |
2,331억 달러(2011년), 2,328억 달러(2012년), 2,077억 달러(2013년), 1,686억 달러(2014년), 300억 달러(2015년) |
주요 교역품 |
수출: 광물성연료(83.2%), 화학·플라스틱제품(11.2%), 식품 및 농축산물(1%) 수입: 기계·장비&부품(26.2%), 수송장비 및 부품(16.7%), 식품 및 농축산물(14.1%), 광물 및 금속류(12.2%), 화학ㆍ합성수지 제품(12%)(2014년) |
주요수출국 및 수출점유율 |
미국 12.7%, 중국 12.5%, 일본 12.2%, 한국 9.6%, 인도 8.9%, 싱가포르 3.6%, UAE 3.5%, 대만 3.4%, 바레인 2.7 %, 프랑스 2.5% (2014년) |
주요수입국 및 수입점유율 |
중국 13.4%, 미국 13% 독일 7.2%, 일본 5.7%, 한국 5%, U.A.E. 4.8%, 인도 3.6%, 프랑스 3.4%, 이탈리아 3.4%, 스위스 2.8% (2014년) |
석유매장량 |
2,670억 배럴(세계 매장량 15.7%) (2014년 기준, BP Report) |
천연가스매장량 |
8.2조 m³로 세계 총 매장량의 4.4%(2014년기준, BP Report) |
군사력 |
국방 항공부 예하의 정규군 약 124만 명(지상군 75만 명, 공군 2만 명, 해군 135만 명, 방공군 16만 명), 국가방위부(National Guard) 약 11만 명, 내무부 소속 치안 병력 11만 명 (경찰 5만 명, 국경해안수비대 3만 명, 경찰특수부대 2만 명, 석유시설방호부대 1만 명) 등 총 227만 명 추정 |
주: 통계는 2016년 6월 기준, 확인 가능한 최신 통계
자료원: 한국수출입은행, IMF, EIU Country Report, 사우디 경제기획부, 사우디 통계청 등
다. 한-사 관계
체결협정 |
경제기술협력협정(1975년) 문화협정(1975년) 항공협정(1984년) 항공운수소득면세협정(1990년) 교육교류약정(1997년) 투자보장협정(2002년) 이중과세방지협정(2007년) 고등 교육협력MOU(2007년) 원자력협력협정(2011년) 국방협력협정(2013년) SMART 공동파트너쉽 및 인력양성 MOU(2015년) |
---|---|
교역규모 |
우리나라의 수출: 69억 6,400만 달러(2011년), 91억 1,200만 달러(2012년), 88억 2,800만 달러(2013년), 82억 8,700만 달러(2014년), 94억 8,200만 달러(2015년) 우리나라의 수입: 369억 7,300만 달러(2011년), 397억 700만 달러(2012년), 376억 6,500만 달러(2013년), 367억 2,400만 달러(2014년), 195억 7,300만 달러(2015년) |
교역품 |
우리나라의 수출: 승용차, 건설중장비, 전선, 차단기, 변압기, 기초유분, 타이어 등 우리나라의 수입: 광물성원료(원유, 나프타,LPG), 석유화학원료,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동괴 및 스크랩 등 |
투자교류 |
우리나라의 대 사우디 투자: 2015년 3분기 누계 기준, 659건, 22억 1,800만 달러(투자 기준) 사우디의 대한 투자: 2015년 누계 71건, 20억 345만 달러 |
교민 |
약 5,215명 |
주: 통계는 2016년 6월 기준, 확인 가능한 최신 통계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수출입은행, 주사우디한국대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