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

home 의료기기산업 정보 기술정보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

기본정보

의료기기 범부처 연구개발정보 - 기본정보 > 과제명, 과제번호, 종료년도, 연구기관, 사업명, 연구책임자, 총 연구기간, 연구개발비
과제명 의료용 고압산소챔버와 연동된 압력손상 조기 발견 시스템의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 과제번호 RS-2020-KD000230
총 연구시작일자 2020-09-01 총 연구종료일자 2022-12-31
사업명 의료기기 사업화 역량 강화(2020년)
연구기관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연구개발비(천원) 166,000,000

연구요약

의료기기 범부처 연구개발정보 - 연구요약 > 연구내용, 연구목표, 기대효과
연구내용 (1) 임상시험의 배경 가) 기존 고압산소치료 시스템의 문제점으로 가·감압 상황에서 압력손상에 대한 자체적 해결책이 없음. 나) 고압산소치료 건수는 증가가 예상되나 고압산소치료 중 압력손상의 발생이 빈번함. 다) 압력손상으로 인해 삼출성 중이염, 고막천공, 통증, 난청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심하면 영구적인 청력손실을 입을 수 있음 라) 고압산소치료 중 압력손상이 발생 할 경우 치료가 중단되며, 지속적 발생 시 고압산소치료가 불가능 할 수 있음 마) 현재 타 기종에서 고압산소치료 중 압력손상을 해결 위해 중이와 외이의 압력차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으며, 운용자의 경험에 의존하고 있음 (2) 임상시험용 의료기기의 사용목적 ① 국내 보험 적응증(16종) 포함 학술적 고압산소치료 대상질환 또는 적응증 환자의 안전한 치료 ② 고압산소치료 중 압력손상의 조기 감지 및 방지 (3) 피험자 ○ 선정기준 - 18세부터 65세까지의 피험자로서 제외 기준에 속하지 않은 자 - 고압산소치료의 의료보험 혹은 학술적 적응증에 해당하는 자 - 임상시험에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자 ○ 예측 인원 200명(시험군 100명과 대조군 100명) (4) 임상시험기간 2021년 3월 1일 ~2022년 8월 30일 (5) 임상시험방법 ○ 임상시험을 위한 준비 단계 - 선행 연구 및 개발 조사. - 기존 고압산소챔버에 압력손상 조기 발견 시스템의 설치, 연동. - 임상시험디자인의 세부 항목 확인, 준비, 수정. ○ 임상시험디자인 - 전향적 평행 설계 (Prospective Parallel design) : 피험자를 서로 다른 처치군(2집단)으로 배정. - 시험군 : 압력손상 조기 발견 제어 시스템 적용 - 대조군 : 압력손상 조기 발견 제어 시스템 대신 전통적 치료 전 문진과 치료 중 구두 소통 시행. - 다기관 임상시험(Multicenter Trial) : 3개 의료기관에서 동시에 수행함. ○ 무작위배정(Randomization) 방법 - 단순 무작위배정 적용 예정 ○ 눈가림(Blinding) 방법 - 단측 눈가림 방법 적용 예정 (6) 관찰 및 임상검사항목과 방법 - 핵심 관찰항목 : 중이 압력손상의 경중도 확인 - 관찰방법 : 의료진에 의한 이경 직접 관찰 - 4가지 평가 항목 : 압력손상으로 인한 치료 중단건수/치료 완료건수, 이경 관찰 소견(Grade 0~5,) 귀 통증 여부(통증scale값), 피험자 조사
연구목표 [최종 목표] 의료용 고압산소챔버와 연동된 압력손상 조기 발견 시스템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와 확보 [세부 목표] 1. 압력손상 조기 발견을 포함한 고압산소챔버 제어 시스템의 근거 확보 2. 응급환자 고압산소치료 시 제어 시스템 운영을 통한 임상적 효과관찰 및 압력손상 여부 평가
기대효과 [활용계획] ○ 전문학술단체를 통해 의료진들에게 임상 결과 홍보 및 근거 전달 ○ 고압산소치료 부작용 예방 관련 임상적 근거 확보를 통한 고압산소치료 개선 ○ 고압산소치료 안전성 및 유효성 임상시험을 통한 국내 적응증 확대 ○ 임상현장 수요 충족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 국내외 최초 압력손상 조기 발견 시스템 모듈 개발로 기술 선진화 - 고압산소치료 시 객관적 고막상태 모니터링 기술력 선점 - 세계일류상품인증을 통한 안전성 검증 및 수출 판로 개척 - 고압산소치료 부작용 예방을 통한 치료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 - 향후 인공지능 기술 등 스마트 고압산소치료 시스템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경제적ㆍ산업적 측면 - 긴급 재난 사고 대비 대응 시스템 구축 및 의료기기 산업 활성화 - 기술혁신으로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적극 기여 - 매출 및 수출 증대를 통한 경제 활성화 - 신규 고용창출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 ○ 사회적 측면 - 일산화탄소 중독사, 대형화재 급증, 해양사고 증가에 따라 중증환자 치료 효과 증진 - 매년 고압산소요법 의료수가 인상으로 국민 의료 혜택 확산 - 지속적 적응증 확대로 국민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

키워드

의료기기 범부처 연구개발정보 - 키워드 > 국문키워드, 영문키워드
국문키워드 고압산소요법,압력손상,고압산소챔버
영문키워드 Hyperbaric oxygen therapy,Barotrauma,Hyperbaric oxygen chamber

연구개발 성과

논문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성과발생년도, 발행국가, SCI여부,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총 저자 수, 논문 주언어, 논문 타언어, 학술지명, 게시 시작 페이지 번호, 게시 종료 페이지 번호, doi 번호, 학술지최종게재일, 볼륨 번호, ISSN 번호
과제번호 RS-2020-KD000230 성과발생년도 2021
발행국가 대한민국 SCI N
주저자명 왕순주 교신저자명 왕순주
공동저자명 김선구, 강푸른
총 저자 수 3
논문 주언어 재난 대응 기반으로의 국내 고압산소치료기 조사
논문 타언어 재난 대응 기반으로의 국내 고압산소치료기 조사
학술지명 한국방재학회지
게재 시작 페이지 번호 23 게재 종료 페이지 번호 31
doi 번호 - 학술지최종게재일자 2021-09-30
볼륨번호 21(6) ISSN NO 1738-2416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성과발생년도, 발행국가, SCI여부,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총 저자 수, 논문 주언어, 논문 타언어, 학술지명, 게시 시작 페이지 번호, 게시 종료 페이지 번호, doi 번호, 학술지최종게재일, 볼륨 번호, ISSN 번호
과제번호 RS-2020-KD000230 성과발생년도 2022
발행국가 대한민국 SCI N
주저자명 왕순주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총 저자 수 1
논문 주언어 유해가스 사고 시 국내의 대응 기반 : 고압산소치료기 중심으로
논문 타언어 유해가스 사고 시 국내의 대응 기반 : 고압산소치료기 중심으로
학술지명 한국방재학회지
게재 시작 페이지 번호 22 게재 종료 페이지 번호 31
doi 번호 https://doi.org/ 학술지최종게재일자 2022-08-16
볼륨번호 22(5) ISSN NO 1738-2416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성과발생년도, 발행국가, SCI여부,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총 저자 수, 논문 주언어, 논문 타언어, 학술지명, 게시 시작 페이지 번호, 게시 종료 페이지 번호, doi 번호, 학술지최종게재일, 볼륨 번호, ISSN 번호
과제번호 RS-2020-KD000230 성과발생년도 2022
발행국가 대한민국 SCI N
주저자명 왕순주 교신저자명 왕순주
공동저자명 이우섭ㆍ강푸른
총 저자 수 3
논문 주언어 다수 화재 피해자 대비 국내 고압산소치료의 지역적 능력 기초 연구. 대한화상학회지
논문 타언어 A Basic Survey for Regional Capability of Hyperbaric Oxygen Therapy to Multiple Fire Victims
학술지명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게재 시작 페이지 번호 17 게재 종료 페이지 번호 24
doi 번호 https://doi.org/10.47955/jkbs.22.0014 학술지최종게재일자 2022-11-09
볼륨번호 25(2) ISSN NO 1229-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