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ome 의료기기산업 정보 기술정보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본정보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기본정보 > 과제명, 과제번호, 종료년도, 연구기관, 사업명, 연구책임자, 총 연구기간, 연구개발비
과제명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 및 색전증 방지를 위한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 개발과 탐색임상시험 승인 과제번호 HI19C1055
총 연구시작일자 2019-09-18 총 연구종료일자 2023-06-30
사업명 마이크로의료로봇 실용화기술개발사업 연구책임자 장건희
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개발비(천원) 2,639,000

연구요약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요약 > 연구내용, 연구목표, 기대효과, 연구개발성과
연구내용 "① 세부별 연구내용 [1세부]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에 적합한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개발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자기 구동시스템과 보조 피딩장치 개발 및 검증 [2세부] 의료적 유효성 및 안전성을 고려한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의 제작기술과 이를 안전하게 전달•회수하기 위한 보조 자기 카테터 개발 및 검증 [3세부] 폐색성 혈관 병변모델 개발 및 동물실험을 통한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의 의료적 유효성•안전성 검증 ② 연차별 연구내용 ㅁ 1차년도 [1세부]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설계 - 총괄 연구개발 계획 수립 및 구체화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개념 설계 - 자기 구동시스템 및 보조 피딩장치 개념 설계 [2세부]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설계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개념 설계, 제작 프로세스 검토 [3세부]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스펙 제시 및 X-ray 영상 빅데이터 수집 -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 스펙 제시 및 X-ray 영상 빅데이터 수집 ㅁ 2차년도 [1세부] 자기 구동시스템 및 보조 피딩장치 시제품 제작 및 검증,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치료부(드릴팁 등) 설계 및 성능 검증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상세 설계 - 자기 구동시스템 및 보조 피딩장치 상세 설계,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 - 전체 시스템 통합 및 검증 [2세부]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시제품 제작•성능평가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상세 설계,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 [3세부]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시제품의 의료적 실효성 검토, 혈관지도의 정확성 및 의료적 실효성 검토 -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 시제품의 의료적 실효성 검토 및 혈관지도의 정확성•의료적 실효성 검토 ㅁ 3차년도 [1세부]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 마이크로로봇 1차 개선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자기 구동시스템 개선 - 1차 동물실험을 통한 검증 및 3자 공인시험평가 수행 [2세부]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개선 및 생물학적 안전성, 물리 화학적 평가, 전임상 프로토콜 개발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개선•시험평가 수행과 동물실험 프로토콜 개발 [3세부] 1차 전임상 동물실험 수행을 통한 자기 구동시스템과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검토 및 X-ray 영상 빅데이터 확장 - 1차 동물실험 수행을 통한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 검토 및 X-ray 투시영상 빅데이터 확장 ㅁ 4차년도 [1세부]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 마이크로로봇 2차 개선 및 탐색 임상시험계획서 승인 - 통합 시스템 안전성 및 정밀도 개선 - 2차 동물실험을 통한 검증완료 및 탐색 임상시험계획서 승인 [2세부]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2차 개선, 전임상 시료 제작 및 임상 GMP 프로토콜 개발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최종 성능평가 및 임상 GMP 획득 [3세부] 2차 전임상 동물실험 수행을 통한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최종 검증 - 2차 동물실험 수행 및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 최종 검증"
연구목표 "ㅁ 폐색성 혈관질환은 인체 내 혈관이 폐색되어 주변 조직의 혈류공급을 막아 괴사에 이르게 하는 질환으로, 오늘날 현대인의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ㅁ 폐색성 혈관질환의 치료는 방사선 조영기기에 의해 얻어지는 투시영상을 기반으로 혈관 내에 삽입된 가이드와이어 및 카테터를 조작하는 혈관중재시술을 통해 수행됨 ㅁ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 시 가장 큰 한계는 모든 혈관중재시술 도구가 능동적으로 조향 및 구동이 불가능하다는 점으로, 이로 인해 시술 성공률 한계•시술시간 증가•의료진의 방사선 피폭량 증가와 같은 문제들이 있음 ㅁ 또한 터널링을 통해 혈관이 개통된 후에도 혈관의 기계적 손상 등에 의한 시술부위의 재협착이 30~50%에 이르며, 터널링시 생성된 혈전파편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여 다발성 혈관폐색이나 급성 혈관폐색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음 ㅁ 기존 혈관중재시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을 개발할 것임 ㅁ 개발되는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은 ①무선형 마이크로로봇과 이의 전달 및 회수 등을 보조하는 ②보조 자기 카테터, 작동영역 내 자기장을 생성하여 마이크로로봇을 구동하는 ③자기 구동시스템과 조영제/약물 전달•터널링 시 발생하는 혈전 흡입 등의 기능을 통해 시술을 보조하는 ④보조 피딩장치로 구성됨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 자석과 다수의 유연한 다리(Flexible leg)로 구성되어 자기 구동시스템이 생성하는 외부 자기장을 통해 회전하여 추진력을 생성하며, 유연한 다리를 통해 혈관 내벽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추진할 수 있음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의 끝단에는 드릴팁이 탑재되어 터널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로봇 내부 혹은 표면에 약물을 담지하여 정밀한 표적 약물 전달이 가능함 [보조 자기 카테터] - Safety balloon을 통해 혈류를 차단함으로써 터널링 시 발생하는 혈전 파편(Clot debris) 유실을 최소화하고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의 안전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Balloon•스텐트 등이 탑재되어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의 터널링을 통해 개통된 병변부를 확장 및 유지할 수 있음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과 보조 자기 카테터는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상호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의 안전한 전달 및 회수가 가능함. [자기 구동시스템] - 독창적인 경량화 형상으로 개발되어 시술실 내 고정 설치되던 기존 자기 구동시스템과 달리 이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함. - 이동 모듈과 이에 부착된 2개의 Robot arm, 각 Robot arm에 결합된 Backyoke로 구성되며, 각 Backyoke에는 4개의 자성 코어 및 코일이 결합되어 각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작동영역 내에 외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음. [보조 피딩장치] - 다수의 롤러 및 모터가 장착되어 의료진의 손을 대신하여 보조 자기 카테터의 축 방향 이동 및 회전운동을 생성할 수 있음 - Syringe pump와 흡입 pump를 통해 조영제/약물 전달, 혈전 흡입, Balloon inflation/deflation 기능을 수행하여 보조 자기 카테터를 이용한 혈관 확장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음 ㅁ 본 연구에서는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 및 색전증 재발 방지를 위한 마이크로의료로봇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존 혈관중재시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동물실험 및 탐색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통해 의료적 유효성•안전성을 검증할 것임"
기대효과 "[활용계획] ㅁ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핵심 실용화기술 확보 -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용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시제품 및 관련 기술들은 세계적으로 발표된 바 없는 공백 기술들이며, 부정맥 치료에서 비교적 간단한 경로의 병변부까지 진입하기 위한 조향목적으로만 활용되고 있던 자기 카테터 기술을 뛰어넘는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용 핵심 실용화기술임 -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한 치료기술은 각종 능동 제어 플랫폼을 제공하여 시술자의 경험과 노하우에만 의지하던 시술 성공률과 시술 시간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를 통한 치료기술을 제공하여 혈관 조영장치에서 발생하는 X-ray 피폭으로부터 의료진을 보호할 수 있어 차세대 치료기술로 각광 받고 있음 ㅁ 고부가가치 의료 서비스용 로봇시장 경쟁력 확보 - 국내의 전체 수술로봇 시장은 2013년 0.1억 달러에서 연평균 45.1%로 고성장하여 2018년에는 0.5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수술로봇장비 역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세계 수술로봇 시장은 2016년 63.6억 달러에서 연평균 21.6%로 성장하여 2022년에는 205.6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관련사들은 특허를 공개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개방형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어 신규 진입 및 선도업체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음 - 관련 지적재산권을 선점하고 축적된 관련 기술 및 노하우를 국내 연구기관, 산업체 등에 기술이전 함으로써 향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고부가가치 의료용 서비스로봇 산업의 기술경쟁에서 국가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음 ㅁ 개발 기술의 국내외 지식재산권 확보 - 국내외 지식재산권 확보를 위해 한양대학교 특허/기술사업화 전담팀과 협업하여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관련 분야에 대한 정밀한 특허동향 분석 및 trend 분석을 진행할 것임 - 관련 특허동향 파악 및 선행기술 조사를 통해 공백기술을 구체화하고,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회피전략을 수립하여 회피기술을 확보할 것임 ㅁ 기술 사업화 추진 - 국내외 VC 투자자금 및 국내외 엔젤투자자금을 조달하여 기술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으며,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각적인 사업화 방안을 검토하고 글로벌 마케팅을 추진할 계획임 [기대효과] ㅁ 기술적 측면 - 폐색성 혈관질환 시술의 정확도•성공률을 향상시키고 의료진을 방사선 피폭위험에서 보호함으로써 기존 시술의 한계 극복 및 혈관중재시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 - 혈관계 이외도 인체 내 소화계, 비뇨계등의 다양한 기관에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한 중재시술을 활용 가능 ㅁ 경제적, 산업적 측면 - 혈관질환 치료용 마이크로로봇 신사업 시장 개척 - 본 연구과제 개발을 통해 향후 관련시장을 10 % 점유하였을때 42.7억 달러(2018년 시장 기준)의 폐색성 혈관질환 치료용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시장을 개척 가능 - 자기 구동시스템 및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시장 개척을 통해 관련 산업의 일자리 72,000개 창출 효과 예상"
연구개발성과 "① 시제품 개발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개발] ㅁ 맥동류, 심장 박동 등에 의한 외란 속에서도 위치 및 자세 제어 가능 - 위치 정밀도 ≤ 1 mm - 로봇 및 카테터 직경 ≤ 8 Fr(1단계), 6 Fr(2단계) ㅁ 실제적인 폐색 병변부 치료 가능 - 치료기능(터널링, 조영제/약물 전달, 혈전 흡입, Balloon inflation/deflation 등) 3가지 이상 담지 ㅁ 마이크로로봇-카테터 간 선택적인 분리 및 결합이 가능 - 무선형 마이크로로봇의 전달 및 회수 기능 유 [자기 구동시스템 및 보조 피딩장치 개발] ㅁ 마이크로로봇에 생성되는 자기력 및 자기토크 극대화를 위한 고출력 자기장 생성가능 - 자기장 세기 ≥ 100 mT - 자기장 경사도 ≥ 1 T/m ㅁ 고주파 회전자기장 및 혈전 흡입기능을 통해 색전증 위험 방지 - 자기장 주파수 ≥ 10,000 rpm - 혈전 흡입기능 유 ㅁ 복잡한 형상의 혈관에서도 마이크로로봇을 정밀하게 제어 가능 - 자기장 제어 지점 수 ≥ 2개 ㅁ 가볍고 이동가능하여 설치 및 보관이 편리하며, 기존 X-ray기기와 호환 가능 - 자기 구동시스템 무게 ≤ 1,000 kg (비교, 기존 사용화 시스템 약 8,000 kg) ② 탐색 임상시험계획서 승인 [임상 GMP 획득] ㅁ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카테터 - 시브이바이오 임상 GMP 획득 ㅁ 자기 구동시스템 및 보조 피딩장치 - 한양대학교 임상 GMP 획득 [3자 공인시험평가 완료] ㅁ 무선형 마이크로로봇 및 보조 자기 카테터 - 세포독성 외 5종 / 생적합성 / 물리화학적 안전성 등 ㅁ 자기 구동시스템 및 보조 피딩장치 - 전기•기계적 안전 / 방사선 안전 / 전자파 안전 등 [동물실험 완료] ㅁ 동물실험 프로토콜 및 폐색성 동물실험 모델 확보 ㅁ 1차 동물실험 (돼지모델 2마리) - 실제 혈관 주행 실험, 개선점 도출 ㅁ 2차 동물실험 (돼지모델 12마리) - 실제 병변 모델 내 주행•치료 실험 - 의료적 유효성•안전성 검증자료 도출 ③ 정량적 성과 [논문게재] - 1단계 3편, 2단계 6편, 연구종료후 3년 이내 3편 총10편이상을 SCI 국제저명학술지 게재 - 이중 3편이상을 상위 1%이내인 최상위급 SCI 국제 저명학술지에 게재 [특허출원 및 등록] - 국내출원: 1단계 5건, 2단계 5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3건 - 국내등록: 1단계 1건, 2단계 5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9건 - 국제출원: 1단계 2건,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2건 - 국제등록: 2단계 1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5건 [기타지식재산권] - 2단계 1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2건 [사업화] - 연구종료후 3년 이내 2건 [제품개발] - 시제품개발: 1단계 4건,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1건 - 상품화출시: 연구종료후 3년 이내 1건 [공정개발] - 1단계 2건, 2단계 1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1건 [신규고용창출] - 1단계 1건,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5건 [인력지원] - 석사: 1단계 6건,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3건 - 박사: 1단계 8건,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3건 [국제협력] -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3건 [품목승인/인증/허가] - 승인: 2단계 1건 - 인증: 2단계 1건 - 허가: 연구종료후 3년 이내 1건 [임상시험] - 연구종료후 3년 이내 2건 [비임상시험] - 2단계 5건 [고용창출] - 1단계 1건, 2단계 2건, 연구종료후 3년 이내 5건"

키워드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키워드 > 국문키워드, 영문키워드
국문키워드 자기 구동시스템, 무선 마이크로로봇, 색전증, 폐색성 혈관질환, 중재시술
영문키워드 Magnetic navigation system, Untethered microrobot, Embolism, Occlusive vascular disease, Intervention

연구개발 성과

논문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SCI여부, 연구책임자역할,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논문제목(영문), 학술지명, 서지사항, 게재년월일, 병기표기, ISSN NO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19
국내외구분 국외 SCI Y
연구책임자역할 교신저자
주저자명 정은수 교신저자명 장건희
공동저자명 이원서, 김나현, 김종율, 박지민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최적 자화방향을 가지는 자석을 활용한 자기 카테터 끝단의 조향 능력 향상 연구
논문제목(영문) 최적 자화방향을 가지는 자석을 활용한 자기 카테터 끝단의 조향 능력 향상 연구
학술지명 AIP Advances
서지사항 집 / 9권 / 12호, 페이지(125230 - 0)
게재년월일 2019-12-23 병기표기 2
ISSN NO 2158-3226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SCI여부, 연구책임자역할,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논문제목(영문), 학술지명, 서지사항, 게재년월일, 병기표기, ISSN NO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19
국내외구분 국외 SCI Y
연구책임자역할 교신저자
주저자명 박지민 교신저자명 장건희
공동저자명 이원서, 김종율, 정은수, 김나현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혈관 내 무선 자기로봇의 전달 및 회수을 위한 선택적 분리 및 결합 제어
논문제목(영문) 혈관 내 무선 자기로봇의 전달 및 회수을 위한 선택적 분리 및 결합 제어
학술지명 AIP Advances
서지사항 집 / 9권 / 12호, 페이지(125136 - 0)
게재년월일 2019-12-23 병기표기 단독사사
ISSN NO 2158-3226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SCI여부, 연구책임자역할,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논문제목(영문), 학술지명, 서지사항, 게재년월일, 병기표기, ISSN NO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외 SCI Y
연구책임자역할 교신저자
주저자명 Kim BS 교신저자명 Shin J
공동저자명 Lee Y,Kim HJ,Shin JH,Park JK,Park HC,Lim YH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Influence of changes in body fat on clinical outcomes in a general population: a 12-year follow-up report on the Ansan-Ansung cohort in the Korean Genome Environment Study.
논문제목(영문) Influence of changes in body fat on clinical outcomes in a general population: a 12-year follow-up report on the Ansan-Ansung cohort in the Korean Genome Environment Study.
학술지명 Annals of medicine
서지사항 집 / 53권 / 1호, 페이지(0 - 0)
게재년월일 2021-12-01 병기표기 2
ISSN NO 0785-3890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논문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SCI여부, 연구책임자역할, 주저자명, 교신저자명, 공동저자명,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논문제목(영문), 학술지명, 서지사항, 게재년월일, 병기표기, ISSN NO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외 SCI Y
연구책임자역할 교신저자
주저자명 Eunsoo Jung 교신저자명 Gunhee Jang
공동저자명 Jaekwang Nam, Wonseo Lee, Jongyul Kim
인원수 외국인공동저자수
논문제목 Crawling Magnetic Robot to Perform a Biopsy in Tubular Environments by Controlling a Magnetic Field
논문제목(영문) Crawling Magnetic Robot to Perform a Biopsy in Tubular Environments by Controlling a Magnetic Field
학술지명 Applied Sciences
서지사항 집 / 11권 / 11호, 페이지(0 - 0)
게재년월일 2021-06-07 병기표기 단독사사
ISSN NO 2076-3417

지식재산권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출원
지식재산권명 자기장 발생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장 발생 장치
출원/등록일 2021-07-02 출원/등록번호 10-2021-0086839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N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출원
지식재산권명 자기장 제어 장치
출원/등록일 2021-10-22 출원/등록번호 10-2021-0142088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N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등록
지식재산권명 자기 구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 제어 방법
출원/등록일 2021-08-06 출원/등록번호 10-2289065-0000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등록
지식재산권명 자기장 구동 시스템
출원/등록일 2021-05-20 출원/등록번호 10-2256332-0000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N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등록
지식재산권명 마이크로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
출원/등록일 2021-08-25 출원/등록번호 10-2295728-0000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출원
지식재산권명 카테터 시스템
출원/등록일 2021-11-25 출원/등록번호 10-2021-0164662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N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지식재산권 > 과제번호, 발생년도, 국내외구분, 출원/등록 여부, 지식재산권명, 출원/등록일,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국가, PCT 출원여부, 출원/등록기관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국내외구분 국내 출원/등록 여부 출원
지식재산권명 자기장 발생 모듈
출원/등록일 2021-09-16 출원/등록번호 10-2021-0124158
출원/등록국가 대한민국 PCT 출원여부 N
출원/등록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품개발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0
기업유형 중소기업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무선 마이크로로봇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브이바이오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129-86-59373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이전_기존업체_상품화
개발완료일 2020-11-10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가이딩 카테터와의 선택적인 분리 및 재결합을 통해 안전한 혈관 내 진입 및 회수, 회전자기장을 통한 터널링 운동으로 폐색 병변부 개통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0
기업유형 기타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자기 구동시스템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보유자의 직접사업화_창업
개발완료일 2020-10-31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병변부가 위치한 작동영역 내 자기장 생성, 가이딩 카테터의 조향과 무선 마이크로로봇의 이동, 조향 및 터널링 운동 생성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0
기업유형 기타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피딩로봇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보유자의 직접사업화_창업
개발완료일 2020-10-30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가이드와이어와 가이딩 카테터의 전/후진 이동, 조영제/약물 전달, Balloon 확장 및 Suction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0
기업유형 중소기업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가이딩 카테터
개발업체명 시브이바이오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129-86-59373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보유자의 직접사업화_기존업체_상품화
개발완료일 2020-11-10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무선 마이크로로봇의 전달/회수, Safety balloon을 통한 터널링 시 발생 가능한 Atheroma particle의 외부 유출 방지, 내부 Lumen을 통한 조영제/약물 전달, Suction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기업유형 중소기업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가이딩카테터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브이바이오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129-86-59373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보유자의 직접사업화_기존업체_상품화
개발완료일 2021-10-01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무선 마이크로로봇의 전달/회수, Safety balloon을 통한 터널링 시 발생 가능한 Atheroma particle의 외부 유출 방지, 내부 Lumen을 통한 조영제/약물 전달, Suction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기업유형 중소기업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마이크로로봇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브이바이오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129-86-59373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이전_기존업체_상품화
개발완료일 2021-11-01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가이딩 카테터와의 선택적인 분리 및 재결합을 통해 안전한 혈관 내 진입 및 회수, 회전자기장을 통한 터널링 운동으로 폐색 병변부 개통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기업유형 기타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RAMAN system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보유자의 직접사업화_기존업체_상품화
개발완료일 2021-08-02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병변부가 위치한 작동영역 내 자기장 생성, 가이딩 카테터의 조향과 무선 마이크로로봇의 이동, 조향 및 터널링 운동 생성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제품개발 > 과제번호, 발생년도, 기업유형, 개발유형, 개발(시) 제품명, 개발업체명,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개발완료일,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기업유형 기타 개발유형 시제품개발
개발(시) 제품명 Feeding Robot
개발업체명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표자
사업자 등록번호 206-82-07306 고용창출인원수
사업화 형태 기술보유자의 직접사업화_기존업체_상품화
개발완료일 2021-05-03 제품출시일
용도 및 성과의의 가이드와이어와 가이딩 카테터의 전/후진 이동, 조영제/약물 전달, Balloon 확장 및 Suction

비임상시험실시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가이딩카테터호환성)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가이딩카테터 호환성 : 2.43mm 이하 (8F 카테터 삽입기), 호환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수축)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수축 : 1초 이하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팽창에의한 손상과누출)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팽창에 의한 손상과 누출 : 누출, 파열, 탈출 없음.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표면시험)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표면시험 : 결함 없음, 파손 없음.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무선 마이크로로봇 가이딩카테터 전개력 성능 평가
비임상시험기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IBRE 의용생체신뢰성평가연구실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1-17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시험군인 시브이바이오의 마이크로로봇 가이딩카테터와 대조군인 Cook Medical사의 Lumax 가이딩카테터와 전개력을 비교평가 한 결과 유사한 값을 갖으며, 유의미한 차이는 없음을 확인함.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3건 (파열강도, 부식저항, 기밀성(공기,액체))
비임상시험기관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2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1. 파열강도 : 32N (적합) / 2. 부식저항 : 부식의 징후가 없음. / 3. 기밀성(공기,액체) : 누출없음.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공칭치수)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공칭치수 : 5% 범위 이내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풍선파열용량)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풍선파열용량 : 3.0cc, Burst Direction : axial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의료용 취관 및 체액 유도관의 성능시험 (풍선팽창용량)
비임상시험기관 (주)시브이바이오 부설연구소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02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풍선팽창용량 : 풍선외경 : 5% 범위 이내, 파손 없음 (적합)
의료기기 연구개발정보 - 연구개발 성과 - 비임상시험실시 > 과제번호, 발생년도, 비임상시험명, 비임상시험기관,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국내외구분, 국가, 내용
과제번호 HI19C1055 발생년도 2021
비임상시험명 Swine CTO model을 이용한 마이크로로봇 및 가이딩 카테터의 유효성 평가
비임상시험기관 심뇌혈관질환 유효성평가지원센터 비임상시험 승인날짜 2021-12-20
국내외구분 국내 국가 대한민국
내용 ㈜시브이바이오에서 연구개발한 마이크로로봇 및 가이딩 카테터의 임상 적용과feasibility를 평가하기 위해 의뢰사에서 요청한 프로토콜에 따라 2 마리의Yucatan miniature pig 의 Lt. SFA 내에 balloon injury와 고지방식이를 병행하여 혈관 폐색 모델(Chronic Total Occlusion, CTO)을 유도하였으며, CTO model 제작 6w 후 병변 부위에 마이크로로봇이 부착된 가이딩 카테터를 삽입하여 마이크로로봇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CTO model의 제작에는 혈관의 길이 및 직경에 대한 QVA 정량 평가 후 Lt. SFA의 중간부(middle portion)를 중심으로 길이 100 mm 범위에서 10-15회의 balloon injury를 수행하여 혈관 폐색을 유도하였다. model 제작일로부터 2w와 4w 경과 후 혈관 폐색을 확인하기 위해 혈관조영 추적관찰을 실시하였으며, 6w 후 마이크로로봇 자기구동시스템을 평가 하였다. 전체 평가기간 동안 시술로 인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F/U 기간 동안 사망한 개체는 없었다. ㈜시브이바이오에서 개발한 말초혈관 폐색 병변 치료용 마이크로로봇은 miniature pig의 혈관 내에서 마이크로로봇과 가이딩 카테터의 분리 및 전/후진이 가능하였으며, 혈관 내 전진된 마이크로로봇을 suction 기능을 이용해 가이딩 카테터와 결합하여 회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