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home 의료기기산업 정보 기술정보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KRAS 유전자, 돌연변이 [드롭렛 디지털 중합효소연쇄반응]

* 아래 자료는 절대적 기준은 아니며, 검토당시 학회 및 신청자 의견을 참고로 작성된 것으로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순번, 분류번호, 코드, 행위명, 구분코드, 사용대상내용, 사용목적세부내용, 사용방법 세부내용
순번 분류
번호
코드 행위명 구분코드 사용대상내용 사용목적세부내용 사용방법세부내용
1 신청기술 "직결장암환자(Colorectal Cancer, CRC) 표적분석대상: KRAS Gene (Codon 12의 G12A, G12D, G12R, G12C, G12S, G12V, Codon 13의 G13D)" KRAS Gene 검사를 통해 표적치료약제 Cetuximab (Erbitux®) 투여를 위한 환자 선별 조직 검체에서 DNA를 추출하고, 핵산을 증폭시켜 드롭렛을 구획화한 후 중합 효소연쇄반응하고 특이표지자를 통해 유전자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함
2 C5831 나583나(1) 비유전성 유전자검사-중합효소연쇄반응-확장-이중중합효소연쇄반응, 중합효소연쇄반응-교잡반응 이미 검토된 기술 "대장암 환자 표적분석대상: KRAS Gene" "대장암 환자의 분자병리학적 진단 및 치료방침 결정을 위함 - 대장암 환자 군에서 Cetuximab(Erbitux), Pantiumumab(Vectibix) 치료여부를 결정하기 위함)" "1) 환자의 종양 조직에서 핵산을 추출한다. 2) KRAS유전자 특이 시발체(primer)와 돌연변이 특이표지자(probe)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한다. 3) 증폭 반응 양상을 판독하여 돌연변이 유무를 확인한다. 4) 의사는 측정된 결과가 환자의 상태와 합당한가를 규정된 정도 관리 범주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5) 판단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으로 재검하거나 담당의에게 확인하는 방법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검사결과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검토결과

검토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