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home 의료기기산업 정보 기술정보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휴대형 심전계를 이용한 심전도 검사

* 아래 자료는 절대적 기준은 아니며, 검토당시 학회 및 신청자 의견을 참고로 작성된 것으로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순번, 분류번호, 코드, 행위명, 구분코드, 사용대상내용, 사용목적세부내용, 사용방법 세부내용
순번 분류
번호
코드 행위명 구분코드 사용대상내용 사용목적세부내용 사용방법세부내용
1 신청기술 심전도 검사를 요 하는 자, 부정맥 심장질환자 또는 의심환자 "심전도 검사를 요하는 환자로서 (1) 심방세동 (2) 빈맥 (3) 서맥 (4) 정상 (동리듬) (5) 기타 부정맥 등에 대한 부정맥 질환에 대한 분석결과 정보를 환자와 의료진에게 제공하며, 의료진은 분석결과를 부정맥 질환에 대한 진단보조 수단으로 사용" "1. 실시 방법 1-1). 병원 내에서 심전도 검사 병원 내에서 외래환자 입원환자 등을 대상으로 심전도 검사를 하여 부정맥 질환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한다.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기기의 전극에 좌우 손가락을 30초 동안 접속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며 이것을 1회 검사한 기준으로 한다. 1-2). 일상생활에서 간헐적으로 심전도 검사 의사는 심전도 검사를 요하는 환자로서 판단되는 경우, 의사의 처방에 의해 환자는 심전도기기를 대여 받아 일상생활에서 이상증세 발현 시 간헐적으로 심전도 검사를 한다.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기기의 전극에 좌우 손가락을 30초 동안 접속하여 심전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대여기간은 의사의 재량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지만 대여기간 3일을 기준으로 1회 검사한 것으로 본다. 1-3). 원격의료 서비스 심전도 데이터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기능 사용이 가능하지만 원격의료 서비스는 포함하지 않는다."
2 E6546 나725다(3) 일상생활의간헐적심전도감시[1회당] 이미 검토된 기술 심전도 검사를 요하는 환자 "① 상심실성 부정맥 ② 심실성 부정맥 ③ 기외수축 ④ 동기능 부전 증후군 ⑤ 방실 차단 ⑥ 실신의 진단 ⑦ 부정맥과 일상생활과의 연관성 판정 ⑧ 부정맥 치료 효과의 판정" "① 환자의 가슴에 전극을 붙인다. ② 허리 등에 심전도 기록기를 부착한다. ③ 증상의 발현이 1일 안에 잘 나타나지 않는 경우 사용하며 보통 3일 정도 검사를 실시한다. ④ 환자로 하여금 증상이 있을 시 단추를 누르게 하여 이 동안에만 심전도가 자동으로 기록되게 한다. ⑤ 이후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록된 심전도를 분석하여 부정맥, 허혈성 심질환 등의 유무를 진단할 수 있게 한다."
3 E6541 나725가 심전도검사-심전도기록및판독[표준12유도] 이미 검토된 기술 심전도 검사를 요하는 환자 "① 심혈관계 질환이 의심될 때 ②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추적하는 경우 ③ 수술환자의 수술전 검사 ④ 전신질환 즉 신부전, 당뇨병, 자가면역질환 등이 심장을 침범했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 ⑤ 약물이나 전해질 이상에 의한 변화를 진단 및 추적할 때" "① 12도자를 사지와 흉부에 부착한다. ② 심전도 기록한다. ③ 심전도 기록을 판독한다."

검토결과

검토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