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home 의료기기산업 정보 기술정보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촬영술

* 아래 자료는 절대적 기준은 아니며, 검토당시 학회 및 신청자 의견을 참고로 작성된 것으로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순번, 분류번호, 코드, 행위명, 구분코드, 사용대상내용, 사용목적세부내용, 사용방법 세부내용
순번 분류
번호
코드 행위명 구분코드 사용대상내용 사용목적세부내용 사용방법세부내용
1 신청기술 X선 촬영결과 흉부, 부비동, 골격근 병변 유소견자(유방병변 제외) X선 촬영 후 병변의 진단 및 추적관찰 "* 해당장비는 Radiography, Fluoroscopy, Digital Tomosynthesis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나 신청기술은 Digital Tomosynthesis에 한함 ① PA(posterior-anterior) 또는 AP(anterior-posterior)자세로 X선 튜브가 ±17°(34°)로 스윕하며 최대 50장의 이미지를 획득한다.(노출시간 이미지 당 10ms, 촬영 각도는 촬영 부위별로 변동되지 않음) ② 획득한 다수의 이미지를 재조합하여 모니터를 통해 2.5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2 GZ003 도2나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촬영술-흉부 이미 검토된 기술 흉부 X선 촬영 후 유소견자(단, 유방 병변제외) 흉부 병변의 진단 및 추적관찰 "① 흉부 후방-전방(posterior-anterior, PA) 또는 전방-후방(anterior-posterior, AP) 자세로 사전 검사(일반 검사와 동일)함 ② X선 튜브가 ±15°(30°)스윕각도(sweep angle)로 11.4초간 노출함 ③ 획득한 60장의 투사 영상을 3D 영상 재구성 소프트웨어(VolumeRad)를 이용해 41장의 3D 영상을 재구성한다(5mm 절편 두께의 경우) ④ 투사 영상은 변경 불가능하며, 처리(processing)영상은 두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함 ⑤ 노출은 자동/수동(AEC/FIX)이 모두 가능함"
3 GZ004 도2다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촬영술-부비동 이미 검토된 기술 부비동 단순촬영 결과 부비동염 유소견자 및 만성 또는 재발성 부비동염 환자 부비동염의 진단 및 추적관찰 "① 부비동을 PA (posterior-anterior) 또는 AP(anterior-posterior) 자세로 사전 검사 ② X선관이 20°~40° 정도의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출하여 획득한 투사 자료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함"
4 GZ005 도2라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촬영술-근골격 이미 검토된 기술 근골격 질환의 진단 및 추적관찰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 근골격계 방사선 촬영 후 병변 유소견자 근골격을 PA (posterior-anterior) 또는 AP(anterior-posterior) 자세로 사전 검사 후, X선관이 8°~40° 정도의 각도로 움직이면서 노출하여 획득한 투사 자료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함

검토결과

검토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