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home 의료기기산업 정보 기술정보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여부 정보
복강경 수술 시 근적외선 조명을 이용한 수술중 요관 식별술
* 아래 자료는 절대적 기준은 아니며, 검토당시 학회 및 신청자 의견을 참고로 작성된 것으로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순번 | 분류 번호 |
코드 | 행위명 | 구분코드 | 사용대상내용 | 사용목적세부내용 | 사용방법세부내용 |
---|---|---|---|---|---|---|---|
1 | 신청기술 | 산부인과 및 대장외과의 하복부 또는 골반부의 복강경 수술·시술 중 실시간으로 요관의 확인이 필요한 환자 | 근적외선을 이용한 발광 카테터를 통해 요관을 가시적으로 식별하고 수술 중 실시간으로 요관의 의인성 손상을 예방하기 위함 | "① 방광경을 통해 가이드 와이어와 요관 카테터를 요관에 삽입한 후, 그 위로 조명 카테터를 삽입한 뒤 가이드 와이어와 요관카테터를 제거한다. ② 카테터 삽입이 완료되었다면 조명 카테터의 근적외선 조명을 가시화하기 위하여 내장기능검사용기기에 연결한다. ③ 복강경 하에서 내장기능검사용 기기의 IRIS 모드를 켠다. ④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수술 중 방출된 빛을 감지하여 요관을 가시화 한다. ⑤ 수술이 끝나면 조명 카테터를 제거한다." | |||
2 | R3262 | 자326나 | 요관스텐트설치술(방광경하) | 이미 검토된 기술 | "1. 요관협착, 2. 요관손상, 3. 요관종양, 4. 요관결석, 5. 요관결석 수술후, 6. 요관누공, 7. 거대요관, 8. 중복요관, 9. 요관폐색 " | "① 쇄석위(lithotomy position)에서 남성의 경우 음경 및 음낭, 회음부 주변을 넓게 소독하고, 여성의 경우 요도구, 질, 소음순, 대음순 부위를 넓게 소독한다. ② 마취를 위해 요도를 통해 국소마취제 젤을 투여한다. ③ 방광경을 요도를 통해 방광내로 삽입 후 요관스텐트를 삽입할 요관구를 관찰한다. ④ 방광경을 이용하여 유도철선(guide-wire)이 삽입된 요관스텐트를 요관구를 통해 삽입 후 계속 진입시켜 요관스텐트가 신장에까지 다다르게 한다. 이때 요관스텐트의 표시점을 확인하며 요관스텐트가 제대로 신장까지 올라가는지 확인한다. ⑤ 유도철선을 제거하고 요관스텐트의 한쪽 끝이 방광내부에 제대로 위치한 것을 확인 후 시술을 마친다." | |
3 | R3321 | 자332나 | 신루설치술(경피적[방사선료포함]) | 이미 검토된 기술 | "1. 수신증으로 상부요로전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2. 하부요로손상 및 요누출 등으로 상부요로전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 "① 초음파 및 방사선 투시 하에서 신배를 확인 후 천자침을 삽입한다. ② 천자침이 집뇨계에 위치하였다고 판단되면 이를 통해 유도철선을 신우내로 삽입한다. ③ 천자부위에서 신우까지의 통로를 12Fr까지 확장한 후 신루카테터를 삽입한다. ④ 신루카테터를 피부에 고정한다." | |
4 | R0141 | 자414나(1)(나)1) | 전자궁적출술(림프절절제를하지않는경우)-복부접근(복강경하)-단순 | 이미 검토된 기술 | "1. 자궁근종 2. 자궁 선근증 3. 자궁내막증 4. 자궁무력증" | "1. 배꼽 및 주위에 1-2cm 크기의 피부절개를 하고 투관침을 삽입하여 기복을 만든다. 2. 피하 지방이 드러나면 피하지방층을 절개하고 출혈이 있을경우 적절한 지혈을 시행한다. 3. 양측 및 중앙 하복부 지점에 1-2cm 크기의 피부 절게를 하고 투관침을 삽입한다. 4. 자궁거상기를 이용해 자궁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한쪽 원형인대(round lig)의 결찰술을 시행한다. 5. 반대쪽에도 시행한다. 6.1) 난소를 보존할 경우, utero- ovarian lig와 fallopian tube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broad lig.의 posterior leaf에 창문을 만들고 utero-ovarian lig.와 fallopian tube를 결찰한다. 2) 난소를 제거할 경우, utero- ovarian lig와 fallopian tube의 아래 부분에 위치한 broad lig.의 posterior leaf에 창문을 만들고 위로는 infundibulopelvic lig.까지 아래로는 uterine artery까지 확장시킨후 infundibulopelvic lig.를 결찰한다. 7. 반대쪽에도 시행 8. 한쪽 broad lig.의 anterior leaf와 posterior leaf를 분리한 다음 가위로 anterior leaf를 열고 vesico-uterine fold를 따라서 절개한 후 bladder peritoneal reflection을 lower uterine segment로부터 분리하고 방광을 박리한다. 9. 반대쪽에도 시행 10. 양측 broad lig.의 posterior leaf을 절개하여 cervix 뒤에 위치한 uterosacral lig.까지 절개한 후 한쪽 internal os 부위에서 uterine artery에 수직하게 소작절단한다. 11. 반대쪽에도 시행 12. lower uterine isthmus와 uterine vessel 사이를 clamping하고 잘라준 후 cardinal lig를 결찰. 13. 반대쪽에도 시행 14. uterosacral lig.를 clamping 한 후 잘라주고 결찰한다. 15. 방광 및 직장을 충분히 박리한 다음 양쪽 vaginal angle을 clamping한 후 curved scissor를 이용해 cervix 전체 및 질 부위가 제거되도록 절개한다. 16.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side-to-side로 continuous 하게 vaginal cuff closure를 시행하고 이때 stump prolapse 예방을 위해 양쪽 끝에 uterosacral lig. Stump와 cardinal lig.를 포함하도록 한다. 17. pelvic cavity에 drain을 삽입 18. Pelvic peritoneum을 reperitonealization 시킨다.(선택) 19. 복막과 근육, 근막, 피하층, 피부를 차례대로 봉합한다." | |
5 | Q1261 | 자267나(1) | 결장절제술(아전절제[우반및좌반결장동시절제또는좌반및에스상결장동시절제)-림프절청소포함 | 이미 검토된 기술 | "1.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염증성 장질환 2. 가족성 용종증 3. 만성변비(전대장무력증) 4. 결장폐색 등" | "1. 다양한 길이로 복벽을 절개한다. 2. 창상의 출혈부위를 지혈한다. 3. 피하 및 근막, 그리고 복막을 절개하여 복강 내로 접근한다. 4. 병변의 위치, 상태 확인한다. 5. 수술시 요관, 고환 또는 난소 정맥총, 십이지장, 비장, 신장 등의 손상에 주의한다. 6. 전결장을 후복벽으로부터 박리한다. 7. 상장간막동정맥, 하장간막동정맥, 좌우결장동정맥, 중결장동정맥, 회맹장동정맥, 에스상결장동정맥 등 주요 혈관을 확인한다. 8. 주요혈관을 병변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찰, 지혈후 장간막을 후복막으로부터 분리한다. 9. 전결장을 근위부는 회장원위부에서, 원위부는 직장근위부에서 절제한다. 10. 필요에 따라 수기 또는 자동문합기를 이용하여 소장직장문합술을 시행한다. 11. 문합부위 확인후 당겨지지 않는지 확인한다. 12. 장간막 결손을 봉합사를 사용하여 복원한다. 13. 지혈, 세척 후 필요시 배액관 삽입한다. 14. 절개창을 봉합한다. 15. 소독거즈로 닦고 드레싱한다." | |
6 | M0065 | 자6-1 | 요관카테터법 | 이미 검토된 기술 | "1. 요관결석에 의한 폐색 2. 역행성요관, 신우조영술을 위한 전처치 3. 심한 전립선비대증, 신경인성방광에 의한 폐색 4. 신우신염 등 요로감염으로 인하여 감염뇨의 배출 5. 임신중 요관 결석으로 인한 보존적 요법 등등" | "① 쇄석위(lithotomy position)에서 남성의 경우 음경 및 음낭, 회음부 주변을 넓게 소독하고, 여성의 경우 요도구, 질, 소음순, 대음순 부위를 넓게 소독한다. ② 마취를 위해 요도를 통해 국소마취제 젤을 투여한다 ③ 방광경을 요도를 통해 방광내로 삽입 후 요관스텐트를 삽입할 요관구를 관찰한다. ④ 방광경을 이용하여 유도철선(guide-wire)이 삽입된 요관스텐트를 요관구를 통해 삽입 후 계속 진입시켜 요관스텐트가 신장에까지 올라가는지 C-arm으로 확인한다. 요관스텐트를 유도철선을 따라 요관구를 통해 삽입 후 계속 진입시켜 요관스텐트가 신장에까지 다다르게 하고 이를 C-arm으로 확인한다. ⑤ C-arm과 방광경 혹은 요관경을 이용하여 요관스텐트의 표시점을 확인하며 요관스텐트가 제대로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⑥ 유도철선을 제거하고 요관스텐트의 한쪽 끝이 방광내부에 제대로 위치한 것을 확인 후 시술을 마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