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DCC Insight
home 알림마당 MDCC Insight
[서울대학교병원 이종희 팀장] 정보의 홍수 시대 내가 원하는 의료기기 종합 정보를 얻고 싶다면?
작성자 | 김지애 | ||
---|---|---|---|
작성일 | 2024-07-09 | 조회수 | 2300 |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의 홍수 시대 내가 원하는 의료기기 종합 정보를 얻고 싶다면?
서울대학교병원 전주기의료기기지원부 사용적합성평가실
이종희 팀장
.jpeg&systemFileName=1720499870348.jpeg)
당신의 의료기기 정보력을 높이고 싶다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가 운영하는 ‘의료기기산업 종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하십시오. 생각 이상의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의료기기와 관련된 통계, 국가 연구 개발 사업, 교육 행사, 기관별 동향, 급여 대상 여부, 법령, 임상시험, 해외 진출, 산업 보고서, 가이드라인, 혁신의료기기 지정, 전문가 무료 상담 신청, FAQ 등의 정보가 망라되어 있습니다.
저의 업무 노하우를 공개합니다.
“의료기기 관련 법률, 규정 변화를 잘 따라오고 있으신가요?”
“남들은 다 알고 있는 각종 가이드라인, 산업계 동향 정보를 어디서 얻는지 모르지 않았나요?”
“의료기기 관련 연구 사업이 내가 알게 된 순간 마감 날짜가 이미 촉박해 있지는 않으셨나요?”
그렇다면 당신의 정보력은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필자는 03년도에 의공학을 전공하면서 의료기기와 20년 이상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업무의 특징으로 의료기기 관련 산업 동향, 법령 동향, 과제 동향 등 정보를 항상 최신화하고 있어야 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나의 잘못된 정보로 환자, 의료진 또는 의료기기 회사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내 정보가 과연 최신일까?’, ‘내 정보가 최적일까?’의 걱정을 달고 사는 직업입니다.
정보력의 갈증을 실감하던 시기에 국가로부터 대형 센터 구축 과제를 수주받게 되었습니다. 정보 수집과 업데이트를 전담으로 하는 우수 인력을 채용해서 운영해봤지만 결과는 처참한 실패였습니다. 이유는 다뤄야 할 정보 범위 설정, 자료 검색, 검증, 정식 인용 과정, 최신화된 자료의 유지, 홈페이지 유지 비용, 콘텐츠 부족, 생각보다 낮은 효용성 등 고민해야 할 요소가 한두 개가 아니었습니다. 그렇게 투자 대비 효과를 못 보고 실패를 인정하고 있을 때, 우리의 정보 인용이 계속적으로 하나의 사이트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 인터넷 사이트는 ‘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가 운영하는 ‘의료기기산업 종합정보시스템(www.khidi.or.kr/mdtis)’입니다.
이득의 사례를 들어서 설명을 합니다. 국내의 한 훌륭한 단체와 의료기기 산업계 분들의 어려움을 해소 해주는 사례집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참가한 적이 있었습니다. 사례집은 누구나 볼 수 있는 목적의 자료였습니다. 내가 참여한 프로젝트의 내용이 업무에 필요하여 자료를 다운로드하려고 해당기관 홈페이지 접속했으나 함께 개발한 본인조차도 회원이 아니기에 다운로드할 수 없었습니다. 당황했지만 그 자료는 제 기대에 부응하듯 ‘의료기기산업 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별도의 로그인 없이 다운로드할 수 있었습니다. 그것뿐 아니었습니다. 이건 없겠지 싶어서 필자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용역사업으로 개발했던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적용 가이드라인의 모든 자료가 키워드 검색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었습니다.
자료집 다운로드도 큰 장점이지만, 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마음에 듭니다. 특정 단체에서의 뉴스레터를 구독해야지 해당 단체 교육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다 보니 스팸메일처럼 귀찮고, 원하지 않는 내용도 많아 열어보지 않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의료기기산업 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 들어오면 다른 광고성 노출 없이, 굳이 여러 곳을 뒤지지 않아도 최신화된 교육 행사, 굵직한 행사 등이 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 밖에도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정보 등을 제공해주는 사이트가 바로 해당 사이트입니다.
• 과거 수 천만 원 들여서 시장보고서를 구매했었던(눈물) 고퀄리티의 시장 보고서
• 국가과제 무엇을 누가 하고 있는지?
• 국가과제 무엇이 지금 공고 기간인지?
• 1년 전에는 무슨 과제가 나왔기에 우리가 지금 서서히 준비해야 할 단계인지?
• 혁신의료기기 제도가 무엇이고 절차가 무엇인지?
• 따끈따끈한 시장의 통계치는 무엇인지?
• 임상시험은 어떤 것이 진행 중인지?
• 의료기기 전문가라는 분들이 누구인지?
• 최고급 전문가들께 무료 상담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 남들은 무슨 질문을 자주 하는지?
• 전주기의 절차는 어떻게 되고 기관별로 처리기한이 얼마인지?
• 해외 법령 정보, 시장 동향 정보는 한곳에서 볼 수 없을지?
• 해외전시회는 어느 시기에 열리는지?
마지막으로 필자가 이 사이트를 이용하는 꿀팁을 이야기한다면 이 사이트를 인터넷 홈페이지 시작 화면으로 설정해놨습니다. 그랬더니 출근 후 인터넷을 켤 때마다 오늘의 업데이트를 메인화면에서 떡 하니 보게 되므로 따로 추가 업데이트를 찾는 스트레스 없이 주요 정보 등을 내가 원할 때 활용하고 있습니다.
세금으로 만들어진 유익한 사이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라며, 사이트의 활성화로 끊임없이 더 좋은 정보 등을 제공해 주면 좋을 것 같아서 업무 노하우를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AI가 우리의 삶을 빠르게 바꿔가고 있는 것처럼 의료기기 법/제도/정보/사업 등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 나만 뒤처지는 것 같다면 작은 변화가 큰 계기를 만들 것입니다.
※ 본 기고문은 전문가의 개인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안내드립니다.
- 이전글 [메드트로닉코리아 이상수 부사장]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보험급여 전략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