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산업통상자원부

home 알림마당 기관별 지원사업 산업통상자원부

「2022년 바이오나노산업개방형생태계조성촉진사업」 보조사업자 선정 통합 공고

「2022년 바이오나노산업개방형생태계조성촉진사업」 보조사업자 선정 통합 공고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접수마감일,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록일 2022-02-04 조회수 1,530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원문링크 http://www.kiat.or.kr/front/board/boardContentsView.do
접수마감일
첨부파일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2-098호

2022년 바이오나노산업개방형생태계조성촉진사업」

보조사업자 선정 통합 공고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4조 등에 의거하여, 「바이오나노산업개방형생태계조성촉진사업」의 신규 보조사업자 모집에 대해 다음과 같이 통합 공고하오니, 관심 있는 기관은 아래의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1월 28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Ⅰ.

 사업개요

  바이오분야 기업의 사업화 장애 요소 극복 및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을 통한 바이오산업 생태계 활성화 촉진 도모

Ⅱ.

 사업내용

  (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상용화지원) 난분해성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 심화 해소 및 산업적 규제확대 등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부품 상용화 기술 지원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상용화촉진지원)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의 상용화 기업 중심 성장·시장 확대를 위해 시장진입 환경 구축과 수요-공급사간 오픈 비즈니스 협력체계 구축

  (바이오의약품원부자재상용화지원)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체계 구축으로 원부자재 산업 및 국내 공급기업(국산화) 육성과 안정적 바이오의약품 생산 위한 토대 마련


Ⅲ.

 추진 체계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평가위원회

주관기관

참여기관 1

……

참여기관 N

구분

주요 역할

산업통상자원부

- 보조사업 시행 총괄 (사업추진방향 설정)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상위)보조사업자로서 사업관리 전문기관(사업평가 및 관리)

평가위원회

- 연차·최종평가 등 추진실적 평가

주관기관(주관연구개발기관)

- 간접(2차)보조사업자로 사업관리 총괄수행

참여기관(공동연구개발기관)

- 간접(3차)보조사업자로 업무분장에 따라 과제 세부내용 추진

Ⅳ.

 사업비 지원 규모, 기간 및 내용

  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상용화지원

구 분

주 요 내 용

사 업 비

 지원금액 : 935백만원 (2022년)

지원방법

 공모(RFP)

지원기간

 2022∼2024년 (협약체결일로부터 3년 이내)

 * 사업연도 종료 시, 평가를 통해 계속 지원 여부 결정

지원규모

 선정규모 : 1개 주관기관 선정(참여기관과의 컨소시엄 형태 포함)

 총 국고보조금은 연차별 지급

지원내용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상용화 기술 지원

 - 난분해성 플라스틱 대체 신/시제품 제작 지원

 - 성능 및 신뢰성 검증지원

 - 생분해성 플라스틱 설계 및 모델링 기술지도 연계

 상용화 지원플랫폼 구축

  - 소재 라이브러리, 특허 맵 등 기술정보 DB 구축 및 제공

  -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기술 네트워킹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사업화 지원

  - 마케팅 및 전시회 참가 지원, 기술확보 컨설팅 지원 등

기타

 지원 금액 및 지원기간은 평가결과 또는 예산심의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총 국고보조금 지원 규모 등 세부 지원 내용은 사업별 RFP 참조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상용화촉진지원

구 분

주 요 내 용

사 업 비

 지원금액 : 1,000백만원 (2022년)

지원방법

 공모(RFP)

지원기간

 2022∼2025년 (협약체결일로부터 4년 이내)

 * 사업연도 종료 시, 평가를 통해 계속 지원여부 결정

지원규모

 선정규모 : 1개 주관기관 선정(참여기관과의 컨소시엄 형태 포함)

 총 국고보조금은 연차별 지급

지원분야

 글로벌 시장 진출 경쟁력 확보 

 - 온/오프라인 매치업 개최

 - 산업 실태조사 및 보고서 발간 

 기업성장 디딤돌 지원

  - 수요·공급 기업간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운영

  - 디지털 헬스케어 조기성과(Early Harvest) 프로그램 운영

 정책 자문 전문가 그룹 운영

  -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별 전문가 그룹 구성 및 운영

  - 지속적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수요 발굴 및 기업과의 협업체계 구축

 성과분석 및 성과 확산 연구

기타

 지원 금액 및 지원기간은 평가결과 또는 예산심의결과에 따라 변동할 수 있음

* 총 국고보조금 지원 규모 등 세부 지원 내용은 사업별 RFP 참조

  바이오의약품원부자재상용화지원

구 분

주 요 내 용

사 업 비

 지원금액 : 1,000백만원 (2022년)

지원방법

 공모(RFP)

지원기간

 2022∼2025년 (협약체결일로부터 4년 이내)

 * 사업연도 종료 시, 평가를 통해 계속 지원여부 결정

지원규모

 선정규모 : 1개 주관기관 선정(참여기관과의 컨소시엄 형태 포함)

 총 국고보조금은 연차별 지급

지원내용

 기업협력 플랫폼 및 네트워크 구축

 개발·품질 지원 DB 구축

 기술지원 연계 시제품 개발·제작 지원

 제품 맞춤형 시험평가 및 상용화 지원

 바이오원부자재 전문 인력 양성 및 지원

기타

 지원 금액 및 지원기간은 평가결과 또는 예산심의결과에 따라 변동할 수 있음

* 총 국고보조금 지원 규모 등 세부 지원 내용은 사업별 RFP 참조


Ⅴ.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신청방법 : 국고보조금관리시스템(e-나라도움)을 통해 신청

< 온라인 신청방법 >

①(온라인 회원가입) 주관 및 참여기관이 국고보조금관리시스템(e-나라도움, http://www.gosims.go.kr.kr)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등록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 신규회원 가입

② (온라인 등록) 주관·참여기관 및 신청 사업계획서 내용 일부를 기입하는 것으로, 신청·접수시 국고보조금관리시스템(http://www.gosims.go.kr)에 통해 주관기관이 직접 입력*

   * 국고보조금관리시스템 “공모사업 찾기”를 통해 해당 공모 검색후 입력

③ (파일 업로드) 신청 사업계획서 전체의 내용을 작성·업로드하는 것으로, 한글 등 문서파일로 양식을 다운받아 해당내용을 오프라인으로 작성한 후 국고보조금관리시스템(http://www.gsims.g.kr)에 작성한 파일을 업로드   

  문의처 :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 콜센터

온라인 접수 문의

전화번호

e-나라도움 사용자 지원센터 (민간보조사업자 “1번” → 공모문의 “2번” 또는 회원가입 “3번” 선택 후 문의)

1670-9595

□  오프라인 신청

  신청방법 : 신청 사업계획서 및 온라인 신청완료 확인서 제출 

< 오프라인 제출서류 >

① 사업계획서 10부(붙임 양식 참조)

② 사업계획서 필수 별첨자료(붙임 양식 참조)

③ 온라인(e-나라도움) “신청서” 출력본 1부(온라인 접수 완료시 출력 가능)

  접수 및 문의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소재부품장비협력팀

    * 접수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 한국기술센터 4층

    * 전화 : 02) 6009-3935 / E-mail : sunghyun.choi@kiat.or.kr

  접수기간 : 2022년 2월 14일 18시까지


□ 주의사항

  반드시 온라인과 오프라인 신청을 모두 완료하여야 접수 인정

  오프라인 신청은 우편 또는 방문신청 가능하며, 마감시간 전까지 접수처에 도착하여야 함

Ⅵ.

 평가절차 및 기준

 평가절차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산업통상자원부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지침」 준용

사업공

지원신청·접수

평가위원회

종합심의

보조사업자 선정

공모(경쟁)

신청서 접수 및 사전검토

(형식 및 요건검토)

신청기관 발표

(해당분야 전문가 포함 7인 내외 선정위원회 구성)

평가위원회 결과심의 및 최종 확정

평가결과 통보

KIAT

신청기관→KIAT

KIAT

산업통상자원부

KIAT→신청기관

□ 평가기준

   평가항목(총 100점)에 따라 정성 평가하여 고득점 순으로 선정

평가항목

평가요소(내용)

사업계획의 적정성

(40점)

사업목표의 명확성(30점)

 사업 시행계획에 부합하는 사업목표 설정의 타당성

 사업목표 및 세부계획의 적절성

신청사업비의 적정성

(10점)

 사업비 구성의 적정성, 예산의 타당성

 국고보조금 자기부담금(현금 및 현물) 구성의 적정성

 연차별 세부사업비의 구성 및 운용계획 등

추진역량

및 전략

(40점)

추진주체의 능력

(20점)

 전담인력, 조직의 확보계획 및 전문성

 총괄책임자 및 참여인력의 전문성, 참여기관의 적정성

추진체계 및 전략

(20점)

 유관기관과의 연계운영체계 구축방안

 활용기업에 대한 사전 수요조사 등 추진내용의 충실도

 연차별 사업추진 전략의 적절성 및 구체성

기대효과

(20점)

성과 확산 효과(20점)

 해당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파급효과

 해당 산업분야 대상으로 성과확산 계획의 적정성 등

 구축 플랫폼 활용 예상정도 등      

 ※ 세부 평가계획 수립 시 평가 기준 일부 조정 가능


Ⅶ.

 지원절차 및 일정

구 분

일 정(안)

주 요 내 용

사업공고

`22.1월중

 ▶ 산업부 시행계획 근거 사업공고 

사업제안서 접수

`22.2월초

 ▶ 신청서 검토, (필요시) 서류보완 등

평가위원회 구성

및 선정평가

`22.2월중

 ▶ 해당분야 전문가 포함(7인 내외) 

    평가위원회 구성

사업계획서 재검토

`22.3월초

 ▶ 사업계획서 수정보완 및 협약

    체결서류 제출

사업 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22.3월중

 ▶ KIAT↔보조사업자 협약체결

 ▶ 사업비 지급(KIAT→보조사업자)

당해연도 사업 수행

~`22.12월

 ▶ 간접보조사업자 사업 수행 및

    상위보조사업자 사업 관리 실시

 ※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

Ⅷ.

 적용 법령 및 규칙

  주관기관, 참여기관은 사업 수행 시 관련 법령 및 규정 준수

  동 사업은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산업통상자원부 국고보조금 통합관리지침」,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산업기술혁신사업 사업비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등의 법령 및 행정규칙을 적용함.

     * 관련 규정 조회 : 법체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kr/


Ⅸ.

 보조금 지원 조건

□ 지원조건

 보조사업자는 지원신청 시 기획하였던 사업계획에 따라 사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보조금 집행실적 중간보고 또는 사업 종료 등으로 실적보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2개월 내에 사업실적 보고서 및 정산보고서(회계법인의 회계감사보고서 포함)를 제출하여야 함

     * 회계법인의 회계감사보고서는 보조금으로 집행 가능

○ 보조사업자는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 및 상기 기재한 관련 법령에 따라 보조사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교부받은 보조금을 기 제출한 사업계획서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음

 보조금 지원결정 이전에 이미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보조금 지급 이전의 진행 경비성 경상비에 대해서는 인정하지 않으며, 사업비 중 불가피한 집행에 대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별도 승인받은 금액에 대해서만 인정

Ⅹ.

 공통사항

□ 지원자격

   보조사업자(주관·참여기관)는 비영리기관*으로,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이 함께 신청 가능

    * 연구기관, 협회, 단체, 대학 등 공공적 성격을 지닌 비영리 법인  

□ 유의사항

   사업공고 사항 등 충족 과제가 없을 경우 선정하지 않을 수 있음

   전산접수 후 서류제출 시 신청서 내 전산접수번호 및 각종 제출서류가 누락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제출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사업계획서 내용에 허위 기재사실이 발견 시에는 평가·심사대상 제외, 협약 해지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음

   보조사업자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행위로 인해 보조금 교부결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할 수 있음

    - 허위 신청 또는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교부받은 경우

    - 보조금을 다른 용도에 사용한 경우

    - 보조사업자가 법령 및 규정, 보조금의 교부 조건의 내용 또는 법령에 의한 중앙관서의 장의 처분에 위반한 경우

    - 동일 또는 유사한 사업계획으로 다른 기관으로부터 중복하여 보조금을 받는 경우

   접수기간 내에 사업계획서 및 부속서류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거나 제출양식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전산등록이 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등은 지원 제외될 수 있음

   제출된 신청서 및 신청서의 내용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별도로 요청하지 않는 한 변경할 수 없으며 신청서의 경우 사업자 선정 여부와 관계없이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 본 신청과 관련된 일체의 소요 비용은 사업신청자의 부담으로 함

   필요시 신청서 제출자에 대하여 추가적인 제안이나 추가 자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출된 자료는 신청서와 동일한 효력을 지님

    평가위원회 심의 의견등에 따라 과제 목표 및 내용, 연구비 등 조정 가능

    본 공고문은 추후 공고 기간 내 수정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수정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별도 공지 예정

   관련 규정, 요령, 작성가이드 등을 숙지하지 못한 책임은 사업 신청자에게 있으며, 기타 세부사항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판단에 따름

   기타 사전제외기준, 보안등급, 연구윤리 관련사항 등 본 공고문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은 관련 법령 및 규정에 따름


붙임

 사업제안서(RFP)

  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상용화지원 사업

사업명

친환경바이오플라스틱상용화지원

개요 및 

필요성

 개요

 - 난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 심화 해소 및 산업적 규제 확대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상용화 전주기 지원

 필요성 

 - 난분해성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 야기

 -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국내외 규제가 확대되는 추세

 - 국내외 규제 확대에 따라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연평균 20% 수준으로 성장 추세

 - 국내기업들은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며 추후 국내 시장 규모가 5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기존 플라스틱산업과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수요 확대라는 측면에서 관련 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

사업목표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부품 상용화 선도 전주기 지원을 통한 산업육성

 -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상용화 기술지원

 - 바이오 플라스틱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상용화 지원플랫폼 구축

 - 사업화 촉진을 위한 사업화 지원

   * 100% 기업지원 비R&D 사업 추진 (HW 장비구축 추진 불가)

사업내용

 (상용화 기술지원)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상용화를 위한 기술지원 

 - 난분해성 플라스틱 대체 신/시제품 제작 지원

  ·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적용제품 단기상용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 실증 지원

  · 혁신제품 제조공정을 위한 소요 부품 및 공정 부재료 시제품 제작 실증 지원

   * 수혜기업은 공모절차(공고/선정평가)를 통해 선정하며, 단기상용화 아이템 실증을 위한 현물 지원

   ** 시제품 제작 지원 수혜기업은 지원금액의 10% 이상 현금 매칭 추진 필수

   *** 수송기기, 의료/바이오, 섬유, 산업용 포장재, 생활소비재 등 단기 내 수출규제 대상 품목 우선 지원

   **** 수행기관은 수혜기업별 담당 PM(Prject Manager)을 배정하여 전담 지원(지원일지 작성 필수)

 - 성능 및 신뢰성 검증지원

  · 물성 분석, 성능 및 신뢰성 평가지원 / 친환경 해외인증 지원 등

   * 보유 인프라 활용 시험분석 및 평가 무상 지원, 친환경 국내외 인증지원 포함 필수

 - 생분해성 플라스틱 설계 및 모델링 기술지도 연계

   * 시제품 제작 지원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에 대한 내외부 전문가 활용 기술지도 병행

 (상용화 지원플랫폼 구축)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정보 DB 구축 및 기술협력 네트워크

 - 소재 라이브러리, 특허 맵 등 기술정보 DB 구축 및 제공

  · 라이브러리: PLA(2003D, 4032D, 3100HP), PBAT(Enpl 7070M, Ecflex C1200, Kingfa A400), PBS(BiPBS FD92M, Frzeas DA 9003, Enpl G4560M), PCL(Capa 6500), PHA(amrphus PHA, semi-crystalline PHA) 등 12종 필수 포함

   * 고분자 블렌드 및 첨가제 효과 검증 내용, Plylefin과의 비교평가 포함 필수

   ** 대상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열적 특성(DSC, MFI, DMA, TGA, Shear Viscsity), 기계적특성(UTM, Impact Strength, Flexural Strength & mdulus, HDT, Heat sealing test) 프로파일링 포함 필수

  · 특허 맵: 기술소유권, 유망기술, 기술 가치평가, 시드 기술, IP포트폴리오 포함

   * 소재 라이브러리 구축과 연계하여 프로파일링 대상 후보물질 관련 국내외 특허 분석 포함 필수

 -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기술 네트워킹 (성과공유 및 기술교류회 1회/년)

  · 연차별 지원성과 공유 및 기술교류, 기술정보 세미나 추진

 (사업화 지원)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사업화 지원

 - 마케팅 및 전시회 참가 지원

  ·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개별 전시 참가 지원 및 공동관 운영 지원)

  · 온라인 마케팅 관련 홍보물(동영상 등) 제작 지원

 - 기술확보 컨설팅 지원

  · 신규 수요처 발굴 및 VC(Vice f Custmer) 대응 컨설팅

  · 국내외 사업화 확대를 위한 기술침해 대응, 선진사 특허 회피전략 수립 등

   * 컨설팅 지원일지 및 결과보고서 필수 제시

 ※ 성과지표 및 정량적 목표

구분

지표

연차별 목표

2022

2023

2024

합계

상용화 기술지원(#1)

시제품 제작 지원

11건

11건

11건

33

시험분석/평가지원

40건

50건

60건

150

국내외 인증지원

3건

3건

3건

9

상용화 지원플랫폼 구축

소재 라이브러리 구축

12종

14종

14종

40

특허 맵 구축/제공

1건

1건

1건

3

기술교류/성과공유회 운영

1회

1회

1회

3

사업화 지원(#2)

마케팅/전시회 지원

11건

11건

11건

33

컨설팅 지원

5건

5건

5건

15

(#1), (#2) : 지원연도 포함 3년간 지원과제 기여도 반영 매출, 고용 부문 성과조사 및 연차별 결과제시 필수

주요 구축

인프라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상용화 지원플랫폼 구축

 - 소재 및 공정 등 기술정보 구축(소재 라이브러리 등)

 - 기술정보 DB 제공을 통한 기업 핵심 소재 발굴 및 공정지원

활용방안

 국내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 Supply Chain 구축 및 GVC 진입 촉진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 분야 단기 집중 기술지원을 통한 난분해성 소재대체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부품 및 적용제품 국산화 확대

 국내·외 환경규제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등 기업 주력 및 활용사업 다변화(신산업 창출 기회 제공)

사업기간

2022년 ∼ 2024년 (3년)

주관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참여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사업유형

□시험분석기반형 □시생산기반형 ■기술서비스기반형 ■연계확산기반형

사업비

총 사업비

4,305 백만원

총 국고보조금*

2,805 백만원

‘22년도 국고보조금

935백만원

* 총 국고보조금의 경우 연도별 예산 편성·심의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상용화촉진지원 사업

사업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상용화촉진지원

개요 및 

필요성

 (개요)

 - 국가 BIG3 산업의 핵심 분야인 디지털 헬스케어의 시장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비즈니스 환경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성장 가능한 생태계 기반 구축

 (필요성) 

  - ‘무어의 법칙’이 적용되는 디지털 기술 기반 대표적 융합산업인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의 시장 진출 저해요인을 극복하도록 지원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비즈니스 활성화 및 기업·산업의 경쟁력 확보 시급

  -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트랜드 기술 기반 융복합 신시장 창출과, 실질적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대··소 기업간 파트너쉽 등, 지속가능한 생태계 육성 지원 필요

사업목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간 협력과 성장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환경 조성과, 글로벌 시장 진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속성장이 가능한 생태계 기반 구축

  (사업수행 4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중심의 개방형 혁신 비즈니스 환경 조성과 생태계 구축

  - (성과활용 5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레퍼런스 및 글로벌 시장 진출 경쟁 여건 확보와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한 비즈니스 및 사업화 창출

  - (구축 후 10년)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시장 퍼스트무버 경쟁 및 글로벌 유니콘 기업 배출

사업내용

□ 글로벌 시장 진출 경쟁력 확보 지원

  온/오프라인 매치업 개최

  - 이종간 다양한 분야의 수요·공급 기업간 만남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시장 Payer 확대 및 투자 기회 마련 등 비즈니스 공유의 장 마련

  -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공급 기업간 투자·시장 정보 공유 방안 마련 및 운영

  산업 실태조사 및 보고서 발간 

  -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동향 보고서 발간(연 1회)

  -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및 기업의 실태조사와, 최신 트랜드 및 주요 제품·서비스 현황 조사, 산업 발전 개선방안 제언

   * 주요 비즈니스 모델, 시장규모, 기업수, 순이익, 부가가치, 고용, 투자 및 기술개발 현황, 향후 성장 전망 등

  - 국외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및 기업 현황과 최신 트랜드 조사 

   * 글로벌 시장 진출 촉진을 위한 글로벌 경쟁기업·제품·서비스 등 세분화된 심층분석 자료 등

□ 기업성장 디딤돌 지원

  수요·공급 기업간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운영

  -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공급간 온라인 ‘디지털 헬스케어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상시 운영

  -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제품, 솔루션 포함)을 활용하는 수요기업과 검증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리스트 및 매칭 지원 서비스 제공 

  -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활용 온라인 전시관 개최 및 해외진출 및 판로 개척 지원을 위한 국내 온라인 수출 플랫폼*과 연계 

  * 예) KTRA 바이코리아, 중소기업진흥공단 고비즈코리아, 한국무역협회 트레이드코리아 등

  디지털 헬스케어 조기성과(Early Harvest) 프로그램 운영

  - 기술 개발 단계 이후(완제품)의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의 실증 기회를 제공하는 ‘조기성과(Early Harvest) 프로그램 운영(연 2회 이상)

  -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공모를 통해 조기성과(Early Harvest) 프로그램 참여 기업을 선정하여 서비스 실증 비용 지원* 

   * ‘디지털 헬스케어 마켓플레이스’ 등록 기업을 대상으로 검증된 기업을 선정하고, 실증 참여기업의 경우 매칭 비용 20% 부담

  - ’디지털 헬스케어 조기성과(Early Harvest) 프로그램‘의 참여기업은 관련 분야로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에게 서비스 실증 표준 매뉴얼 공유를 통해 노하우를 전파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실무 가이드라인을 개발 및 제정

□ 정책 자문 전문가 그룹 운영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별 전문가 그룹 구성 및 운영

  - 창업·IP·기술사업화·투자유치·글로벌 파트너링 등 분야별 전문가 그룹 구성·운영으로 사업화 지원 정책 과제 발굴

   * 분야별 그룹(例:애로지원단)을 통한 사업화 장애 이슈 발굴 및 해결방안 모색

  지속적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수요 발굴 및 기업과의 협업체계 구축

□ 성과분석 및 성과 확산 연구

  외부 전문기관의 용역 의뢰를 통해 본 사업의 결과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객관적인 정밀 평가 및 실효성 있는 자문 진행

  - 수요-공급 기업의 만족도 및 시장 진출 지원, 실증 효과 등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본 사업의 성과 분석 평가

 

□ 연차별 성과지표

구분

‘22

‘23

‘24

‘25

합계

온/오프라인 

매치업 개최

온/오프라인 매치업 개최

2회

2회

2회

2회

8회

수요·공급기업 매치업 성사 

10건

10건

10건

10건

40

참여기업 만족도 

결과 보고서

2건

2건

2건

2건

8건

매치업 결과 보고서

1건

1건

1건

1건

4

디지털 헬스케어 실태조사/보고서 

발간

설문조사 참여 기업 건수

300건 이상

300건 이상

300건 이상

300건 이상

300건 

이상

정책자문 전문가 그룹 운영

5회

5회

5회

5회

5회

정책자문 전문가 그룹 운영 및 컨설팅 결과 보고서

1건

1건

1건

1건

4건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가 

세미나 개최

3회

3회

3회

3회

13회

디지털 헬스케어 실태조사  및 정책 보고서

1건

1건

1건

1건

4건

수요·공급간 마켓플레이스 구축·운영 및

온라인 전시관 개최

수요·공급기업간 

마켓플레이스 구축

1식

-

-

-

1식

수요·공급기업 등록

100건

150건

150건

150건

550건

온라인 전시관 개최

1회

1회

1회

1회

4건

조기성과

(Early Harvest) 프로그램 운영

조기성과(Early harvest) 

프로그램 실증 지원

2건

4건

4건

4건

16건

조기성과 실증 서비스

표준 매뉴얼

2건

4건

4건

4건

16건

실증 결과 및 경제성 분석 보고서

2건

4건

4건

4건

16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1건

1건

1건

1건

4건

성과분석 및 확산

결과보고회 개최

1회

1회

1회

1회

4회

성과분석 및 성과확산연구 외부 평가 보고서 

1건

1건

1건

1건

4건

주요 구축

인프라

  기업 실태 및 조사통계에 기초한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체계적이며 지속성장 가능한 생태계 기반 조성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기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확보 위한 비즈니스 협력체계 구축

  검증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사업화 촉진과 기업간 시장정보 공유를 위한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운영

활용방안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기반 국내 기업 레퍼런스 도출을 통한 글로벌 시장경쟁력 확보 및 비즈니스 모델 확장

  이종산업간 매치업을 통한 견고한 기업네트워크로 디지털 헬스케어 수요 창출 및 지불주체 다각화

  디지털 헬스케어 마켓플레이스 기반의 기업간 노하우 공유 시스템 등으로 전체 시장 성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

사업기간

2022년 ∼ 2025년 (4년)

주관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참여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사업유형

□시험분석기반형 □시생산기반형 ■기술서비스기반형 ■연계확산기반형

사업비

총 사업비

5,800 백만원

총 국고보조금*

5,800 백만원

‘22년도 국고보조금

1,000 백만

* 총 국고보조금의 경우 연도별 예산 편성               ·               심의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바이오의약품원부자재상용화지원 사업

사업명

바이오의약품원부자재상용화지원

개요 및 

필요성

 개요 

 - 바이오의약품 산업 육성에 필요한 대외 의존성이 높은 핵심 원부자재 자립화를 위해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지원 플랫폼 구축으로 관련 산업 생태계 인프라 조성 및 활성화

 필요성

 -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해외 의존성이 높은 의약품 원부자재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여 국내 바이오 산업 문제점으로 발생

 - 수요기업와 연계되어 국산화 시 파급효과가 큰 제품과 고부가가치 제품

   (바이러스필터, 배지 등) 지원 필요

 - 국내 바이오산업을 이끌어가는 세계적인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업들을 지원하고 연관된 산업활성화를 위한 원부자재 산업 육성 필요 

사업목표

 (최종목표)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수요·공급기업 간의 협력(필요니즈) 및 상용화 지원 플랫폼 구축을 통해 바이오산업 인프라 활성화와 기업의 글로벌 진출 경쟁력 확보

 (단계별 목표) 수요업체 요구, 연구개발 단계에서 시장성 및 시급성이 높은 품목(원료의약품(배지, 레진 등), 바이러스 필터 등) 대상 선정 후, 선진/수요제품 비교 DB를 활용하여 품질을 개선하고, 기업 맞춤형 시제품 제작단계, 시험평가, 품질관리 구축 등을 통한 상용화 지원까지 이어지는 전주기적 지원 체계 마련

 (정량적 성과목표) 

(단위: 건[*명])

세부목표

´22년

´23년

´24년

´25년

합계

DB구축 지원품목

1

2

2

2

7

시제품 개발 제작 지원

1

3

3

3

10

특성화·맞춤형 시험평가 지원

1

5

5

5

16

GMP 품질관리 구축 등 지원

1

3

3

3

10

업무 현장 실습형 교육 및 홍보

20

40

40

40

140*

시장 동향 조사 보고서

1

1

1

1

4

※ 사업화 실적으로 수요기업 연계 지원기업(품목) 상용화 3건 이상 (4년차 종료시점 기준 누계) 

사업내용

 기업협력 플랫폼 및 네트워크 구축 (활용기업 20개사 이상)

 -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수요·공급기업 협력 지원 플랫폼 구축

  · 원부자재 국산화를 위한 공급기업 및 품목 발굴과 개선 및 품질관리 지원

   * 1차년도부터 수요·공급기업이 연계된 품목 1개 이상 반영

  · 원부자재 수요·공급기업간 기술 교류, 기술·정책 자문, 관련지원

  · 원부자재 국산화 애로사항, 필요사항 등 기업조사

 -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지원 산학연,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 외부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통한 성과분석 및 확산방안 지원

 개발·품질 지원 DB 구축 (DB 구축 지원 7건 이상, 시장기술 동향 보고서 4건 이상)

 -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수요·공급 니즈가 반영된 품목 맞춤형 지원 DB구축

  ※ 수요기업·공급기업 니즈와 상호 업무협력 등 결과에 대한 정보 반영 

  · 해외 선진 기업 제품 자료와 국산화 제품 비교 품질평가 지원 

  · 수요·공급기업간의 개발 및 품질 사항 등 상호교류를 위한 시스템 구축·활용 지원 

 기술지원 연계 시제품 개발·제작 지원 (개발제작 지원 10건 이상)

 - 기술협력 플랫폼, 지원DB 연계에 따른 시제품 개발·제작 지원

 - 신규 제품개발 및 성능, 공정개선 등을 위한 맞춤형 실증 기술 지원

 -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등의 관련 시장 및 기술 동향 제공

 제품 맞춤형 시험평가 및 상용화 지원 (맞춤형 시험평가, GMP, 품질관리 구축 등 지원 16건 이상)

 - 수요기업이 요구하는 국내외 인증,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규격(IS, ASTM, USP 등) 또는 시험법 개발 등을 통한 원부자재 시험평가와 컨설팅 지원

  * 수요·공급기업(각 10개이상) 수요조사 실시에 따른 요구사항(바이러스 무균필터 성능평가, 안정성 등) 반영 필수

 · 원부자재 안전성 및 신뢰성 시험지원(GLP, 식약처 등 국가공인시험검사 기관 발행 성적서)

 · 바이오의약품 특성을 반영한 필터성능과 물리화학적(E&L 분석 등) 시험평가 개발 지원 

 - 상용화를 위한 GMP, 수요기업 요구 등에 따른 인증 기준 정보 제공 및 관련 문서화, 인증 컨설팅 지원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전문 인력 양성 및 지원 (실습형 교육 및 홍보 지원 140명 이상)

 - 바이오의약품 및 원부자재 관련(의료제품 등) 국내외 인증, 개발, 품질관리(GMP) 등을 위한 실습형 인재교육을 통한 재직/신규 인력 양성과 지원

 - 원부자재 상용화에 필요한 지원(안내서 등)  

 - 컨퍼런스 개최 등을 통한 성과 활용

주요 구축

인프라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수요·공급기업 협력지원 플랫폼 및 네트워크구축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개발·사용 지원 DB 구축 지원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특성 반영 안전성 및 신뢰성 시험 지원

 전문인력 양성과 개발·제작, 상용화까지 전주기 지원 플랫폼 구축

활용방안

 수요·공급기업 협력지원 플랫폼 및 네트워크을 통한 사업 활성화 마련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전주기 개발 지원(DB, 플랫폼 지원 등)을 통해 상용화 촉진으로 산업 활성화, 국산 기술 자립화 실현

 해외 의존 및 관련 평가 방법이 없는 원부자재 국내 시험인증 기반 마련 

 전문인력 양성과 개발·제작, 상용화까지 전주기 지원 플랫폼 구축

사업기간

2022년 ~ 2025년 (4년)

주관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참여기관

□산업체 ■대학 ■연구소 ■비영리법인 □제한없음

사업유형

□시험분석기반형 ■시생산기반형 ■기술서비스기반형 ■연계확산기반형

사업비

총 사업비

9,500 백만원

총 국고보조금*

5,000 백만원

‘22년 국고보조금

1,000 백만원

* 총 국고보조금의 경우 연도별 예산 편성·심의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