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건복지부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보건복지부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팩트시트」 발간, 골절 관리·예방의 초석 다진다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팩트시트」 발간, 골절 관리·예방의 초석 다진다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국민건강보험공단
등록일 2024-01-03 조회수 200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원문링크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a01600m01.do?mode=view&articleNo=10840472&article.offset=0&articleLimit=10
첨부파일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하용찬)와 공동연구를 통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02년부터 2022년까지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골절 및 재골절 발생 현황’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 골다공증 골절의 전체 발생 현황은 2022년 434,470명으로, 2012년 323,806명대비34.2%(110,664명),2002년97,380명대비 346.2%(337,090명)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7.8%로 나타났다.
   - 남성은 2022년 105,366명으로 2012년 75,895명 대비 38.8%(29,471명), 2002년 22,000명 대비 378.9%(83,366명) 증가하였다.
   - 여성은 2022년 329,104명으로 2012년 247,911명 대비 32.8%(81,193명), 2002년 75,380명 대비 336.6%(253,724명) 증가하였다.
   - 지난 20여 년간 골다공증 골절의 전체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남성은 연평균 8.1%, 여성은 7.6%의 증가율을 보였다.


 1. 2022년 ‘골다공증 골절‘, 80대 이상에서 31%, 여성이 남성의 3.1배

 ○ 2022년 기준 ‘골다공증 골절’ 환자의 연령대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골절환자 434,470명 중 80대가 31.0%(134,549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6.3%(114,273명), 60대가 26.4%(114,886명), 50대가 16.3%(70,762명) 순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 105,366명에 비해 여성은 329,104명으로 3.1배 많이 발생하였고, 남성은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9.1%로 가장 많은 반면, 여성은 80대가 33.1%로 가장 많았다.

 ○ 2022년 발생한 골절을 부위별로 살펴보면, 50대~60대에는 손목 및 발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척추 및 고관절 골절 발생이 증가했다.
   - 남성 50대는 발목 골절이 28.4%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나, 60대부터는 척추 골절이 가장 많았다.
   - 여성은 60대까지 손목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70대부터 척추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2. 치명률 높은 ‘척추 골절‘ 및 ‘고관절 골절‘, 고령에서 급격히 증가

 ○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18년 85.1명까지 증가 양상을 보이다가 2020년 77.9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 유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다시 이전의 발생률을 회복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 성별에 따른 추세는 남녀에서 동일하였으나, 여성의 척추 골절이 남성에 비해 2.8배 많이 발생하였다.
   - 연령별로 비교하면, 2022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50대 14.3명, 60대 48.1명, 70대 148.7명, 80대 이상 315.8명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고관절 골절의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 명당 2010년 17.3명까지 증가한 이후 정체 상태를 보이다가, 2020년 16.6명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연도별 고관절 골절의 발생은 80세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비교하면, 2022년 기준 인구 1만 명당 50대가 2.0명, 60대 5.4명, 70대 22.1명, 80대 이상 100.7명으로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여성의 발생률이 남성보다 2.3배 높았다.


3. 2021년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 남성 24.2%, 여성 15.7%

 ○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06년 18.9%에서 2020년 15.9%로 조금씩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1년 다시 18.2%로 높아졌다.
   - 성별로 살펴보면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21년 골절 환자 기준 남성이 24.2%로 여성 15.7%보다 1.5배 높았다. 

 ○ 척추 골절 후 1년 내 치명률은 2020년까지 5.6% 내외로 유지되었으나 2021년에 6.3%로 높아졌다.
   -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10.6%, 여성이 4.9%로 남성이 2.2배 높았다.

 ○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1년 내 치명률은 2020년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다가, 2021년에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코로나19 감염병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 골다공증 골절 후 재골절 발생 양상을 분석한 결과, 모든 골절 부위에서 재골절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고관절 골절의 1년 내 재골절은 2012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정체 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척추 골절 후 1년 내 척추 재골절 발생률은 2021년 기준 7.7%이며, 척추 골절 후 모든 부위에서 재골절 발생률은 8.7%로 나타났다.
   - 고관절 골절 후 1년 내 고관절 재골절 발생률은 2021년 기준 0.9%이며, 고관절 골절 후 모든 부위에서 재골절 발생률은 3.0%로 나타났다.


4.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약제 처방률은 35.5%, 여성이 남성의 2.5배

 ○ 골다공증 골절의 관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골절 발생 후 골다공증 치료약제 처방률을 분석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골다공증 골절 발생 환자에서 골다공증 치료 약제 처방률은 골절 후 1개월 내에 22.0%, 3개월 내 28.9%, 6개월 내 32.2%, 1년 내 35.5%인 것으로 나타났다.
   - 약제별로 살펴보면 골절 후 1년 내 처방률은 비스포스포네이트가 30.8%로 가장 높고, 데노수맙 3.3%,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2.9%, 부갑상선호르몬제 0.7%, 로모소주맙 0.1% 순이었다.
   - 골절 발생 후 1년 내 약 처방률은 남녀 모두 연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21년 기준 남성이 18.7%, 여성은 46.9%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5배 높았다.
   -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골절 후 1년 내 약 처방률은 척추 골절에서 52%로 가장 높았고, 발목 골절이 15%로 가장 낮았다. 


□ 대한골대사학회 하용찬 이사장(서울부민병원)은 ‘골다공증 골절의 예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골다공증 골절’이란?
   - 강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골절과 달리, ‘골다공증 골절’은 뼛속의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상태에서 작은 충격만 받아도 뼈가 부러지는 ‘취약골절’이다. 전 세계적으로 취약골절은 매 3초마다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골절 위험을 증가시키는 질환이다. 골다공증은 대부분 무증상이며, 골절 발생 후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골절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골다공증 조기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 ‘골다공증 골절’의 심각성
   - 골다공증 골절은 골절 이후 높은 재골절률, 장해 발생 및 사망률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심각한 삶의 질 저하, 의료비용 및 사회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중증 노인성 질환으로,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에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 이미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선진국들은 골다공증 골절의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이후 재활 및 요양 관리 등에 천문학적 사회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향후 고령화 추세를 고려할 때 사회경제적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사료된다.

 ○ ‘골다공증 치료’ 및 ‘재골절 예방’의 중요성
   - 뼈가 약해진 골다공증 골절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골절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골다공증 골절은 한 번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재골절로 이어진다. 따라서 초기 골다공증 관리에 실패하여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에게 재골절 예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골절 및 재골절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적극적인 골다공증 치료다. ‘골흡수 억제제’, ‘골형성 촉진제’ 등 골절 발생 위험성을 줄이는 효과적인 약물들이 다양하게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골절 경험이 있거나 없는 환자 모두에게서 골절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 남성의 골다공증은 여성에 비해 흔하지는 않으나, 골절로 인한 사망률은 더 높아서 특히 우려되는데, 환경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적극 관리해야 한다. 약물 치료는 골절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또한 골다공증 약물치료와 함께 골절 이후의 재활 치료를 포함한 운동요법, 낙상위험 방지, 식이 및 영양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칼슘과 비타민D를 중심으로 하는 식이요법*, 적당한 근력운동의 지속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골밀도를 높이면 튼튼한 뼈와 함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보낼 수 있다.
       * ① 칼슘: 800~1,000mg의 칼슘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되며, 대표적으로 우유, 멸치, 해초, 두부 등의 식품이 칼슘의 주요 공급원임
         ② 비타민D: 피부가 햇빛에 노출되면 자연적으로 합성되지만, 대부분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거나 겨울에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매일 약 800IU 이상의 비타민 D를 보충하는 것을 고려

 ○ 재골절 예방을 위한 정책적 노력
   - 골다공증 골절을 한 번 경험한 환자들은 재골절 위험이 크므로 별도의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선진국에서는 재골절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골절 고위험군을 별도로 관리하는 ‘재골절 예방 프로그램’과 같은 정책 서비스를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참고하여 우리나라도 보다 적극적인 골절 및 재골절 예방 정책이 필요하겠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기석 이사장은 “이번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 팩트시트 2023 발간으로 골다공증 골절이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임을 환기하고, 예방정책의 초석을 다지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 “공단은 앞으로도 여러 공공·민간 기관들과 더욱 폭넓은 협력으로 국민의 건강증진과 권익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