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식품의약품안전처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보도자료]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식품의약품안전처
등록일 2022-01-27 조회수 1,665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원문링크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6102&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1
첨부파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01 한국판뉴딜_기본 로고_가로형.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28pixel, 세로 56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_국_좌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93pixel, 세로 477pixel

보도자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슬로건_국문만사용.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151pixel

보도일시

배포 즉시

배포일자

2022. 1. 27.()

담당과장

빅데이터정책분석팀

박선영 (043-719-1620)

담당자

이수연 사무관

 (043-719-1628)

 

 

 

 

식의약 통계로 알아본 식·의약품 생산·소비 동향

- 2020, 식·의약 산업 생산실적 증가, 방역물품에서 두드러진 성장세 -

- 코로나19 이후 의약외품·의료기기 시장 재편, 거리두기·건강 관심에 따른 소비 패턴 변화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 2020 식·의약품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발간한 2021 식품의약품통계연보*」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 식·의약품 산업** 전년대비 산액이 증가했고, 특히 마스크·손소독제·진단시약 코로나19 관련 방역물품 산업 중심으로 성장세가 두드러졌습니다.

    *  식·의약 안전정책의 주요성과와 식품, 의약품, 화장품, 의약외품, 의료기기, 위생용품 등 관련 산업의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식·의약 분야 통계를 종합하여 식약처가 매년 발간하는 자료집으로, 식품의약품통계연보의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통계 → 통계간행물)에서 확인 가능

   ** 식품·의약품·화장품·의약외품·의료기기·위생용품 산업

  2020 식·의약품 산업 생산액은 139 9,500억원으로 2019 130 5,600억원 대비 7.2% 증가했습니다.

< 식의약품 생산액(단위:조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380a4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2pixel, 세로 352pixel

 

   - 특히 마스크·손소독제가 포함된 의약외품 생산액 코로나19 진단시약 의료기기 생산액 각각 3 7,100억원, 10 1,400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20.9%, 39.2% 증가했으며

   - 식·의약품 산업  생산액의 60% 차지하는 식품산업 산액은 전년대비 4.1% 증가 84 3,300억원으로 식·의약품 산업의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했습니다.

식·의약품 산업의 수출액은 36 1,200억원, 수입액은 47 8,400억원으로 전년대비 수출액은 31.0%(19 수출액 27 5,800억원),  수입액은 2.0%(19 수입액 46 9,000억원)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인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수출액이 증가한 주된 원인은 완제의약품과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수출액 각각 7 9,300억원(19 수출액 4 800억원), 4 2,000억원(19 수출액 5,800억원)으로 크게 늘었기 때문이고, 화장품 분야의 출액 8 2,877억원(19 수출액 7 6,086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달성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 2020년 식의약품 수출입액(단위:조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bc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5pixel, 세로 531pixel

 

한편 식·의약품 생산·유통 통계에서 관찰된 코로나19 관련한 부적인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의약외품, 의료기기 시장의 변화 >

  의약외품의 경우 코로나19 예방목적으로 마스크와 손소독제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액 전년대비 120.9% 증가 3 7,100억원, 국내 시장규모 전년대비 145.8% 증가 3 5,000억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의약외품 관련 주요 지표(단위:억원) >

생산액

수출액

수입액

국내 시장규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9pixel, 세로 34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3pixel, 세로 34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8pixel, 세로 34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8pixel, 세로 340pixel

    * 16년부터 ’19년까지의 증가(감소)율은 연평균 증가(감소)

   - 특히 마스크 생산액 2 483억원으로 전년대비 9(818.1%) 증가하여 최근 3 1 품목인 치약제를 밀어내고 생산액 1(점유율 55.1%) 차지했고, 외용소독제(손소독제, 손소독티슈 ) 역시 생산액 3,890억원으로 전년대비 10(926.4%) 증가하여 2(점유율 10.5%) 차지했습니다.

< 2020년 의약외품 생산액 상위 3개 품목 >

품목

2020

2019

생산액 증가율

순위

생산액

점유율

생산액

점유율

마스크

1

20,483억원

55.1%

2,231억원

13.5%(4)

818.1%

외용소독제

2

3,890억원

10.5%

379억원

2.3%(7)

926.4%

치약제

3

3,676억원

9.9%

5,628억원

34.0%(1)

-34.7%

 

  의료기기의 경우 코로나19 확산으로 진단시약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생산액 전년 대비 39.2% 증가 10 1,358억원을 기록했고, 진단시약의 해외수출에 힘입어 무역수지* 최초로 흑자로 전환됐습니다.

    * 무역수지 : 수출액-수입액

   - 특히 체외진단 의료기기 생산액 3 3,549억원으로 전년 대비 6.3(553%) 증가했으며

   - 그중 코로나19 진단시약(고위험성 감염체 유전자검사) 생산액은 1 4,267억원으로 전년대비 26.4(2,535%) 증가하여 최근 3년간 생산액 1위를 기록하던 치과용임플란트를 2위로 밀어내고 1위를 차지했습니다.

 

< 의료기기 관련 주요지표(단위:억원) >

생산액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9pixel, 세로 34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9pixel, 세로 34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0pixel, 세로 34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8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0pixel, 세로 341pixel

    * 17년부터 ’19년까지의 증가(감소)율은 연평균 증가(감소)

 

< 의료기기 생산액 현황(단위:억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ac4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7pixel, 세로 292pixel

   * 출처 : 2020년도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입실적(식품의약품안전처)

 

< 2020년 의료기기 생산액 상위 3개 품목 >

품목

2020

2019

생산액 증가율

순위

생산액

점유율

생산액

점유율

고위험성감염체

유전자검사시약

1

14,267억원

14.1%

541억원

0.7%(25)

2,535.5%

치과용임플란트

2

13,701억원

13.5%

13,622억원

18.7%(1)

0.6%

고위험성감염체

면역검사시약

3

10,428억원

10.3%

640억원

0.9%(20)

1,528.8%

<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활성화 등으로 인한 변화 >

  간편식·배달음식 소비 증가로 일회용 젓가락 생산액과 수입액 각각 277 4,200만원, 349 8,700만원으로 전년대비 60.5%, 11.9% 증가했으며, 즉석조리식품 생산액 1 7,000억원으로 전년대비 13.6% 증가했습니다.

< 일회용 젓가락 생산액, 수입액(단위:억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5pixel, 세로 33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7pixel, 세로 331pixel

  또한 온라인으로 생필품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해외직구도 증가하여 해외직구식품 구매건수·금액 전년대비 각각 28.7%, 21.0% 증가*했고, 수입식품 인터넷 구매대행업체  역시 전년대비 123.5% 증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해외직구식품 구매건수 : (19) 1,3748,000건 → (20) 1,7695,000(관세청)
해외직구식품 구매금액 : (19) 9,112억원 → (20) 11,022억원 (e-나라지표)

   ** 수입식품 등 인터넷 구매대행업체 : (19) 3,680개소 → (20) 8,226개소

 

  한편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국내 소비 위축으로 생산·수출입에 변화 보인 품목도 있었습니다.

   - 그간 의료기기의 생산·수입 분야에서 강세를 보여온 1회용 소프트콘택트렌즈 경우 생산액 전년대비 18.7% 감소하여 산액 순위가 4위에서 6 낮아졌으며, 수입액 역시 40.2% 감소하여 수입액 순위도 1위에서 6 낮아졌습니다.

<매일착용 소프트콘택트렌즈 생산액, 수입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e5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4pixel, 세로 33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4pixel, 세로 336pixel

   - 화장품 경우 수출액 8 2,877억원으로 전년대비 8.9% 증가하여 무역수지 흑자액 7조원 돌파에 기여했으나, 생산액 수입액 전년대비 각각 6.8%, 12.3% 감소하였으며 특히 색조 화장품 산액 전년대비 21.5% 감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색조 화장용 제품류 생산액 : (19) 21,338억원 → (20) 16,752억원

< 개인별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 >

< 건강기능식품 매출액(단위:억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3pixel, 세로 340pixel

  코로나19 평상 건강관리와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출액 3 3,254억원으로 전년대비 12.7% 증가했습니다.

  * 16년부터 ’19년까지의 증가율은
연평균 증가율

 

   - 건강기능식품 매출액 1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있는 홍삼 품목으로 홍삼의 2020 점유율은 31.9%(1 609억원)이었습니다.

   - 또한 항산화·구강에서의 항균작용에 도움을 있는 프로리스 추출물 품목 활동량 감소로 인한 신체기능 보완(유익균 증식 배변활동 원활) 도움을 있는 프락토올리고당 매출액 각각 114.9%, 125.7% 증가했습니다.

< 건강기능식품 품목별 매출액(단위:억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01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7pixel, 세로 35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6ac001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6pixel, 세로 355pixel

프로폴리스 추출물

프락토올리고당

* 16년부터 ’19년까지의 증가율은 연평균 증가율

  또한 샐러드, 절단과일 신선편의식품의 생산액* 2,059억원으로 전년대비 24.4% 증가했으며, 일상 속에서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비트렌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신선편의식품 생산액 : (19) 1,655억원 → (20) 2,059억원

식약처는 이번 2020 식·의약 통계자료 식·의약 산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미래에 업계의 제품 개발 연구와 정부 정책 수립 식·의약 산업 발전에 널리 활용 것으로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식·의약 통계 우리 사회의 변화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중요한 자료가 있도록 신규통계를 적극 발굴하고 품질 높고 의미있는 통계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