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전체

URL 주소복사

연구중심병원 글로벌 진출 첫걸음, 美 보스턴에서 국제 심포지엄 개최

연구중심병원 글로벌 진출 첫걸음, 美 보스턴에서 국제 심포지엄 개최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04-28 조회수 860
출처 보건복지부
원문링크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76011
첨부파일

연구중심병원 글로벌 진출 첫걸음,
美 보스턴에서 국제 심포지엄 개최 
- 한미 공동 연구를 통한 연구중심병원 연구 역량 및 기술사업화 강화 방안 모색 -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4월 28일(금) 오후 2시(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과 연구중심병원협의회(회장 서울아산병원 김종재) 주관으로 「연구중심병원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연구중심병원, ’13.4월~) 보건의료기술진흥법 제15조에 따라 지정된 산·학·연·병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여 보건의료 산업화 성과를 창출하는 연구 역량이 뛰어난 병원 

  이번 심포지엄은 2013년 4월 보건의료기술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10개의 연구중심병원*이 그동안 축적한 연구 역량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연구 협력 파트너를 모색하기 위해 추진된다.

   * 가천의대 길병원, 경북대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아주대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분당차병원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내 10개의 연구중심병원과 미국의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하버드메디컬 스쿨, 미국 하버드대학 브리검여성병원 등이 참석한다. 

  심포지엄은 「1부, 글로벌 임상 연구에 대한 상호 협력방안 구축을 위한 MOU 행사」와「2부, 특강과 한미 공동 연구 사례 발표」로 나누어 진행된다.

  임인택 보건의료정책실장은 글로벌 연구 협력 기반 마련을 위해 미국의 바이오 산업 중심지인 보스턴에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 연구중심병원의 새로운 도전에 대해 격려하고, “앞으로도 병원에 있는 우수한 연구자들이 진료에서 한 걸음 나아가 연구에도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또한, “오늘 이 자리가 한 번의 행사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길 바라며,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에 대한 많은 관심과 새로운 연구 파트너로서 협력을 확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상세본>

「연구중심병원 국제 심포지엄」의 1부, 2부 주요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부에서는 한국의 연세의료원(이하 ‘세브란스병원’)과 미국의 메사추세츠 종합병원(MGH)이 ‘난치성 고형암에 대한 세포 요법 임상개발을 포함하여 건강분야에서 상호 유익한 학술 및 임상 연구 협력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진행한다.

  * (협약문 일부 발췌) MOU is to establish a strategic partnership to pursue mutually beneficial academic and clinical research collaborations in health area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linical development of cell therapy on intractable solid tumor

  MOU 협약식에 이어, 양 기관의 공동 연구 계획에 대해서도 발표한다.   세브란스병원과 메사추세츠 종합병원(MGH)의 공동 연구는 세브란스병원 정재호 교수팀의 위암 신약개발 연구 성과(CAR-T 치료제 신규 표적 발굴)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정재호 교수팀과 미국 스타트업에서 협업하여 개발 중인 고형암 표적 카티(CAR-T) 세포치료제가 전임상 단계의 효능평가에서 뛰어난 암세포 살상 효과가 입증되었고, 그 연구 결과가 미국 내 암 연구 네트워크(미국 국립보건연구원)에 공유되었다. 

  이를 계기로, 메사추세츠 종합병원(MGH)은 위암 등 고형암 치료에 진료 역량이 높은 세브란스병원과 암 세포치료제(카티, CAR-T) 전임상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이번 연구는 美 FDA의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브란스병원은 이번 공동 연구를 계기로 글로벌 임상 연구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어지는 2부에서는 먼저,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알려진 비밀과 숨겨진 비밀’이라는 주제로, 지난 30여 년간 글로벌 기업의 생산 및 혁신 전략에 대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에서 경영 자문과 강의를 해 온 보스턴대 김종성 교수의 강의가 진행된다. 이번 강의에서 김 교수는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와 보스턴 클러스터의 강점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다음으로는 한국 연구중심병원에 대한 소개와 이어서 연구중심병원과 미국 병원 등이 함께 추진하는 공동 연구 사례를 발표한다. 

< 공동 연구 발표(안) >

순서

발표기관

발표자

협력연구기관

발표 주제

1

서울아산병원

김경원

Brigham women's hospital

ㅇ 신약개발을 위한 암 영상 협력 연구

2

Rutgers University

이기범

분당차병원

ㅇ 난치성 척추질환 대상 재생치료법 개발

3

Harvard Medical School

Timothy W.Yu

삼성서울병원

ㅇ 극희귀질환 개인맞춤 유전자치료제 개발

4

서울대병원

이형철

Harvard-MIT Health Science and technology

ㅇ 헬스케어 의료데이터 셋 인공지능 개발

5

아주대병원

박래웅

Columbia University, J&J, IQVIA

ㅇ 전세계 임상 의료빅데이터 구축(OHDSI)

  첫 번째 사례로 발표되는 서울아산병원 김경원 교수는 지난 10년간 다나파버암센터와 공동으로 추진한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김경원 교수는 암영상 연구, 암 정밀의료 연구를 통해 얻은 경험으로 서울아산병원 내 아산 임상시험 영상의학지원실(Asan Image Metrics)을 설립하여 약 60여 개 제약회사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2021년에는 트라이얼인포매틱스(Trial Informatics) 교원 창업을 통해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으며, 현재는 카티(CAR-T) 세포치료제 등 첨단 치료의 암 영상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두 번째 발표 사례인 분당차병원은 미국 럿거스 뉴저지 주립대학의 이기범 교수팀과 퇴행성 디스크 재생을 목적으로 지지체* 개발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 (지지체) 줄기세포와 조직공학과 함께 재생의학의 핵심기술로 세포의 부착, 분화 및 조직 주변으로부터 이동되는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적합한 환경과 원하는 조직의 형태를 제공하는 역할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지체 기술은 줄기세포의 생존과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지지체 자체에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재생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퇴행성 디스크뿐만 아니라 다른 근골격계 질환과 난치성 신경계 질환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 번째 발표자인 하버드 의대 보스턴 어린이병원 유전학과 Dr. Timothy W.Yu는 삼성서울병원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극희귀질환 어린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대해 발표한다. 이번 공동 연구는 바텐병*이라는 희귀한 유전질환을 가진 어린이 대상 맞춤형 유전자치료제**를 만든 Timothy W.Yu 교수팀의 연구가 계기가 되어 시작되었다. 삼성서울병원은 이번 연구를 계기로 극희귀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역량을 높여, 향후 더 많은 유전질환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주로 4~10세경에 나타나는 소아의 선천성 대사질환으로 점점 악화되는 신경계 퇴행성질환 
   ** 밀라센 : ’17.2월 맞춤형 유전자 치료제를 만들어 美 FDA 투여 승인 후 ’18.1월 첫 투여를 시행함 

  이어서, 미국 기업(리제네론)의 글로벌 임상 연구 협력 방안과 미국 하버드대학 브리검여성병원의 다국적 임상 연구센터(MRCT, Multi Regional Clinical Trials Center)에 대한 소개도 진행된다. 


<붙임> 1. 연구중심병원 국제 심포지엄 개요
        2. MOU, 공동연구 사례발표, 특강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