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도 관계부처 합동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 개최
작성자 | 관리자 | 카테고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등록일 | 2022-03-02 | 조회수 | 1,957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원문링크 |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pageIndex=&bbsSeqNo=94&nttSeqNo=3181485&searchOpt=ALL&searchTxt=%EC%9D%98%EB%A3%8C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 도 자 료 |
|
보도 일시 |
2022. 3. 2.(수) 12:00 (2022. 3. 3.(목) 조간) |
배포 일시 |
2022. 3. 2.(수) 09:00 |
담당 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책임자 |
과 장 |
이상국 |
(044-202-6114) |
|
디지털뉴딜지원과 |
담당자 |
사무관 |
조현우 |
(044-202-6148) |
2022년도 관계부처 합동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 개최 |
- 범부처, 역대 최대 규모인 9조원을 투자하여 디지털 뉴딜 본격 추진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2022년도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를 3월 3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시간: 14:00~16:50, 송출 매체: 네이버TV·카카오TV·유튜브, 채널: NIA TV1
□ 올해로 추진 3년차를 맞는 디지털 뉴딜은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과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 중인 국가 혁신 프로젝트로서,
ㅇ 정부는 올해 디지털 전환의 속도를 더욱 높이고, 핵심 프로젝트의 성과를 전 산업 분야와 전 지역으로 확산하기 위해 「2022년 디지털 뉴딜 실행계획(1.26)」을 마련한 바 있으며, 국비 9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교육부‧국토부‧해수부‧산업부‧문체부‧중기부 등 7개 부처가 참여한 가운데 이번 설명회에서는 각 부처에서 추진 중인 디지털 뉴딜의 핵심 사업들을 모아(21개 사업, 1조 800억원 규모) 그 주요 내용, 추진방식, 공모일정 등 세부사항들을 공유한다.
ㅇ 아울러, 그간의 디지털 뉴딜 주요 성과와 ’22년 중점 추진방향을 소개하여 디지털 뉴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기업‧기관, 지방자치단체들의 참여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동 사업 설명회는 디지털 뉴딜 주요 공모사업을 크게 4개 분야로 분류하여 ➊데이터 댐, ➋5세대(5G)‧인공지능 융합, ➌비대면 인프라/초연결 신산업, ➍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순으로 진행한다.
ㅇ 우선, 디지털 뉴딜의 핵심 프로젝트인 ‘데이터 댐’의 민간 활용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310종, 5,797억원), 데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2,680건, 1,241억원) 등을 소개한다.
ㅇ 또한, 5세대(5G)‧인공지능 융합을 통한 산업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362억원), 자율운항 선박 기술개발 사업(252억원), 중소기업의 생산성 제고를 위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마트 서비스 지원 사업(150개사, 108억원) 등의 내용을 공유한다.
ㅇ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운영(258억원) 등을 통해 양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확보하고, 디지털 뉴딜 2.0에 새롭게 추가된 초연결 신산업 육성을 위한 블록체인 시범 확산 사업(24개 과제, 213억원),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 사업(100개소, 50억원) 등을 안내한다.
ㅇ 마지막으로,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를 촉진하고자, 교통‧환경‧안전 등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스마트 챌린지(1,176억원)와 산업단지의 안전·환경 관리를 위한 통합관제센터(290억원), 효율적 물류관리를 지원하는 스마트물류 플랫폼 구축 사업(신규 6개, 125억원) 등도 설명한다.
□ 코로나19 확산 방지차원에서 사업 설명회는 네이버TV·카카오TV·유튜브 등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며, 각 플랫폼에서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TV1’ 채널 검색 또는 사업 설명회 포스터의 QR 코드를 통해 참여가 가능하다.
ㅇ 분야별 사전‧실시간 질의에 대한 답변 시간도 별도로 마련하였으며, 설명회 이후에도 발표 자료와 영상, 질의 내용 등을 디지털 뉴딜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디지털 뉴딜 누리집: digital.go.kr(영문), 디지털뉴딜.kr(한글)
□ 과기정통부 박윤규 정보통신정책실장은 “디지털 전환의 거대한 파고 속에서 우리가 추진할 향후 5년간의 디지털 혁신이 대한민국 경제의 50년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강조하고,
ㅇ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 속에서, 디지털 뉴딜을 더욱 발전시켜 국민이 그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붙임1 |
|
’22년 관계부처 합동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 포스터 |
붙임2 |
|
’22년 디지털 뉴딜 주요 추진과제 |
붙임3 |
|
’22년 관계부처 합동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 대상사업(21개) |
사업명 및 주요내용 |
추진일정 |
[ 세션 1 : 데이터 댐 ] |
|
o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인공지능 기술개발 및 성능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대규모로 추가 구축(‘22년 310종 구축) * 담당기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053-230-4271) |
공고(1~3월, 3회) 선정·협약·착수(4월~) 구축(~12월) |
o (데이터 바우처 지원)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에 데이터 구매·가공 바처우 2,680건 지원 * 담당기관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02-3708-5420) |
공고(2~3월) 평가 및 협약(4~6월) 사업 수행(6~11월) |
o (5세대(5G) 융합서비스 발굴 및 공공선도 적용) 5세대(5G) 융합서비스 모델 발굴‧적용(매년 5개 이상) 및 기반기술 확산 등을 통해 5세대(5G) 산업 생태계 조성 * 담당기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053-230-1701) |
공고(3월) 평가 및 선정(4월) 협약(5월) |
o (취약계층 비대면 라이프케어 플랫폼 구축) 현장·대면 중심 취약계층 지원 서비스를 온라인·비대면으로 전환하는 플랫폼 구축(’22년 2개 광역지자체) * 담당기관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053-230-1422) |
공고(4월말~) 평가 및 선정(5월) 계약 및 사업 수행(6~12월) |
o (제조데이터 공동활용 플랫폼 연구개발) 제조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인공지능 공동활용모델 확보를 위한 공동 연구개발 * 담당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044-300-0928) |
RFP도출 및 과제 공고(3월) 평가 및 선정(4월) 협약(4월) |
[ 세션 2 : 5세대(5G)‧인공지능 융합 ] |
|
o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시범 사업) 자율주행자동차 제작, 인프라 및 관제서버구축 등 민간의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조기 사업화 비용 지원 * 담당기관 : 국토부 첨단자동차과 (044-201-3851) |
공고(3월) |
o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완전 자율주행차(Lv4) 상용화를 위한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 및 생태계 조성 * 담당기관 :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02-3472-5922) |
공고(1월 중) 접수‧평가(2~3월) 협약(4월) |
o (5세대(5G) 기반 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 플랫폼) 국내 유일 자율주행차 관련 중소·중견 기업들의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 지원이 가능한 개방형 도심지 연구지역 조성 * 담당기관 : 한국자동차연구원 (053-719-7831) |
공고(‘20.3월) 평가 및 선정(‘20.4월) 협약(‘20.5월) 1차년도 진도점검(‘20.11월) 2차년도 진도점검(‘21.12월) |
o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자율운항선박 핵심기술(운항자율+기관자동화)을 개발하고 체계적 실증을 통한 조기 상용화 기반 마련 * 담당기관 : 자율운항 기술개발 통합사업단 (042-866-3741) |
공고(‘20.1월), 평가 및 선정(’20.4월) |
o (스마트항만-자율운항선박 연계) 자율운항선박이 항만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입·출항할 수 있도록 육상과 연계되는 자동화·지능화 시스템 개발 * 담당기관 : 사단법인 한국선급 (070-8799-8391) |
공고(’1월) 평가 및 선정(3월) 협약(4월) |
o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 온라인경제 활성화, 공공문제 해결, 기업혁신 등을 위한 스마트서비스 솔루션 구축 지원(신규 최대 6천만원, 고도화 최대 1억원) * 담당기관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02-2280-0404) |
사업공고(3월) 평가 및 선정(4~6월) 협약(6월 말~7월 초) |
[ 세션 3 : 비대면 인프라 / 초연결신산업 ] |
|
o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운영) K-MOOC 온라인 콘텐츠 개발‧제공 및 차세대 K-MOOC 플랫폼 구축 * 담당기관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02-3780-9932) |
공고(1월) 평가 및 선정(3월) 협약 체결(4월) 강좌 개발 및 운영(4월~) |
o (매치업 운영) 매치업 교육과정 신규분야 선정 및 교육과정 개발‧제공 * 담당기관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02-3780-9731) |
공고(1월) 평가 및 선정(4월) 협약 체결(5월) 교육과정 직무능력 인증 평가 개발(6월~) |
o (블록체인 시범 확산 사업) 공공·민간분야 서비스 혁신을 위해 블록체인기술을 선도적용 하는 시범·확산사업 추진 * 담당기관 : 한국인터넷진흥원 (061-820-1405) |
공고(2월) 평가 및 선정(4월) 협약(4월) |
o (지역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구축)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술 기반 대국민 서비스 개발 및 상용화될 수 있는 개발환경 구축, 기업 성장 프로그램 마련‧지원 * 담당기관 : 한국인터넷진흥원 (061-820-1249) |
공고(3월) 평가 및 선정(4월) 협약(4~5월) |
o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 지원 및 통합플랫폼 운영 * 담당기관 : 국민체육진흥공단 (02-410-1557) |
공모·선정(2~3월) 신규 콘텐츠 공급(6월) |
[ 세션 4 : SOC 디지털화 ] |
|
o (5세대(5G)기반 디지털 트윈 공동선도) 디지털 트윈 등 新기술을 기반으로 한 주요 공공시설물 및 제조기업의 생산성‧안전관리 실증지원을 통해 관련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와 혁신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선도적 수요 창출 * 담당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043-931-5080) |
공모 밎 접수(2~3월) 평가 및 선정(2~3월) 협약(4월) 과제 수행(4~11월) |
o (스마트 챌린지) 민간기업․대학 및 지자체 제안 공모를 실시, 혁신기술 발굴을 통해 도출된 솔루션을 도시공간에 접목하여 기존도시의 스마트化 추진 * 담당기관 : 한국토지주택공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사)스마트도시협회 (02-3667-5005) |
지역거점·중소도시 선정(1월) 혁신기술 발굴 공고(1월) 평가 및 선정(4월) 준공(12월) |
o (스마트시티 기반구축) 국가 연구개발개발‧실증 중인 데이터허브 도시 보급을 통해 데이터 기반 도시운영 스마트화 추진 * 담당기관 : (사)스마트도시협회 (02-3667-5005) |
공고(3월) 평가 및 선정(3월) 준공(12월) |
o (통합관제센터) 산단 내 위험물, 환경오염, 교통관리를 위해 IoT, 지능형 CCTV, 유관기관 데이터 연계·활용한 시스템 운영 * 담당기관 : 한국산업단지공단 (070-8895-7064) |
공고(3월) 평가 및 선정(4월) 협약체결(4월) |
o (스마트물류플랫폼) 스마트 물류플랫폼 구축∙운영을 통해 산업단지 SOC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물류 최적화 및 입주기업 물류비용 절감효과 제고 * 담당기관 : 한국산업단지공단 (070-8895-70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