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건복지부

home 알림마당 기관별 공지사항 보건복지부

“바이오 혁신 기술의 미래와 글로벌 협력” 바이오코리아 2024 (BIO KOREA 2024) 5월 8일(수) 개막

“바이오 혁신 기술의 미래와 글로벌 협력” 바이오코리아 2024 (BIO KOREA 2024) 5월 8일(수) 개막 : 작성자, 카테고리, 등록일, 조회수, 출처,원문링크, 첨부파일 정보 제공
작성자 관리자 카테고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록일 2024-05-09 조회수 172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문링크 https://www.khidi.or.kr/board/view?pageNum=1&rowCnt=10&no1=3007&linkId=48909668&menuId=MENU00100&maxIndex=00489096689998&minIndex=00489025379998&schType=0&schText=&schStartDate=&schEndDate=&boardStyle
첨부파일

바이오 혁신 기술의 미래와 글로벌 협력

바이오코리아 2024 (BIO KOREA 2024) 5월 8(개막

 

5월 8[]부터 10[]까지 3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이하 진흥원)과 충청북도(지사 김영환이하 충북도)가 공동 주최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하는 바이오코리아 2024(BIO KOREA 2024)가 오는 5월 8()부터 10()까지 3일 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 올해로 제19회를 맞이하는 바이오코리아는 2006, 20여 개국 300여 개사에서 시작하여, 2024년 50여 개국 600여 개사로 참가 규모가 2 상 증가하면서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바이오헬스 국제 컨벤션으로 성장해왔다.

 

 ○ 이번 바이오코리아 2024바이오 혁신 기술의 미래와 글로벌 협력(The Future of Biotechnology Innovation and Global Collaboration)’을 주제로 최근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혁신 기술의 동향과 전망을 공유하고이 기술들이 개발에 성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글로벌 기업·기관연구자투자자 등과의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제공한다.


 ○ 3일 동안 비즈니스 파트너링인베스트 페어전시컨퍼런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55개국 640여 개사에서 참가한다.

 

□ 비즈니스 파트너링에서는 유망기술을 보유한 신규 파트너 발굴기술협력 및 공동연구 논의기술이전투자 등을 희망하는 글로벌 제약사를 비롯한 국내·외 기업들이 참여하여 1:1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한다.

 

 ○ 대표적으로일라이 릴리(Eli Lilly)다케다제약(Takeda), MSD(Merck Sharp & Dohme)사노피(Sanofi)로슈(Roche)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lngelheim)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등 글로벌 기업과 함께, SK바이오사이언스에스티팜, GC녹십자유한양행한미약품한독동화약품 등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참가한다.

 

 ○ 올해에는 비즈니스 파트너링에 대한 수요 증가(‘22년 730건 ‘23 1,320)를 반영하여 파트너링 센터를 확장 운영하며, 35개국460여개 기업약 1,500건 이상의 미팅이 사전 체결되어 활발한 비스 교류의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또한해외에 위치한 기업과의 원활한 미팅이 가능하도록 24시간 온라인 미팅도 운영한다.

 

□ 인베스트페어에서는 1조원대 규모로 조성 중인 K-바이오 메가펀드 운용사들과 글로벌 투자사들이 한국 바이오 헬스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고 그 성장 잠재력에 대해 발표를 진행한다.

 

 ○ 대표적으로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션-JJDC (Johnson & Johnson Development Corporation)의 멜린다 리히터(Melinda Richter) 글로벌 대표아치 벤처 파트너스(ARCH Venture Partners)의 아리 노와체크(Ari Nowacek) 파트너테랄리스 캐피탈(Teralys Capital)의 세드릭 비송(Cedric Bisson) 파트너쿠르마 파트너스(Kurma Partners)의 다니엘 파레라(Daniel Parera) 파트너유안타 아시아 인베스트먼트(Yuanta Asia Investment)의 찌야옌 뤄(ChiaYen Lo Sam) 이사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발표와 패널 토론을 진행한다.

 

 ○ 또한국내 바이오 혁신 창업기업의 투자유치 성공 사례에 대해 다루는 세션도 마련되어 있어한국 바이오헬스 산업의 투자가치와 글로벌 협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혁신 기술의 상업화 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인베스트페어와 연계한‘K-BIC 벤처카페 5월 모임이 5 9(개최된다국내 창업기업과 글로벌 투자자 및 관련 전문가들 간 교류를 통해 투자개발공동연구 등 다양한 사업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 전시 23개국, 333개사에서 438개 부스가 참가하며바이오텍, AI·디지털헬스첨단재생의료국가관 등 각 주제별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바이오텍존에서는 세포치료제신약개발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임상시험기관(CRO) 분야 기업들을 만나볼 수 있으며, AI·디지털헬스에는 AI 기반 신약개발 및 분석시스템웨어러블 의료기기 등 직접 참관객들이 체험해볼 수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 특히올해에는 전년 대비 국가관 참여 국가가 확대되어호주스웨덴덴마크영국미국독일 등 10개국에서 81 기업이 참가하여 각 국의 유망 기술을 선보이고관심있는 국내 기업과 교류할 예정이다.

○ 주한호주대사관에서는 CDMO, CRO, 마이크로바이옴 등 분야의 38개 기업이 참가하며스웨덴무역투자대표부와 주한덴마크대사관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노르딕 부스에는 CRO, 백신신약개발 등 분야의 13개 기업이 참가한다이 외에도 주한영국대사관미국 바이오콤 캘리포니아독일 바이에른 주에서도 현지 기업들이 참여하여 우수 기술을 보하고 국내 기업과의 비즈니스 교류도 같이 진행된다.

 

 컨퍼런스에서는 9개국 71의 국내·외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하여 차세대 신약 플랫폼당뇨·비만치료제암백신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등 10개 주제, 11 세션을 진행한다.

 

 ○ 특히 5월 9()에는 스페셜 세션인 차세대 신약 플랫폼 개발 전략이 준비되어있다플랫폼 기술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WuXiBiologics)의 제어루 장(Zheru Zhang) 수석부사장(Roche) 미키오 가사하라(Mikio Kasahara) 사업개발이사밀테니 바이오텍(Miltenyi Biotec)의 울푸 베트케(Ulf bethke) 박사가 연사로 참여하여최근 급부상 하고 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표적 단백질 분해(TPD),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GT) 등 신규 모달리티 기술 개발의 성공 전략와 글로벌 협력 사례에 대해 공유한다. 후에는 앱티스피노바이오 등 국내 기업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망 기술에 대한 소개와 개발 전략에 대하여 함께 알아본다.

 

 ○  외에도, 국제협력 세션에서 세계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인 보스턴 지역에 위치한 CIC(Cambridge Innovation Center)의 팀 로우(Tim Rowe) 대표가 협력적 미래를 위한 혁신 허브 구축을 주제로 발표하고마이크로바이옴 세션에서는 하버드 의과대학 박준석 박사가 Nature지에 게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내미생물을 이용한 효과적인 항암 면역 치료법 개발사례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개발 기업의 창업 경험을 공유하는 등 발표패널토론기업피칭 등 다양한 형식의 세션들이 마련되어 있다.

 

 ○ 한편올해 스폰서십 참가 기업인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클래리베이트(Clarivate)후지필름(Fujifilm)한미약품, 랩코프(Labcorp)론자(Lonza)에스티팜우씨앱텍(Wuxi Apptec)에서는 기업발표(Company Presentation)를 통해 각 기업들이 주요 사업에 대해 홍보할 예정이다.

 

□ 진흥원 차순도 원장은바이오코리아를 통하여 바이오헬스 산업의 국내외 기업기관연구자 등이 한 자리에서 만나서로의 비즈니스 략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비즈니스 교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우리나라의 우수 기술이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바이오코리아 2024 홈페이지(www.biokorea.org) 통해 확인할 수 있다또한사전등록을 하지 못한 참가 희망자는 행사기간 동안 코엑스 행사장 현장 등록대에서 등록 후 참관할 수 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